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오오카 쇼헤이(大岡昇平)의 『들불(野火)』론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Discussion on 『Fire in the Field』 by Ooka Shohei : Focusing on the desire for the restoration of morality and the need for God
Abstract
『들불(野火)』은 오오카 쇼헤이(大岡昇平)가 자신의 전쟁 체험을 바탕으로 발표한 작품이다. 대부분의 비평가가 전후 문학의 대표작으로 『들불』을 꼽고 있으며 전쟁이라는 극한 상황 속의 인간 내면을 그려낸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따라서 선행연구에서는 전쟁이라는 극한 상황에서 대두되는 인육 섭취의 문제, 작품 구조, 신과 구원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루며 논의되어 왔다. 본고에서는 선행연구의 결과를 수용, 계승하면서 주인공인 다무라(田村)의 수기 속에서 드러나고 있는 신의 존재를 도덕성 회복의 욕구와 연결시켜 재검토하고, 다무라가 자신의 수기 속에 신의 존재를 등장시켜야만 했던 이유를 고찰했다.
우선 제1장에서는 작품에 나타난 다무라의 식인 행위에 대해 주목하여 도덕성이 추락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다무라에게 잠재되어 있던 식인 욕구는 그가 기아 상태가 되자 겉으로 드러나기 시작한다. 다무라는 원숭이 고기라며 나가마쓰(永松)가 건넨 육포를 받아먹기는 했으나, 육포의 정체를 몰랐기 때문에 도덕성이 완전히 추락한 것으로 보기는 어려웠다. 원숭이 육포가 인육이라는 사실을 회피하고 싶었던 다무라였지만, 결국 사냥을 하는 장면을 목격하고 진실과 마주하는 순간이 다무라에게 있어서는 도덕성이 완전히 추락한 시점이라고 할 수 있다.
제2장에서는 수기 속에서 다무라가 신의 존재를 갈구하는 모습과 신의 존재가 다무라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해 고찰했다. 다무라는 전장에서 고독한 방황을 하다 십자가를 발견했고 그것은 다무라의 신앙적 상념을 일깨웠다. 다무라는 죽음을 무릅쓰고 교회로 향하며 구원을 위해 신의 존재를 갈구하는 모습을 보였다. 또한 신의 존재는 신체 좌우의 분열과 목소리라는 형태로 다무라에게 개입하여 다무라의 완전한 도덕적 추락을 막고 있었다.
제3장에서는 다무라의 도덕성 회복 욕구에 대해 살펴보았다. 다무라는 도덕성이 완전히 추락한 이후 자신의 식인은 자의가 아닌 타의로 행해진 것이며 자신은 인육 섭취를 혐오하는 도덕적인 존재임을 드러내려 했다. 또한 밥상을 앞에 두고 독특한 의식을 행함으로써 자신의 죄책감과 도덕성을 드러냈고 전쟁에 대해서도 거부감을 느꼈다. 다무라는 무의식중에도 식인을 계속해서 부정하는 동시에 자신의 식인 욕구는 인간에 대한 응징을 위한 반응으로 해석했다. 이러한 장면들은 자신의 완전히 추락해버린 도덕성을 회복하고자 하는 욕구를 드러낸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제4장에서는 수기에서 소환되는 신의 존재에 대해 고찰했다. 수기의 진위 판별은 어려웠고 신에 대한 다무라의 의구심으로 신의 존재는 약화되었다. 그러나 신의 존재를 소거해 버린다면 다무라가 수기에서 신의 존재를 통해 시도한 자기변호와 도덕성의 회복은 불가능하다. 그렇기 때문에 다무라는 수기 속 신의 존재를 유지 시켜야 했던 것이다. 다무라는 수기에서 신의 존재를 통해 도덕성 회복을 시도했으며, 비록 인육을 섭취했지만 도덕적인 존재이고자 했던 다무라에게 있어 신의 존재는 그의 도덕성 회복을 위해 소환되어야만 했던 것이다.
이상에서 고찰한 바와 같이 『들불』에서 드러난 수기 속의 신의 존재는 다무라의 완전히 추락해버린 도덕성의 회복을 위한 도구로 작용하며, 만약 다무라가 수기에서 신의 존재를 드러내지 않는다면 도덕성의 회복은 불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Fire in the Field” is a novel of Ooka Shohei based on his own war experiences. Most critics cite “Fire in the Field” as a masterpiece of postwar literature, and it is praised as a work that depicts the inner lives of people in the extreme conditions of war. Therefore, preceding research has focused on the issue of cannibalism that arises in the extreme situation of war, the structure of the work, and research on God and salvation. The study accepts and inherits the results of preceding research, and reexamines the existence of God, which is revealed in the main character Tamura's memoir, in connection with the desire for the restoration of morality, and attempts to explain the existence of God revealed in Tamura's own memoir. This study also considered the reason why it was necessary to include the presence of God in it.
The first chapter focuses on Tamura's cannibalism and the process by which morality deteriorates. Tamura's latent cannibalistic desire begins to surface when he becomes starved. Tamura ate monkey flesh given by Nagamatsu without knowing the true nature of it. For this, it is difficult to see him as a complete degradation of morality. Tamura wanted to avoid the fact that the dried monkey flesh was human flesh, but in the end, the moment he witnessed a hunting scene and faced the truth was the moment when Tamura's morality completely collapsed.
The second chapter delves deeply into Tamura's longing for the existence of God and exploring the significant impact of God's existence had on his life. Tamura found a cross while wandering alone on the battlefield, which made him realize his religious thoughts. Tamura, risking his life, headed towards the church, showing his longing for the existence of God in his quest for salvation. In addition, the presence of God intervened in Tamura's life in the form of left and right division of his body and voices, preventing Tamura's complete moral degradation.
The third chapter provides an overview of Tamura's desire to recover his sense of morality. After Tamura's morality completely deteriorated, he tried to show that his cannibalism was not arbitrary and was done out of someone else's will, and that he was a moral being who abhorred the consumption of human flesh. He also expressed his guilt and morality by holding a unique ritual in front of food, and feeling a sense of rejection about the war. Tamura continues to deny cannibalism, and at the same time interprets his own cannibalism as a reaction to take revenge against humans. This scenes reveal his desire to restore his completely degraded morality.
The Fourth chapter talks about the existence of God as summoned in the memoir. It was difficult to determine the authenticity of the memoir, and Tamura's suspicions about God weakened the presence of God. However, if the existence of God were dismissed, it would be impossible for Tamura to attempt self-defense and restoration of morality that Tamura attempted in his memoir. Therefore, it was necessary for Tamura to maintain the existence of God within the memoir. Tamura tried to regain his morality through the existence of God in the memoir, and even though he consumed human flesh, the presence of God was essential for his attempt to remain a moral human being and to recover his morality.
As explored in the previous analysis of presence of god in “Fire in the Field” functions as a pivotal tool for the restoration of Tamura's deteriorated morality. It can be argued that without revealing the existence of God from his memoir, Tamura's redemption and moral restoration would be unattainable.
Author(s)
김경민
Issued Date
2024
Awarded Date
2024-02
Type
Dissertation
URI
https://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11640
Alternative Author(s)
Kim Gyeong Min
Affiliation
제주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일어일문학과
Advisor
소명선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Ⅱ. 본론 5
1. 식인 행위와 추락한 도덕성 5
2. 수기에서 드러난 '신(神)' 16
3. 다무라의 도덕성 회복 욕구 26
4. 요구되는 '신(神)' 32
Ⅲ. 결론 38
Ⅳ. 참고문헌 42
ABSTRACT 44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대학원
Citation
김경민. (2024). 오오카 쇼헤이(大岡昇平)의 『들불(野火)』론.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Japanese Language and Literature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 엠바고2024-02-12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