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SPATIAL DISTRIBUTION PATTERNS OF DECAPOD CRABS IN HADORI LAGOON, JEJU ISLAND, KOREA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제주도 하도리 석호 게의 공간 분포 패턴
Abstract
제주도 동부 해안에 위치한 하도리 석호는 평균 수심이 1 m의 갈대 (Phragmites australis)가 풍부하게 분포하는 전형적인 기수 환경의 염습지이다. 하도리 석호 갈대밭 염습지는 다양한 게의 서식지 역할을 하며 많은 종의 철새가 이곳을 방문, 보존과 관리가 필요한 해양환경임을 시사한다. 이 연구에서는 석호 생태계 보존을 위해 염분 구배와 다양한 기질 유형에 따른 석호 내 게들의 공간 분포에 관한 조사를 수행하였다. 석호 내 염분은 용천수 근처에서 1.5 g/L, 해안으로 연결된 수문에서는 32.5 g/L로 뚜렷한 공간 구배를 보였다. 이번 조사에서는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야생동물생물인 붉은발말똥게 Orisarma intermedium (De Haan, 1835)와 갯게 Chasmaganthus convexus (De Haan, 1835), 해양수산부 해양보호생물로 두이빨사각게 Parasarma bidens (De Haan, 1835)와 달랑게 Oxypoda stimpsoni (Oortman, 1897) 등 총 15종의 게가 확인되었다. 이 연구를 통하여 톱날꽃게 Scylla paramamosain (Estampador, 1950)가 하도리 석호에 분포함이 확인되었으며, 이는 제주도 최초의 기록이다. 이번 조사에서 갈대 뿌리 부근에 굴을 파고 사는 말똥게 Orisarma dehaani (H. Milne Edwards, 1853)와 방게 Helice tridens (De Haan, 1835)는 석호 내에서 우점종으로 확인되었다. 동남참게 Eriocheir japonica (De Haan, 1835)도 석호 내 담수 구역에 서식하는 것이 확인되어, 하도리 기수 환경이 게들에게 귀중한 서식지를 제공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하도리 석호는 인위적인 활동으로부터 게 서식지를 보호하는 측면에서 보존 및 관리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Located on the east coast of Jeju Island, Hadori Lagoon is a typical brackish environment characterized by a mean depth of 1 m and a well-developed salt marsh populated by the common reed Phragmites australis. The salt marsh associated with the common reed in the lagoon serves as a habitat for various brachyuran species, and they are explored by migratory birds, suggesting that Hadori Lagoon is a unique marine environment that needs to be conserved and managed. Accordingly, this study surveyed the spatial distribution of crabs in the lagoon, which is associated with the salinity gradient and different substrate types. The salinity in the lagoon showed a strong spatial gradient, ranging from 1.5 g/L near several freshwater springs to 32.5 g/L at the watergate connected to the shore. A total of 15 brachyuran crabs were identified during the survey, including Orisarma intermedium (De Haan, 1835) and Chasmaganthus convexus (De Haan, 1835) as the endangered wildlife species designat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and Parasesarma bidens (De Haan, 1835) and Oxypoda stimpsoni (Ortmann, 1897) as the marine protected species by the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The mangrove mud crab Scylla paramamosain (Estampador, 1950) was also identified from the subtidal area of the lagoon, and it was the first record of the mud crab on Jeju Island. The survey revealed that O. dehaani and Helice tridens are the two most common crabs in the lagoon as they burrow into holes near the roots of the common reeds. It was noticeable that the Japanese mitten crab Eriocheir japonica (De Haan, 1835) also inhabits small freshwater pools associated with the lagoon, suggesting that the unique brackish environment provides valuable habitats for the brachyuran species. Accordingly, Hadori Lagoon should be conserved and managed to protect those unique crab habitats from anthropogenic activities.
Author(s)
임형묵
Issued Date
2024
Awarded Date
2024-02
Type
Dissertation
URI
https://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11520
Alternative Author(s)
Lim Hyung-mook
Affiliation
제주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해양생명과학과
Advisor
최광식
Table Of Contents
1. INTRODUCTION 1
2. MATERIALS AND METHODS 4
2.1. 조사정점 선정 4
2.2. 염분, 수온, 용존산소 조사 5
2.3.1. 관찰 . 촬영 및 채집 5
2.3.2. 사진을 이용한 게의 동정 7
2.3.3. Varuna SP.의 분자생물학적 동정 7
2.4. 연구 지역 및 조사정점 3D 지도 제작 8
3. RESULTS 10
3.1. 염분, 수온, 용존산소 조사 결과 10
3.2. 연구 기간 중 하도리 석호에서 발견된 게의 종 13
3.2.1. Family Sesarmidae 의 형태학적 특성과 생태 15
3.2.2. Family Varunidae 의 형태학적 특성과 생태 26
3.2.3. Family Potunidae 의 형태학적 특성과 생태 37
3.2.4. Family Ocypodidae 의 형태학적 특성과 생태 37
3.3. Varuna sp.의 분자생물학적 동정 결과 42
3.4. 트랩을 이용한 채집 결과 44
3.5. 각 조사정점의 환경과 구조 47
3.6. 연구 지역 및 조사정점 3D 지도 60
4. DISCUSSION 62
REFERENCES 65
APPENDIX 70
ACKNOWLEDGEMENT 72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대학원
Citation
임형묵. (2024). SPATIAL DISTRIBUTION PATTERNS OF DECAPOD CRABS IN HADORI LAGOON, JEJU ISLAND, KOREA.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Marine Life Sciences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 엠바고2024-02-12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