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오셀로』에 나타난 데스데모나의 여성성과 비극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f Desdemona's Feminity and Tragedy in Othello
Abstract
이 논문은 셰익스피어(Shakespeare)의 비극 『오셀로』(Othello)에 나타난 엘리자베스시대의 가부장적 사회체제아래 여성의 사회적 위치와 남성들에 의한 여성성의 파괴와 몰락으로 이어지는 비극의 문제를 데스데모나(Desdemona)를 중심으로 밝히는데 있다. 가부장적 사회에서 여성은 남성의 의해 소유물과 같은 존재였다. 따라서 여성은 침묵 그 자체이거나 설령 남성다운 여성조차도 남성의 위치에서 여성의 역할을 해야만 했다. 남녀의 성은 사회적 관계를 나타내는데 상당히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동시대의 극작가들은 그들의 작품에서 여성에 대해 그리고 불안정한 남성과 여성의 관계에 대해 극화하는 것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특히 가부장체제 아래에서 남성들은 여성들의 언어와 성을 지배함으로써 그들의 사회적 지위를 유지하기 위해 노력했다. 『오셀로』에서 데스데모나는 그녀의 언어가 지배됨으로써 남성들의 대리적인 역할을 얼마나 충실히 하는지 보여주고 있다. 한 여성의 언어는 한 남성의 쓸모없는 무모한 권력으로 종속되어지고, 이 무모함은 그 여성을 지배한 남성뿐만 아니라 여성 까지도 파멸로 이끌 수 있다. 이 극을 통해서 남성들은 서로 갈등과 긴장 속에서 싸우면서 발전하는데 그들의 분쟁의 희생자는 여성들이 되게 한다. 첫 번째 단계에서 데스데모나의 순수함과 적극적인 자존심은 이아고(Iago)의 간계로 오셀로의 질투심을 유발하는 원인이 되고 그로인해 데스데모나는 여성성의 충돌과 시련을 겪게 된다. 그 결과 무모하게도 순수한 한 여성의 여성성을 파멸에 이르게 된다. 이것은 남성들의 무의식적 개입에 의해 그들의 목표 대상을 황폐화하기위해 남성이 아닌 여성에게 놓여 졌다는 사실을 반영하고 있다. 하지만 오셀로와 데스데모나 모두가 끝내 간계에 의한 희생자들이 되고 있다. 결과적으로 그들의 사회의 질서를 절실히 유지하려고 한 그들은 자신들의 여성의 능력을 박탈함으로써 사회의 무질서에 대한 책임을 져야 하는 존재로 전락한다.
결론적으로 셰익스피어의 비극에선 자연적, 사회적 질서 모든 창조물 사이에 등급을 포함한 질서의 파괴자들은 마침내 죽음으로 발전한다. 아버지의 강한 충고에도 불구하고 불운한 영웅은 그들의 계급이 아닌 낯선 이방인 오셀로와 결혼을 함으로써 전통적인 질서를 거스른다. 우리는 잘못된 결혼으로 인한 두 인물을 통해 데스데모나는 내면적으로는 균형을 원했지만, 부조화를 이루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베니스 사회에서 베니스인인 데스데모나가 오셀로를 향하여 느끼는 매력은 자연의 법칙에 어긋난 것이며 용납되지 않는 행위이다. 다시 말하면, 데스데모나의 시대를 초월한 적극성은 베니스라는 사회에서 수용되지 못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amine Desdemona's feminity and tragedy in Othello. The study is to focus on the conflict and destruction of Desdemona's feminity and the weakness of females' social status within the patriarchal social system of the Elizabethan period. In the patriarchal social system the female was controled by the male. Hence, the female is supposed to be either silent or a dominant woman placing herself in a man's position. Therefore, the gender was a significant way of representing social dramatization of unstable gender relations between man and woman.
Under the patriarchical system, men have tried to maintain their social order by oppressing women's right to free speech. Shakespeare shows the audience how faithfully females can play their roles as puppets of males . Desdemona is perfect example, whose freedom of speech is suppressed just after marring Othello. A woman whose speech is subordinated as a man's belongings tends to be helpless and powerless. This situation can lead to the destruction of the woman as well as one of the man trying to dominate her.
This play is particularly true when it comes to the cause and effect made by male characters. Throughout this play, the men contend with each other while the women are the victims of their difficult situation. Above all, Desdemona's purity and positiveness strengthen Othello's jealousy by the artifice of Iago. As a result, Desedemona goes through a conflict and a trial. So, according to Iago's purpose, Desdemona results in taking away an innocent life and also ruining her feminity. This illustrates males' unconscious commitment to set the opposite sex as their object to ruin, though man and woman end in becoming the victim of the society and its system. In other words, those, who desperately want to maintain societal order are ironically turned into the ones responsible for their social disorder by incapacitating their women.
Unfortunately, Desdemona didn't show enough courage and strength before her death. Her weak behaviour before death stands in contrast to her bold explanation of that she gave her union with Othello before the Senate. Venice doesn't accept Desdemona's purity of positiveness of Desdemona beyond that time. Desdemona is victimized by the Venetian world as well as Othello, as the artifice of Iago.
In conclusion, in Shakespearean tragedy the destroyer of orders, including natural and social order and the gradation among all creatures, finally comes to end. In spite of her father's strong advice, the unfortunate heroine has violated the conventional order by marrying Othello, a stranger from her race, class and society. From this oddly matched couple, we can see a kind of disproportionableness, and not to establish without new ideas about marriage among races in our mind balance. Therefore, the attraction that Venetian girl feels towards Othello is aberrant and contrary to all the laws of nature.
Author(s)
洪美京
Issued Date
2008
Awarded Date
2008.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4380
Alternative Author(s)
Hong, Mi-Kyong
Department
교육대학원 영어교육
Advisor
宋一商
Table Of Contents
Ⅰ. 서 론 1
Ⅱ. 엘리자베스 시대의 세계관과 여성관
1. 세계관 4
2. 여성관 11
Ⅲ. 데스데모나의 여성성과 비극성
1. 데스데모나의 여성성 15
2. 데스데모나의 시련 21
3. 데스데모나의 몰락과 비극성 36
Ⅵ. 결 론 45
BIBLIOGRAPHY 48
ABSTRACT 51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洪美京. (2008). 『오셀로』에 나타난 데스데모나의 여성성과 비극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English Language Educ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