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대학생의 긍정심리자본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The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f College Students on Career Maturity :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긍정심리자본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긍 정심리자본과 사회적지지 관계를 분석하고 긍정심리자본과 진로성숙도의 관계에서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본 연구를 위해 제주시 소재 4개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 중 응답자 269명의 자 료를 통해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SPSS 24.0을 활용하여 처리하였다. 분석방법은 신 뢰도검증,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차이검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 Baron과 Kenny의 매개효과 절차에 따른 위계적 회귀분석과 매개효과의 유의성 검증을 위한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분석에 따른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긍정심리자본의 하위요인 중 낙관주의에서 ‘2·3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집단이, ‘비가구주’ 대학생이 비교집단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사회적지지에서는 ‘진로·취업 교과목 수강 경험이 있는 대학생’과 ‘비가구주 대학생’이 사회적지지를 상대적으로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생 진로성숙도 하위요인 중 진로타협도와 직업선택태도에서 차이가 나 타났으며, ‘2·3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집단이, ‘비가구주’ 대학생이 비교집단보다 상 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넷째, 대학생의 긍정심리자본과 사회적지지 에서는 긍정심리자본의 하위변인 중 자기효능감, 희망, 낙관주의가 높은 대학생일수록 사회적지지를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섯째, 긍정심리자본이 긍정적일수록 진로성숙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여섯째, 대학생의 사회적지지는 긍정심리자본과 진로성숙도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대학생의 긍정심리자본과 사회적지지가 진로성숙도의 수준을 높이는데 영향력 있는 변수임을 검증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생의 진로성 숙도를 향상 시키기 위해서는 긍정심리자본과 사회적지지를 높여야 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긍정심리자본, 진로성숙도, 사회적지지 간의 영향관계를 규명하여 대학생 을 위한 진로 지도의 프로그램 개발하는데 기초적인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Author(s)
강지희
Issued Date
2024
Awarded Date
2024-02
Type
Dissertation
URI
https://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11711
Alternative Author(s)
Kang, Ji-Hee
Affiliation
제주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Department
보건복지대학원 사회복지학과
Advisor
김상미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Ⅱ. 이론적 배경
1. 진로성숙도 5
1) 진로성숙도 개념 5
2) 진로성숙도 구성요소 6
2. 긍정심리자본 8
1) 긍정심리자본 개념 8
2) 긍정심리자본 구성요소 11
3. 사회적지지 12
1) 사회적지지 개념 12
2) 사회적지지 구성요소 15
4. 주요 변수 간 선행연구 고찰 17
1) 긍정심리자본과 진로성숙도 17
2) 긍정심리자본과 사회적지지 19
3) 사회적지지와 진로성숙도 20
4) 인구사회학적특성과 변수 22
Ⅲ. 연구설계 및 연구방법
1. 연구문제 및 연구모형 24
2. 연구대상 26
3. 측정도구 26
1) 독립변수: 긍정심리자본 27
2) 종속변수: 진로성숙도 28
3) 매개변수: 사회적지지 29
4. 자료분석 30
Ⅳ. 연구결과
1. 연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31
2. 주요 변수 기술통계 32
3. 주요 변수에 대한 집단 간 차이분석 34
1) 대학생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집단 간 긍정심리자본 차이분석 34
2) 대학생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집단 간 사회적지지 차이분석 36
3) 대학생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집단 간 진로성숙도 차이분석 38
4. 상관관계분석 40
5. 가설검증 43
1) 대학생의 긍정심리자본이 사회적지지에 미치는 영향 43
2) 대학생의 긍정심리자본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43
3) 대학생의 긍정심리자본과 진로성숙도 관계에서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 44
4) 대학생의 긍정심리자본이 진로확정도에 미치는 영향 46
5) 대학생의 긍정심리자본과 진로확정도 관계에서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 46
6) 대학생의 긍정심리자본이 진로독립도에 미치는 영향 48
7) 대학생의 긍정심리자본과 진로독립도 관계에서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 48
8) 대학생의 긍정심리자본이 진로타협도에 미치는 영향 50
9) 대학생의 긍정심리자본과 진로타협도 관계에서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 50
10) 대학생의 긍정심리자본이 직업선택태도에 미치는 영향 52
11) 대학생의 긍정심리자본과 직업선택태도 관계에서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 52
12) 대학생의 긍정심리자본이 진로관여도에 미치는 영향 54
13) 대학생의 긍정심리자본과 진로관여도 관계에서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 54
6. 가설검증 요약 56
Ⅴ. 결론 및 논의
1. 연구요약 및 결론 57
2. 제언 60
참고문헌 62
부록 72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Citation
강지희. (2024). 대학생의 긍정심리자본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and Welfare > Social Welfare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 엠바고2024-02-12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