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과학2 교과서 탐구활동 비교 분석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Exploration Activities of Science2 Textbooks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Focusing on the Chemistry Unit
Abstract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과학2 교과서 탐구활동 비교 분석 -화학 영역 중심으로- 이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교육과정을 반영한 중학교 과학2 검정 교과서 4 종을 대상으로 교과서 내의 화학 단원의 탐구활동 영역이 개정 교육과정의 목표 와 성격을 얼마나 반영하고 있는지를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했다. 1) 과학2 교과서 4종의 탐구 활동 빈도수에는 어떤 차이가 있는가? 2) 과학2 교과서 4종의 탐구 활동 유형별 비율은 어떠한가? 3) 과학2 교과서 4종의 소단원 탐구 유형의 빈도수는 어떠한가? 4) 탐구활동의 수와 학업 성취도의 관계는 어떠한가? 연구에서는 현장에서 활용도가 높은 교과서 4종을 선정하여 화학 단원인 '물질 의 구성'과 '물질의 특성' 단원의 탐구활동 내용을 분석했다. 과학 교과는 모든 학생이 과학의 개념을 이해하고 과학적 탐구 능력과 태도를 함양하여 개인과 사 회의 문제를 과학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소양을 기르기 위한 중요한 교과목이다. 중학교 교육과정에서는 '자유학기'가 운영되면서 체험 중심의 교과 활동과 함께 탐구 활동들이 많아졌다. '물질의 구성'과 '물질의 특성' 단원은 중요한 부분으로, 다양한 탐구 유형을 통해 학생들에게 자기 주도적 학습과 과학적 탐구 능력을 기르게 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탐구활동의 유형을 분석한 결과, 전체적으로 해보기, 생각 열기, 탐구, 핵심역량 으로 나뉘었으며 핵심역량에는 창의 융합 프로젝트나 수행평가 등도 포함되었다. 비율이 높은 순서대로 탐구가 43%, 해보기가 39%, 핵심역량이 20%, 생각열기 가 3%였다. 탐구 활동의 문항 수는 평균 26.5문항으로, 교과서마다 20문항부터 32문항까지 다양했다. '물질의 구성'과 '물질의 특성' 단원은 과학적 탐구 활동을 통해 증거를 수집, 해석, 평가하여 새로운 과학 지식을 얻거나 의미를 구성해 가 는 능력을 강조하고 있다. 또한 탐구활동 수가 학생들의 학업 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탐구활 동의 수와 학업 성취 간에 큰 상관관계가 없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오히려 학교 의 소재지에 따른 지리적, 문화적, 경제적 등의 요인이 학업 성취도에 영향을 미 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과학2는 개정 교육과정이 강조하는 탐구활동을 평균적으로는 적절 하게 반영하고 있지만, 교과서 별로는 탐구활동의 수는 차이를 보인다. 그렇다고 탐구활동의 수 차이가 직접적으로 학생들의 학업 성취에 영향을 준다고는 하지 못할 것이다. 학생들의 학습 태도나 동기 부여, 학습 환경 등 다른 요인들이 학 업 성취에 더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일 수 있다. 따라서 현장의 교사들은 이를 참고하여 학생들의 특성과 상황에 따라 적절한 탐구활동을 제공하고, 학생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중요하다.|Comparative Analysis of the Exploration Activities of Science2 Textbooks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 Focusing on the Chemistry Uni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how much the inquiry activity area of the chemistry unit in the textbook reflects the goals and characteristics of the revised curriculum, targeting four types of middle school science 2 qualification textbooks reflecting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o this end,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set up. 1) What is the difference in the frequency of inquiry activities in the four science 2 textbooks? 2) What is the ratio of the four types of inquiry activities in science 2 textbooks? 3) What is the frequency of the four types of sub-unit inquiry in the Science 2 textbook? 4)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umber of inquiry activities and academic achievement? In the study, four types of textbooks that are highly utilized in the field were selected to analyze the contents of the inquiry activities of the Chemical Unit, “Matters” and “Properties of Matters” subjects are important subjects for all students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science and to cultivate the ability to scientifically solve problems of individuals and society by cultivating scientific inquiry skills and attitudes. In the middle school curriculum, as the Free Semester was operated, there were more experience-oriented curriculum activities and inquiry activities. “Matters” and “Properties of Matters” are important parts, focusing on developing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and scientific inquiry skills through various types of inquir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types of inquiry activities, it was divided into try, open thoughts, inquiry, and core competencies as a whole, and core competencies included creative convergence projects and performance evaluations. In the order of highest proportions, exploration was 43%, try was 39%, core competencies were 20%, and thinking enthusiasm was 3%. The average number of questions in the inquiry activity was 26.5, and each textbook varied from 20 to 32. The sections “Matters” and “Properties of Matters” emphasize the ability to obtain new scientific knowledge or construct meaning by collecting, interpreting, and evaluating evidence through scientific inquiry activities. In addition,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effect of the number of inquiry activities on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number of inquiry activities and academic achievement. Rather, it was found that geographic, cultural, and economic factors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school affected academic achievement. As a result, Science 2 properly reflects the inquiry activities emphasized by the revised curriculum on average, but the number of inquiry activities varies by textbook. However, it cannot be said that the difference in the number of inquiry activities directly affects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This may be because other factors such as students' learning attitudes, motivation, and learning environment have a greater influence on academic achievement. Therefore, it is important for teachers in the field to refer to this to provide appropriate inquiry activiti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and circumstances of students, and to create an environment in which students can actively participate.
Author(s)
고현옥
Issued Date
2024
Awarded Date
2024-02
Type
Dissertation
URI
https://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11602
Alternative Author(s)
KO, Hyun Ok
Affiliation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화학교육전공
Advisor
이남호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의 내용 2
3. 연구의 제한점 2
Ⅱ. 이론적 배경 4
1. 2015 개정 교육과정 4
1)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개정 배경 및 필요성 4
2)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과학2의 성격 4
3)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과학2의 목표 5
4)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과학2의 화학 영역 단원 내용체계 6
5)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과학2 물질의 구성 성취기준 7
6)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과학2 물질의 특성 성취기준 9
Ⅲ. 연구 방법 11
1. 연구대상 11
2. 연구방법 12
Ⅳ. 연구 결과 13
1. 교과서별 탐구활동 주제 13
2. 탐구활동 유형별 분류 및 빈도수 분석 19
3. 교과서별 소단원 탐구활동의 빈도수 27
4. 탐구활동의 수와 학업 성취도의 관계 29
Ⅳ. 결론 및 제언 31
참고 문헌 33
부록 35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고현옥. (2024).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과학2 교과서 탐구활동 비교 분석.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Chemical Educ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 엠바고2024-02-12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