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제주도 촌락 공간의 혼성화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Hybridization in the Rural Spaces of Jeju Island : Focused on Post-2010 Transformations
Abstract
현대의 글로벌 촌락들은 대내외적 자극을 경험하고 있으며 역동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변화는 획일적이기보다 지역의 고유성과 새로운 형식이 혼재되는 방식으로 전개된다. 제주도 촌락 공간의 변화 양상 역시 글로벌 촌락들의 상황과 마찬가지로 고유성을 유지하며 변화를 수용하고 절충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이 포착된다. 본 연구는 제주도 촌락 공간을 대상으로 2010년 이후의 변화상을 고찰하고, 제 주도 촌락 공간의 변화를 혼성적 변화로 이해하려는 시도이다. 이 연구에서는 제 주도 촌락 공간의 변화를 주민 구성, 공동체의 수행, 경관의 세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먼저 촌락 내 주행위자인 사람의 이주를 통해 촌락 공간 내에 다양한 사 람과 네트워크가 혼재되는 특징을 살펴보았다. 두 번째로 제주도 촌락공동체의 수행을 탐구하기 위하여 자생단체의 현황, 공동체의 실천을 통해 수행되는 역사 적·문화적·현대적 수행을 살피고 그 의미를 포착하였다. 셋째로 재현된 경관을 통하여 촌락의 가시적·비가시적 변화를 추적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제주도 촌락 공간에는 2010년 이후 인구의 유입이 급속도로 증가하여 다양한 정체성을 가진 주민과 네트워크가 혼재되어 있다. 이 들은 촌락 공간 내에 도시적 특징을 유입시킴으로써 촌락의 자연적·문화적·사회 적·경제적 변화를 유도하였다. 일부에서는 갈등이 드러나기도 하였으나 촌락 내 부에서도 변화를 수용하고 포용하기 위한 논의가 시작되었으며, 촌락은 혼성적 변화를 경험하고 있다. 한편 제주도 촌락 공간 내 주민의 고령화와 감소는 촌락성의 실천을 수행할 수 있는 구성원의 감소를 의미하며 수행에 있어서 변화를 유발하고 있다. 촌락공 동체는 일상생활에서 다양한 공동체의 수행을 실천하고 있으며, 각 구성원은 자 생단체에 소속되어 활동함으로써 소속감과 정체성을 획득한다. 인식의 변화와 주 민 구성이 혼성화됨에 따라 촌락 공간의 수행은 전통적인 형식이 점차 완화되고 도시의 형식을 수용하기도 하며 또 기존에 없었던 새로운 형식의 공동체 수행이 만들어지기도 하여, 공동체의 수행에서도 혼성화가 진행되고 있다. 제주도 촌락의 경관은 촌락의 다각화라는 대내외적인 요구에 따라 혼성화되는 과정을 겪고 있다. 촌락의 일상경관은 현대화, 도시화되는 과정에 있으며, 동시에 관광산업화를 위한 경관은 고유성을 강하게 유지하고 있다. 또 한편으로는 대규모 개발이 이루어지며 토지 이용이 변화하고 제주도의 촌락성을 대표하는 자연 경관들이 감소하는 상황으로 경관에서도 혼성적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제주도 촌락 공간은 2010년 이후 주민 구성에서, 공동체의 수행 측면에서, 경 관의 재현에서 도시적 특성이 혼재되는 변화를 경험하고 있으며, 혼성적 공간으 로 변화하고 있다. 제주도 촌락의 고유성을 유지하는 한편, 일부에서는 도시적 인식과 방법을 수용하고, 시대의 변화에 맞춰 변용하는 등 절충하는 ‘뒤섞이고 일시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혼성적 촌락으로 볼 수 있다. 본 논문은 제주도 촌락을 대상으로 촌락 공간의 변화를 추적하고, 그 성격을 종합적으로 이해하고자 하였다. 현장 조사와 주민 면담을 통하여 촌락 공간의 변 화를 구체적이고 맥락적으로 접근하였다는 데 의의를 두며, 이 연구가 국내 촌락 지리학 연구와 논의를 활성화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
Author(s)
양지혜
Issued Date
2024
Awarded Date
2024-02
Type
Dissertation
URI
https://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11849
Alternative Author(s)
Yang, Ji-hye
Affiliation
제주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지리교육전공
Advisor
오상학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 1
1. 연구 배경과 목적 1
2. 연구 범위와 내용 3
3. 연구 방법 8
Ⅱ.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 검토 14
1. 이론적 배경 14
2. 선행연구 검토 · 28
Ⅲ. 제주도 촌락 주민 구성의 혼성화 38
1. 인구 유출과 지속가능성의 위기 38
2. 인구 유입과 주민 구성의 변화 50
3. 촌락 주민의 혼성화와 ‘마을 사람’ 정체성 59
Ⅳ. 제주도 촌락성 수행과 소속감의 혼성화 66
1. 제주도 촌락의 촌락성 수행 66
2. 제주도 촌락의 자생단체와 소속감 74
3. 촌락성의 도시적 수행과 혼성화 84
Ⅴ. 제주도 촌락 경관의 혼성화 93
1. 일상생활 경관의 변화 93
2. 공동체 수행의 장소 114
3. 촌락 경관의 혼성화 · 122
Ⅵ. 요약 및 결론 133
[참고문헌] 137
[부록] 주민 면담 질문지 · 154
[부록] 면담·구술 자료의 수집 및 이용 / 개인정보·민감정보 수집 및 이용 동의서 157
Abstract 159
Degree
Doctor
Publisher
제주대학교 대학원
Citation
양지혜. (2024). 제주도 촌락 공간의 혼성화 연구.
Appears in Collections:
Faculty of Social Science Education > Geography Educ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 엠바고2024-02-12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