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1980년대 제주 미술계의 새로운 흐름과 4·3미술의 태동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New Trends in the Jeju Art World and the Birth of 4∙3 Art in the 1980s
Abstract
본 연구는 4·3미술에 대한 본격적인 학술 연구를 수행하기 위한 첫번째 작업으로써 現 4·3미술제의 前史를 구체적으로 밝히는 것을 목표로 진행되었다. 그림패 보롬코지 창립 회원을 중심으로 질적 연구 방법을 동시에 진행했고, 그 과정에서 문헌 사료 24건과 이미지 사료 16종 217건을 발굴하여 새로운 역사 서술을 시도한 것에 의미가 있다.
1980년대 중반 제주 사회에는 현실 비판적 미술학도들이 등장했다. 이들은 당시 서울과 광주 등을 중심으로 확산되고 있던 민중미술을 수용하여 실천했고, 제주 민주화운동 세력과 소통하며 미술의 사회적 역할을 모색했다. 특히 ‘상황과 표현’ 전시는 제주 미술에서 민중미술이 처음 등장한 전시로서 의미를 갖는다.
이들은 1987년 6월항쟁 열기에 힘입어 전문 미술 동인으로서 보롬코지를 결성하고, 창립예행전으로 ≪민족해방과 민족통일 큰 그림 잔치≫(1987) 전시를 초대했다. 하지만 경찰의 작품 탈취와 전시 대표자의 구금이라는 공권력의 훼방으로 활동은 위축되었다. 1988년 ≪그림패 보롬코지 창립전≫을 개최하며 본격적인 활동을 시작했고, 이후 ≪나의 칼 우리 노래≫(1988), ≪통일 염원 걸개그림전≫(1988), ≪사월 미술전≫(1989), ≪4·3 넋살림展≫(1989), ≪최정현, 반쪽이 만화 초대전≫(1989), ≪관광 땅, 제주 사름展≫(1989) 등의 전시를 개최하며 활발한 창작 활동을 벌였다. 더불어 “새한병원 노동조합 탄압 저지”(1987~1988), “탑동 매립 개발 반대”(1988), “송악산 군사 기지 건설 반대”(1988~1989) 등 제주 지역사회의 주요 현안을 다루는 집회 현장에 무대로 사용할 걸개그림과 만장, 깃발 등을 제작하여 적극적으로 동참했다. 판화교실과 공방을 운영하며 민주화와 4·3진상규명운동에 뜻을 함께하는 사람들과 직접적으로 교류했고 호응을 얻었다.
1989년 보롬코지가 개최한 ≪사월 미술전≫은 4·3이라는 역사적 사건을 전면에 내세워 집단적으로 시각화한 최초의 4·3미술제다. 이는 현재까지 지속되고 있는 4·3미술제의 前史이자, 4·3미술을 태동시킨 장으로서 주목할 만한 역사적 의의를 갖는다. 4·3미술의 태동은 당대 미술인들이 제주 사회와 긴밀하게 호흡하고 실천한 결과물로서 그 의의를 갖는다. 보롬코지는 현실 비판적 미술인들의 역량이 모일 수 있는 구심점 역할을 했고, 제주 미술계에서 유일하게 민중미술운동을 표방하며 민주화운동 세력과 발맞춰 활동했다. 구성원 7명 안팎의 규모였지만, 보롬코지라는 의결 구조가 있었기 때문에 당대 민주화운동 세력과 소통하며 4·3진상규명이라는 시대적 요구에 대응할 수 있었다. 보롬코지를 중심으로 한 미술인들의 사회적 발언은 제주미협을 기반으로 기득권을 형성하고 있던 제주 미술계에 처음으로 나타난 균열이었다. 이러한 움직임은 향후 탐라미술인협의회라는 별도의 협의체를 구성하는 단초가 되었을 뿐만 아니라, 제주 미술계의 새로운 흐름이 형성되는 시작점이었다.|This study was conducted as the first task for full-scale academic research on the 4∙3 Art Exhibition, with the aim of revealing its history in detail. It is significant that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as applied with a focus on the founding members of the painters’ group called “Boromkoji(means cape of wind)” and based on 24 literary materials and 217 images in 16 types discovered in the process, a new historical narrative was attempted.
In the mid-1980s, art students critical of reality emerged in Jeju society. They accepted and practiced the Minjung Art(means the people’s art) that was spreading mainly in Seoul and Gwangju at that time, and sought the social role of art while communicating with activists for the democratization movement in Jeju. In particular, the exhibition titled “Situation and Expression” has significance as the exhibition in which Minjung Art appeared for the first time in the Jeju art circle.
Inspired by the enthusiasm of the June Democratic Uprising in 1987, artists in Jeju founded Boromkoji as a professional art group and hosted an invitation exhibition “Grand Art Exhibition for National Liberation and National Unification” in 1987 as a prelude to the foundation. Their activities, however, were intimidated by the interruption of the government authority as the police seized artworks and detained the representatives of the exhibition. They began their full-fledged activities in 1988 by holding the “Foundation Exhibition by Painting Group Boromkoji” and later, were actively produced artworks by hosting exhibitions, including “My Engraving Knife, Our Songs”(1988), “Hanging Paintings Wishing for Reunification”(1988), “April Art Exhibition”(1989), “April 3rd Spirit-summoning Exhibition”(1989), “Invitation Exhibition: Choi Jeong-hyeo’s Comics”(1989), and “Tourist, Land, and People in Jeju”(1989). They were also actively engaged in rallies that addressed major issues of the Jeju community, such as the ones against the oppression of the Saehan Hospital labor union(1987-1988), the Tap-dong reclamation and development(1988), and the construction of a military base on Mt. Songak (1988-1989), by producing hanging paintings, banners and flags to be used as decorations for the rally sites. While operating a printmaking class and workshop, they interacted directly with those who shared the same cause for democratization and the April 3rd Truth-Finding Movement, and their efforts resonated with others.
The “April Art Exhibition” held by Boromkoji in 1989 was the first exhibition that collectively visualized the historical event of the April 3rd Uprising and Massacre. This has a notable historical significance as a pre-history of the 4∙3 Art Exhibition, which has continued to this day, and as the venue that gave birth to the 4∙3 Art. The birth of 4∙3 Art is of significance as the outcome of the artists of that time who worked and interacted closely with Jeju society. Boromkoji served a pivotal role in integrating the capabilities of artists who had critical views on reality, and was the only artist group in the Jeju art world that advocated for the Minjung Art movement and worked in line with democratization movement activists. Artists in Jeju were able to communicate with the democratization movement advocates and respond to the demands of the times for the truth-finding of the April 3rd Uprising and Massacre since Bromkoji existed as a decision-making structure, although it had only seven members. The social remarks made by artists centered on Boromkoji were the first cracks that appeared in the Jeju art world, which had a vested interest based on the Jeju Art Association. Their activities became the starting point not only for the foundation of a separate consultative body called the Tamla Artists Association, but also for the formation of a new trend in the Jeju art world.
Author(s)
박민희
Issued Date
2024
Awarded Date
2024-02
Type
Dissertation
URI
https://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11756
Alternative Author(s)
PARK Min-Hee
Affiliation
제주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사학과
Advisor
양정필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 목적 3
2. 선행 연구 검토 5
3. 연구 방법 및 내용 9
Ⅱ. 1980년대 중반 현실 비판적 미술학도의 등장과 활동 14
1. 현실 비판적 미술학도의 등장 14
2. 새로운 흐름의 미술 활동 시작 20
1) '상황과 표현' 전시회 개최 20
2) '보롬 판화 동인' 결성과 판화교실 운영 24
Ⅲ. 1980년대 후반 '그림패 보롬코지' 창립과 활동 29
1. 현실 비판적 미술인들의 '그림패 보롬코지' 창립 29
2. '그림패 보롬코지'의 미술 활동과 현실 참여 42
1) 창작과 전시회 개최 42
2) 걸개그림 제작과 판화교실공방 운영 50
IV. '그림패 보롬코지'의 사월 미술전 개최와 4·3미술의 태동 58
1. 사월 미술전 준비 과정과 개최 58
2. 태동기의 4·3미술, 그 의의와 한계 74
V. 결론 80
참고문헌
Abstract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대학원
Citation
박민희. (2024). 1980년대 제주 미술계의 새로운 흐름과 4·3미술의 태동.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History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 엠바고2024-02-12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