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양면적 리더십이 조직시민행동과 잡 크래프팅에 미치는 영향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The Effect of Ambidextrous Leadership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Job Crafting : The mediating effect of job engagement
Abstract
오늘날 급격하게 변화하는 경영환경에 대응하며 조직이 생존하기 위해서는 조직구성원의 공식적인 업무 수행뿐만 아니라 자발적 참여와 노력도 필요하다. 조직시민행동과 잡 크래프팅 같은 자발적 행동을 이끌어내기 위해서는 인적 자원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리더의 역할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현대 사회에 적합한 리더십 모델로써 양면적 리더십에 초점을 두었다. 양면적 리더십이란 양면성을 조직과 개인 차원에서 접근하는 방법으로 양면성과 리더십 이론을 종합하여 제시된 리더십 유형을 말한다. 이는 탐험 성격의 개방적 리더 행동과 활용 성격의 비개방적 리더 행동, 그리고 필요와 상황에 따라 두 가지 리더 행동을 유연하게 전환할 수 있는 능력으로 구성되어 있다.
양면적 리더십은 최근 주목 받고 있는 리더십 스타일이지만 관련된 연구는 여전히 부족한 상황이다. 양면적 리더십과 잡 크래프팅의 관계에 대한 선행연구는 특정 산업에 한정되어 있어 국내 일반기업에 적용하기에는 제한적이고, 양면적 리더십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직무열의의 매개효과를 다룬 연구는 미흡한 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단일차원의 리더십 행동보다 상충적인 두 가지 리더 행동을 상황에 따라 유연하게 전환하며 사용하는 리더 행동의 조합이 조직구성원의 조직시민행동 및 잡 크래프팅을 촉진시키는 데 더욱 효과적일 것으로 예측하였다.
또한 직무열의가 있는 구성원들이 업무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새로운 아이디어를 적극적으로 시도하고 주도적 행동을 나타낸다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양면적 리더십과 조직시민행동 및 잡 크래프팅 간의 관계에서 직무열의가 긍정적인 매개역할을 할 것으로 예측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 다양한 기업에 종사하는 직장인을 대상으로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통해 설문지를 배부하였다. 회수된 223부의 설문지 중 불성실한 응답과 결측치가 있는 23부를 제외한 200부를 유효표본으로 선정하였다.
SPSS 23.0과 AMOS 23.0을 사용하여 연구 변수 간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빈도분석과 본 연구에서 사용한 측정 문항의 적합도 및 신뢰성과 타당성을 검증하고자 확인적 요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각 변수들 간의 관련성과 방향성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양면적 리더십의 하위요소인 개방적 리더 행동과 비개방적 리더 행동, 직무열의, 조직시민행동, 잡 크래프팅 및 인구통계학적 변수 모두 서로 관련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가설 검증을 위해 SPSS PROCESS Macro Model 4를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양면적 리더십이 조직시민행동과 잡 크래프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직무열의가 긍정적인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나 모든 가설이 채택되었다.
본 연구는 표본 대상을 특정 산업에 한정하지 않고, 양면적 리더십과 조직시민행동 및 잡 크래프팅간의 관계에서 직무열의의 매개역할을 규명하였다는 점에서 양면적 리더십의 매커니즘을 확장하였다.
조직구성원의 조직시민행동과 잡 크래프팅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은 조직의 성과와 발전으로 나타날 수 있다. 그러므로 기업에서는 양면적 리더십과 직무열의의 중요성을 더욱 강조하여야 한다. 리더가 양면적인 리더 행동을 적극적으로 수행하고 적절하게 전환하며 사용하는 역량을 갖출 수 있도록 리더 교육 프로세스와 같은 지원 방안을 마련하고, 조직구성원의 직무열의를 유도할 수 있는 제도나 근무 환경을 조성하여 조직구성원들의 직무열의를 고취시켜야 한다.|Organizations require not only the formal work performance of their members but also their voluntary participation and effort to thrive to confront the rapid changing environment. Employees’ voluntary and proactive behaviors such as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job crafting are critically dependent on the leaders’ role which promote autonomous and creativity behavior.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ambidextrous leadership which is a specific type of leadership model that is particularly relevant in modern economic situation.
Ambidextrous leadership is a concept derived from ambivalence and leadership theories and it addresses ambidexterity at both organizational and individual levels. This leadership style is characterized by two distinct types of leaders' behaviors: opening leader behaviors(exploration-oriented) and closing leader behaviors(exploitation-oriented). It also emphasizes the leaders' ability to flexibly switch between these two behaviors under changing needs and environment of the organization.
However ambidextrous leadership theory lacks sufficient research interest and empirical evidences. Prior studies on the link between ambidextrous leadership and employee's outcomes are very little and has limit in their broader application to general companies. Moreover, there's a notable research gap in understanding how ambidextrous leadership impacts on employees' proactive behaviors.
This study hypothesizes that a leadership approach that flexibly alternates between two contrasting opening leader behaviors(exploration) and closing leader behaviors(exploitation) will be more effective in fostering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job crafting among team members than traditional, one-dimensional leadership styles.
This study anticipates that job engagement will play a role of mediator among these relationship. This prediction is based on prior findings that employees with high job engagement are more inclined to experiment with new ideas and exhibit proactive behaviors, which are crucial for effective task performance. Thus, job engagement is expected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ambidextrous leadership in promoting both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job crafting.
I conducted surveys both online and offline among office workers from various domestic companies in Korea. Out of 223 collected questionnaires, 200 were deemed valid after excluding 23 due to insincere responses and missing values.
I used SPSS 23.0 and AMOS 23.0 for analysi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variable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also employed to ascertain the suitability,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measurement items. Furthermore,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nd directions among the variables. The results confirmed a relationship among the sub-factors of ambidextrous leadership, including opening leader behavior, closing leader behavior, job engagement,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job crafting, and demographic variables.
The hypotheses were tested using the SPSS PROCESS Macro Model 4. The analysis concluded that ambidextrous leadership positively influences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job crafting, with job engagement serving as a positive mediator in these relationships. Consequently, all the proposed hypotheses were accepted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broadens the understanding of ambidextrous leadership by exploring its mediating role of job engage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mbidextrous leadership,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job crafting, without confining the research to a specific industry. It demonstrates that ambidextrous leadership positively influences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job crafting, which in turn contributes to organizational performance and development.
In light of these findings, it is vital for companies to place greater emphasis on the importance of both ambidextrous leadership and job engagement. Organizations should introduce support strategies, including leader training programs, to effectively foster ambidextrous leadership. Furthermore, it is essential to establish systems and work environments that foster job engagement among organizational members, thereby enhancing their involvement and contribution to the organization's success.
Author(s)
성나연
Issued Date
2024
Awarded Date
2024-02
Type
Dissertation
URI
https://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11623
Alternative Author(s)
Sung Na yeon
Affiliation
제주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경영학과
Advisor
방호진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 배경 및 연구 목적 1
2. 연구 방법 및 연구 내용 4
1) 연구 방법 4
2) 연구 내용 5
Ⅱ. 이론적 배경 6
1. 양면적 리더십 6
1) 리더십 패러다임의 변화 6
2) 양면성의 개념과 구성요소 7
3) 양면적 리더십의 개념과 구성요소 9
4) 유사 리더십 11
5) 양면적 리더십의 선행연구 13
2. 직무열의 16
1) 직무열의의 개념과 구성요소 16
2) 직무열의의 선행연구 21
3. 조직시민행동 22
1) 조직시민행동의 개념 22
2) 조직시민행동의 구성요소 25
3) 조직시민행동의 선행연구 27
4. 잡 크래프팅 29
1) 잡 크래프팅의 개념 29
2) 잡 크래프팅의 구성요소 31
3) 잡 크래프팅의 선행연구 34
Ⅲ. 연구 설계 36
1. 연구모형 36
2. 연구가설 36
1) 양면적 리더십과 조직시민행동 36
2) 양면적 리더십과 잡 크래프팅 38
3) 직무열의의 매개효과 39
3. 변수의 조작적 정의와 측정 40
1) 양면적 리더십 40
2) 직무열의 41
3) 조직시민행동 42
4) 잡 크래프팅 43
4. 자료 수집과 분석 방법 44
1) 표본과 자료의 수집 44
2) 분석 방법 45
Ⅳ. 실증분석 46
1. 표본 특성과 측정도구 검증 46
1) 표본 특성 46
2) 확인적 요인분석 48
3) 판별 타당성 50
4) 상관관계 분석 50
2. 가설검증 52
Ⅴ. 결론 57
1. 연구결과 요약과 시사점 57
1) 연구결과 요약 57
2) 연구결과 시사점 58
2. 연구 한계와 향후 연구 방향 60
참고문헌 61
1. 국내 참고문헌 61
2. 국외 참고문헌 65
설문지 75
ABSTRACT 81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대학원
Citation
성나연. (2024). 양면적 리더십이 조직시민행동과 잡 크래프팅에 미치는 영향.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Business Administr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 엠바고2024-02-12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