제주대학교 Repository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 태도가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그릿과 진로 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The Effect of Parents' Parenting Attitude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on Academic Self-Efficacy: The Mediating Effect of Grit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bstract
청소년기의 후반에서 성인기의 시작인 대학생은 부모로부터 독립하게 되고 성숙한 성인으로 기능하게 될 뿐 아니라, 취업, 결혼, 출산 등 생산적인 일을 수행하기 위한 준비 단계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의 대학생들은 취업 불안, 일자리의 양극화, 극심한 소득 격차 등으로 인한 불안으로 진로를 결정하기 힘들어하고 있으며, 따라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특히 중요한 시기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부모의 양육 태도, 그릿, 진로 결정 자기효능감을 변인으로 하여 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신장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학생이 지각하는 부모의 양육 태도가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과정에서 그릿과 진로 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기 위하여 첫째, 부모의 양육 태도, 그릿, 진로 결정 자기효능감,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관계를 알아보고, 둘째, 부모의 양육 태도, 그릿, 진로 결정 자기효능감이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며, 셋째, 부모의 양육 태도와 학업적 자기효능감 사이에서 그릿과 진로 결정 자기효능감은 매개효과가 있는지를 검증하기로 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 전국에 소재한 4년제 대학에서 재학 중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온라인 및 모바일 설문을 실시하여 총 409명의 데이터를 SPSS 26과 PROCESS macro 4.2 통계 프로그램으로 자료 분석을 실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양육 태도, 그릿, 진로 결정 자기효능감과 학업적 자기효능감 사이의 상관이 유의미함을 확인하였다.
둘째, 부모의 양육 태도와 학업적 자기효능감 사이에서 그릿, 진로 결정 자기효능감이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기 위해서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부모의 양육 태도, 그릿, 진로 결정 자기효능감은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PROCESS macro의 Model 4를 이용하여 다중병렬매개모형을 검증한 결과, 부모의 양육 태도가 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그릿과 진로 결정 자기효능감은 다중병렬매개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넷째, 부모의 긍정적 양육 태도와 부정적 양육 태도를 각각 독립변인으로 설정하여 그릿과 진로 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부모의 긍정적 양육 태도는 완전 매개효과가, 그리고 부정적 양육 태도는 부분 매개효과가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는 긍정적 양육 태도뿐 아니라 부정적 양육 태도 역시 정적으로 매개효과가 나타났는데, 김소희, 박지영, 손영우(2018)는 긍정적 양육 태도와 더불어 부정적 양육 태도가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정적으로 유의미한 이유를 동양의 문화와 우리나라 문화권의 영향이라고 하였다. 이승진과 최려나(2020)의 연구에서는 중학생이 ‘강요’ 등과 같은 부정적 양육 태도가 학업에 대한 열의를 일시적으로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하나, 이는 비자발적으로 학업 열의를 높이는 결과에 불과하다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긍정적 양육 태도와 더불어 부정적 양육 태도 역시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정적으로 유의미한 이유를 Erikson의 심리사회적 발달단계(노안영, 강영신, 2003)와 한국인의 정(최상진, 2011)에서 찾아보았다.
청소년기의 후반 및 성인 초기에 속하는 대학생들의 가장 큰 고민은 역시 진로 문제로 진로 및 직업 선택일 것이며,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주는 변인으로 부모의 양육 태도, 학업적 자기효능감, 그릿, 진로 결정 자기효능감을 선정하였고, 그 결과 부모의 양육 태도가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그릿, 진로 결정 자기효능감은 정적으로 매개효과를 가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향후 대학생들의 진로 및 직업 선택에 직접적 영향을 주는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다양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겠다.| College students, who are the beginning of adulthood in the latter half of adolescence, become independent from their parents and function as mature adults, as well as preparing for productive work such as employment, marriage, and childbirth. However, college students in Korea are currently having a hard time deciding on their career path due to anxiety caused by job insecurity, job polarization, and extreme income disparity. Therefore, in this study, we tried to find a way to increase college students' academic self-efficacy by using parents' parenting attitude, grit,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s variabl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grit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in the process of parenting attitude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on academic self-efficacy'.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attitude, grit,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academic self-efficacy was investigated, second, we investigate whether parents' parenting attitude, grit,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academic self-efficacy, third, it was decided to verify whether grit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have a mediating effect between parents' parenting attitude and academic self-efficacy.
For this study, online and mobile surveys were conducted targeting university students attending 4-year universities located nationwide, and data analysis was performed with SPSS 26 and PROCESS macro 4.2 statistical programs for a total of 409 data.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 correlation between parenting attitude, grit,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academic self-efficacy was significant.
Seco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influence of grit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between parents' parenting attitude and academic self-efficacy, and confirmed to have an effect.
Thir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ulti-parallel parametric model using Model 4 of PROCESS macro, in the effect of parenting attitude on college students' academic self-efficacy, it was found that grit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had multiple parallel mediating effects.
Fourth, parents' positive and negative parenting attitudes were set as independent variable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grit and self-efficacy in career decision-making, and parents' positive parenting attitude had a complete mediating effect, and negative parenting attitude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sults of this study, not only positive parenting attitudes but also negative parenting attitudes showed a positive mediating effect. Kim So-hee, Park Ji-young, and Son Young-woo(2018) said that the reason why positive parenting attitudes and negative parenting attitudes were statically significant to academic self-efficacy was the influence of Eastern culture and Korean culture. In the study of Lee Seung-jin and Choi Ryeo-na(2020), it was said that middle school students' negative parenting attitudes, such as 'forced', act as a factor that temporarily increases enthusiasm for studies, but this is only the result of involuntarily increasing academic enthusiasm.
In this study, the reason why negative parenting attitudes as well as positive parenting attitudes are statically significant to academic self-efficacy was found in Ericsson's psychosocial developmental stage of university students(Noh An-young and Kang Young-shin, 2003) and Koreans' Jung (Choi Sang-jin, 2011).
The biggest concern of university students in the latter half of adolescence and early adulthood will be career problems and career choices. In this study, parents' parenting attitude, academic self-efficacy, grit,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were selected as variables influencing college students' academic self-efficacy.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both grit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had a positive mediating effect on the effect of parents' parenting attitude (positive or negative) on academic self-efficacy.
In the future, it can be said that various follow-up studies are needed to find ways to improve academic self-efficacy that directly affects the career and career choices of college students.
Author(s)
이현주
Issued Date
2024
Awarded Date
2024-02
Type
Dissertation
URI
https://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11437
Alternative Author(s)
Lee Hyeon Ju
Affiliation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Advisor
최보영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및 가설 6
3. 연구모형 7
4. 용어의 정의 8
Ⅱ. 이론적 배경 10
1. 부모의 양육 태도 10
2. 학업적 자기효능감 13
3. 그릿 16
4. 진로 결정 자기효능감 19
5. 부모의 양육 태도와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관계 23
6. 부모의 양육 태도와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사이에서 그릿의 매개효과 25
7. 부모의 양육 태도와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사이에서 진로 결정 자기 효능감의 매개효과 28
8. 부모의 양육 태도와 학업적 자기효능감 사이에서 그릿과 진로 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31
Ⅲ. 연구방법 33
1.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절차 33
2. 측정 도구 34
3. 연구 절차 및 자료처리 39
Ⅳ. 연구결과 및 해석 40
1. 연구대상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40
2. 연구 변인의 기술통계 42
3. 연구 변인 간 상관관계 44
4. 다중 회귀분석 46
5. 부모의 양육 태도와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사이에서 그릿과 진로 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48
Ⅴ. 논의 및 제언 58
1. 결과 요약 및 논의 58
2. 결론 및 제언 63
Ⅵ. 참고문헌 65
Abstract 82
부록 85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이현주. (2024).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 태도가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그릿과 진로 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Counseling Psychology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 엠바고2024-02-12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