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단기간의 신장성과 단축성 수축 운동이 남자 대학생의 건강 및 기술 관련 체력과 등속성 근기능에 미치는 영향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Effect of short-term eccentric and concentric contraction exercise on health- and skill-related physical fitness and isokinetic muscular function in male college student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단기간(4주) 신장성 수축 운동과 단축성 수축 운동 방법이 남자 대학생의 건강 및 기술 관련 체력과 등속성 근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3개월 이상 저항성 운동 참여 경험이 있으며, 최근 1년 이상 심혈관계 및 근골격계 질환이 없는 건강한 남자 대학생 20명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대상자는 무선할당(Random assignment) 방식에 따라 신장성 수축 운동 집단(Eccentric contraction exercise group, ECG; n=7), 단축성 수축 운동 집단(Concentric contraction exercise group, CCG; n=7), 통제 집단(Control group, CG; n=6)으로 구분하였다. ECG와 CCG는 각각의 수축 방법에 초점을 두어 5:1 시간 비율로 신장성 및 단축성 수축 운동을 일일 75분, 주 3회, 4주간 수행하였다. 운동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운동프로그램 참여 전, 후로 신체구성, 신체둘레(가슴, 엉덩이, 대퇴 중앙, 종아리), 건강 및 기술 관련 체력(악력, 배근력, 윗몸일으키기, 앉아 윗몸 앞으로 굽히기, 윗몸 일으켜 메디신 볼 던지기, 제자리 높이 뛰기, 제자리 멀리 뛰기, 10/20/30m 달리기, 일리노이 민첩성 검사), 등속성 근기능(60°/sec와 240°/sec에서 무릎의 근력과 근지구력, 30°/sec에서 허리의 근력)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처리는 SPSS Ver. 24.0을 이용하여 각 변인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다. 집단 간, 시기 간에 대한 상호작용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이원변량 반복측정 분산분석(Two-way repeated measures ANOVA)을 실시하였으며, 집단 간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시행하였다. 각 집단 내에서의 변화량은 대응표본 t-검정(Paired t-test)을 실시하여 확인하였다. 또한, 사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난 변인은 공분산 분석(ANCOVA)으로 사전변인을 통제하였으며, 사후검증은 Scheffe 방법(Scheffe test)을 사용하여 효과의 크기를 확인하였다. 모든 분석의 통계적 유의수준(α)은 .05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신체구성 중 체지방량은 CG보다 CCG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둘째, 건강 관련 체력 중 근지구력(윗몸일으키기)은 집단과 시기 간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으며, CG보다 ECG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셋째, 기술 관련 체력 중 스피드(10m 달리기)는 CG보다 CCG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넷째, 등속성 근기능 중 무릎 근지구력 240°/sec에서의 우굴근 피로 지수는 CG보다 ECG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단기간(4주) 신장성 수축 운동은 근지구력과 등속성 근지구력에 영향을 미치며, 단축성 수축 운동은 신체구성과 스피드에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훈련 목적에 따라 필요한 수축 운동 방법을 선택하여 수행하는 것이 건강 및 기술 관련 체력과 등속성 근기능을 향상 시키는데 효율적임을 제시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short-term (4 weeks) eccentric and concentric contraction exercise on the health- and skill-related physical fitness and isokinetic muscular function in male college studen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0 healthy male college students who had participated in resistance exercise for more than 3 months, and had no cardiovascular or musculoskeletal diseases for the past year or more. The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a eccentric contraction exercise group (ECG, n=7), a concentric contraction exercise group (CCG, n=7), and a sedentary control group (CG, n=7) by a random assignment method. The ECG and CCG focused on each contraction method, performing eccentric and concentric contraction exercises in a 5:1 time ratio for 75 minutes per day 3 times a week for 4 weeks. Before and after participating in the exercise program, body composition, body circumference (chest, hip, mid thigh, calf), health- and skill-related physical fitness (hand grip strength, back muscular strength, sit-up, sit and reach, front abdominal power test, sargent jump, standing long jump, 10/20/30m sprint, Illinois agility test), and isokinetic muscular function (knee muscular strength and endurance at 60°/sec and 240°/sec, respectively. Trunk strength at 30°/sec) were measured. Two-way repeated measures ANOVA was performed to verify the effect of interaction between groups and periods, and one-way ANOVA was performed to verify differences between group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body fat mass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CCG compared to CG.
Second, sit-up showed an effect of interaction between groups and periods, and significantly increased in ECG compared to CG.
Third, ten-meter sprint record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CCG compared to CG.
Fourth, fatigue index in right knee flexor at 240°/sec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ECG compared to CG.

Summariz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found that although short-term (4 weeks) eccentric contraction exercise affects muscular endurance and isokinetic muscular endurance, concentric contraction exercise has an effect on body composition and speed.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selecting and performing the necessary contraction exercise method according to the training purpose can improve healthand skill-related physical fitness and isokinetic muscular function.
Author(s)
정주연
Issued Date
2024
Awarded Date
2024-02
Type
Dissertation
URI
https://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11736
Alternative Author(s)
Jeong Ju-Yeon
Affiliation
제주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체육학과
Advisor
서태범
Table Of Contents
I .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4
3. 연구의 가설 5
4. 연구의 제한점 6
5. 용어 정의 7
II. 이론적 배경 9
1. 근육의 특성 9
1) 지근과 속근 9
2) 신장성 수축 운동과 단축성 수축 운동 10
2. 체력 12
1) 건강 관련 체력 12
2) 기술 관련 체력 15
3. 등속성 근기능 18
III. 연구방법 21
1. 연구설계 21
2. 연구대상 22
3. 운동프로그램 23
1) 신장성 및 단축성 수축 운동프로그램 23
2) 운동 강도 설정 25
4. 측정 항목 및 방법 26
1) 신체구성 26
2) 신체둘레 27
3) 건강 및 기술 관련 체력 29
4) 등속성 근기능 36
5. 자료처리 39
Ⅳ. 연구결과 40
1. 수축 운동 방법에 따른 신체구성의 변화 40
2. 수축 운동 방법에 따른 신체둘레의 변화 50
3. 수축 운동 방법에 따른 건강 및 기술 관련 체력의 변화 62
4. 수축 운동 방법에 따른 등속성 근기능의 변화 86
V. 논 의 144
1. 신체구성의 변화 144
2. 신체둘레의 변화 145
3. 건강 및 기술 관련 체력의 변화 146
4. 등속성 근기능의 변화 148
Ⅵ. 결 론 151
참고문헌 153
171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대학원
Citation
정주연. (2024). 단기간의 신장성과 단축성 수축 운동이 남자 대학생의 건강 및 기술 관련 체력과 등속성 근기능에 미치는 영향.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Kinesiology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 엠바고2024-02-12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