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The impact of career choice on the causes of avoidance of science and engineering fields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the solution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진로 선택이 이공계 기피 현상 원인에 미치는 영향 : 해결 방안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Abstract
본 연구는 중2·고1 학생들의 진로 선택 및 자신의 가치관과 이공계 기피 현상 원인 사이에 이공계 기피 현상 원인을 해결하는 방안 제시가 매개적 역할을 하 는지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문/이과 통합 교육과정이 수능 체제에 적용되지만 선택 과목은 여전하다. 2023년도 현재, 학생들이 이과 선택 과목 비선호로 인하 여 이공계 기피 현상이 다시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의학 계열로 몰리는 현상의 원인을 알아보고, 자신의 가치관이 진로 선택과 연관되어 이공계 기피 현상에 영 향을 미치는지도 알아본다. 2022 개정 교육과정이 도입됨에 따라, 고교학점제 시 행으로 진로 선택이 매우 중요함을 인지하며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두 표본집단을 선정하여 오프라인 설문조사를 활용하였다. 연 구 분석을 위해서 SPSS 29.0 프로그램과 AMOS 26.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 측정 도구의 타당도는 만족하였으며, 요인분석 결과 설명력이 높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신뢰도 또한 우수와 매우 우수하였다. 위계적 회귀분석 후 소벨 테스트(Sobel-test) 결과 매개효과 검증은 다음과 같았다. [표본집단 1] 은 이과 선택 비선호 이유와 의학 계열로 몰리는 이유 사이에서 우수인력양성 방안의 매개효과는 완전 매개 역할이 아닌, 부분 매개 역할만 하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표본집단 2] 는 자신의 중요도와 이공계 지원 감소 이유 사 이에서 이공계 감소 해결 방안의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부분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판단 할 수 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실천적·정책적 대안 및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교육 평등 을 실현하기 위해 보장적 평등을 실천해야 한다. 또한 기초 학력 저하 현상을 미 리 예방하고, 이과 선택 비선호 현상을 방지하는 교육을 적극 시행해야 한다. 또 한, 포용성과 창의성을 갖춘 주도적인 사람을 지향함과 동시에 사회 현실에 이바 지할 수 있는 민주적이고 바른 비판의식을 갖춘 인성교육을 함께 실현해야 한다. 기존 이공계 기피 현상 원인에 관한 연구에 비하여 해결 방안의 방향과 기대효 과 및 변화의 필요성을 제시하는 데 의미가 있으며, 정책 방안에 이바지하고자 한다.
Author(s)
오정화
Issued Date
2024
Awarded Date
2024-02
Type
Dissertation
URI
https://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11835
Alternative Author(s)
Oh Jeong-Hwa
Affiliation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화학교육전공
Advisor
현창구
Table Of Contents
I.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의 문제 5
3. 연구의 제한점 6
II. 이론적 배경
1. 진로 선택과 과학교육 7
1) 진로 선택
(1) 진로지도 ·8
(2) 슈퍼(Super)의 생애 진로 발달 ·9
(3) 블로우 등의 사회이론 / 사회학적 이론
2. 이공계 기피 진로 선택 현황 10
1) 고등학교 과학 선택 과목 11
(1) 고등학교 과학 선택 과목 선행연구
3. 2015 및 2022 개정 교육과정의 이공계 기피 현상 해결 방안교육 12
1) 2015 및 2022 개정 교육과정
(1) 이공계 관련 교육과정
(2) 선택 과목 재정비의 필요성 14
2) 이공계 기피 현상 해결 방안 15
(1) 기능이론과 갈등이론의 비교
(2) 새로운 접근(해석학적 접근, 교육과정사회학, 신교육사회학) 17
(3) 학력 상승이론 ·18
3) 교육격차의 해결 방안 19
(1) 교육격차
4) 과학교육의 필요성 21
(1) 과학교육의 의미
(2) 과학교육의 필요성과 정당화 22
5) 2015 & 2022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26
(1) 2015 개정 과학과 목표
(2) 2022 개정 과학과 목표
6) 과학 태도의 함양 및 문제 해결 학습 모형 ·27
(1) 과학 태도의 함양
(2) 문제 해결 학습 모형-Keller의 동기유발 학습 모형
7) 과학교육에 주는 시사점 30
8) 성차와 과학교육
9) 교직과 과학 교사의 전문성 ·32
(1) 교직의 의미와 교직관
(2) 과학 교사의 역할․자질․상의 의미와 관계
(3) 과학교육학자가 생각하는 유능한 과학 교사 33
(4) 학생이 가장 좋아하는 교사
(5) 교사 교육 이론의 변천과 과학교육의 전문성
III. 연구 방법
1. 연구모형 ·36
1) 연구가설
2. 연구 자료 및 대상 ·37
1) 설문자료 활용
2) 표본집단 선정
(1) 표본집단 1
(2) 표본집단 2
3. 측정 도구 38
1) 독립변수 : 진로 선택(이과 선택 비선호 및 자신의 중요도)
2) 종속변수 : 이공계 기피 현상의 원인
3) 매개변수 : 이공계 기피 현상의 원인 해결 방안 39
4. 분석 방법 40
1) 활용 프로그램
2) 분석 방법
IV. 연구 결과
1.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41
1) 본 집단에 이용된 285명의 응답자에 대한 일반적 특성
2) [표본집단 2] 의 학년과 내신등급 : [표 B] 43
3) [표본집단 2] 의 현재 계열과 대학지원 희망 계열 : [표 C] ·45
4) [표본집단 2] 의 대학 선택 시 고려하는 것 : [표 D] ·47
5) [표본집단 2] 의 전공학과 선택 시 가장 많은 영향을 주는 요인 두 가지 : [표 E] 48
6) [표본집단 2] 의 학생들 사이에서 가장 인기 있는 직업 순위별로 3가지 : [표 F] 49
7) [표본집단 2] 의 직업을 선택하는 데의 기준으로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 두 가지 : [표 G] 51
8) [표본집단 2] 의 대학지원에서 이공계에 지원하는 학생이 최근 감소하고 있는 사실을 알고 있는지의 여부 : [표 H] 52
2. 주요 변수의 기술 통계분석 53
1) 주요 변수의 기술 통계분석을 한 표본집단 1의 결과 : [표1]
2) 주요 변수의 기술 통계를 실시한 표본집단 2의 결과 : [표2] 54
3. 변수 간 상관분석 55
1) 타당도 분석(요인분석_R 요인분석) : 측정 도구의 타당도 분석
2) 신뢰도 분석 ·61
3) 카이제곱 검정(교차분석) 63
4) 독립표본 t-검정 ·64
5) 대응 표본 t-검정 ·65
6) 다변량 분산분석(MANOVA) ·67
7) 피어슨 상관분석(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69
8) 다중회귀분석(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71
9) 이공계 기피 현상에 대한 군집분석 74
4. 연구모형 분석 78
1) [표본집단 1]
2) [표본집단 2] 84
V. 결론 및 제언
1. 연구 목적과 주요 연구 결과 요약 88
2) 연구모형의 비표준화 계수 90
2. 연구 함의 및 제언 ·91
VI. 참고문헌 ·92
Ⅶ. 부록 94
ABSTRACT 101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오정화. (2024). The impact of career choice on the causes of avoidance of science and engineering fields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the solution.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Chemical Educ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 엠바고2024-02-12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