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이세보 시조의 문학세계와 교육적 의의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Literary World and Educational Signification of Lee Sae-Bo's Sijo
Abstract
李世輔는 조선후기 문신이자 왕실의 후예로 총 462수의 고시조 작품을 남긴 시조사상 최다 작가이다. 그동안 이루어져온 이세보 시조에 관한 연구는 대부분 현실비판시조나 애정시조에 치중하여 단편적으로 진행되어 왔다. 이 연구는 이세보 시조를 종합적으로 살피고, 교육적 의의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Ⅱ장에서는 이세보 시조의 문학세계를 이해하기 위한 기초 작업으로 작가의 생애와 19세기 시조의 동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세보는 19세기 봉건적 유교 사회가 해체되는 역사적 전환기에 순탄한 정치 활동을 하다가 세도가인 안동 김씨의 견제를 받고 薪知島에 유배되는 수난을 겪기도 하였다. 유배 생활은 이세보의 창작세계에 있어 현실에 대해 비판의식을 갖게 하였다. 19세기 시조는 도시의 난만한 성숙과 유흥의 번성을 배경으로 폭넓은 수용층을 확보하게 된다. 이 시기에는 󰡔歌曲源流󰡕와 󰡔南薰太平歌󰡕 계열로 구분되는 수많은 가집들이 출현하였으며, 조황·이세보와 같은 사대부들이 활발한 창작활동을 하였다. 사대부들이 한문으로 글을 짓는 틈틈이 餘技로 시조를 창작하던 관행 속에서 이세보는 과감하게 우리말로 시조를 창작하여 개인시조집을 편찬하였다. 이를 통해 이세보의 국문시가에 대한 애착을 알 수 있다.
Ⅲ장에서는 사대부의 윤리의식과 현실인식에 대해 이세보의 도덕시조, 현실비판시조, 농부가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세보의 시조에서도 조선조 초기 관료들의 시조가 가지고 있던 민풍 교화의 효용론적인 경향이 그대로 노정되어 있으며, 문학을 '載道之器'로 인식하고 經世의 수단으로 삼았음을 알 수 있었다. 도덕시조에는 유교이념을 내세우며 조선왕조의 사회체제를 유지하고자 한 사대부의 윤리의식이 나타났다. 현실비판시조에는 위민적 현실인식에서 수탈당하는 농민들의 참상을 고발하고, 부패한 관료들의 貪虐을 비판하고 깨우치기 위해 애쓴 목민관의 모습이 나타났다. 농사의 중요성과 勸農을 역설한 농부가에는 이세보가 전통적인 농경적 삶의 양식을 공동체적 삶의 문화로 인식하고, 농민들의 고충을 철저히 이해하고 있음이 나타났다.
Ⅳ장에서는 이세보 시조에 나타난 유배생활의 비애와 애정상사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세보는 유배지에서의 고독과 육체적 고통을 자신의 삶 주변에서 늘상 대할 수 있는 소재를 사용하여 표현함으로써 직접적으로 표출하고 있었다. 또한 이세보의 애정시조에는 유교이념 아래에서 사대부들이 금기시하던 '애정'이라는 주제를 인간 본연의 정서로 긍정하고 있었다. 대체로 이별의 슬픔을 노래하고 있으며, 대책이 없는 슬픔의 과잉 노출은 󰡔남훈태평가󰡕 계열의 시조들과 유사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이세보 시조는 유교윤리가 전체를 지배하던 사회 속에서 유교윤리의 주제를 벗어나 개인적 경험과 그로 인한 감정을 솔직하게 드러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Ⅴ장에서는 이세보 시조의 문학세계를 바탕으로 교육적 의의를 고찰하였다. 이세보 시조의 교육적 의의를 고찰하기 위해서 먼저, 제7차 교육과정의 문학 관련 교육목표를 제시하고, 중등 󰡔국어󰡕 교과서와 18종 󰡔문학󰡕 교과서에 수록된 시조 작품들을 분석하여 표로 제시하였다.
이세보 시조의 교육적 의의는 현 교육과정의 문학 관련 내용 체계를 검토하여 '자기체험을 통한 전통가치의 전수', '선조들의 삶에 대한 이해', '시조문학사의 이해'의 세 가지 영역으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유배라는 특수한 체험 속에서 忠孝와 같은 정서를 표출하는 이세보 시조를 통해 조상들의 윤리관을 확인할 수 있다. 이세보 시조를 통해 19세기 세도정치로 인한 관료들의 부정부패와 삼정의 문란 등 우리 역사가 근대로 진행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질곡과 모순에 대해 알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역사를 보는 올바른 눈을 키워 줄 수 있다. 또한 이세보 시조는 개화기 시조와의 교량적 역할을 하고 있어 고시조가 근대를 거쳐 현대시조로 이행해 가는 과정을 설명해 줄 수 있다. 이로 인하여 현 교육과정의 󰡔국어󰡕·󰡔문학󰡕 교과서에 수록된 시조 작품이 시기·작가·주제별로 편중되어 있는 문제점을 보완하고, 시조문학사를 통시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는 교육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Lee Sae-Bo was a civil minister and a royal family in late Joseon as well as he was a poet who left total 462 works of old sijo(Korean ancient poems) so that reported the largest number in sijo. Previous literatures about sijo of Lee Sae-Bo mostly had focused on a sijo of criticism against reality or a love sij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about literary world of Lee Sae-Bo's sijo comprehensively and to consider educational signification.
In chapter Ⅱ, as basic work for understanding literary world of Lee Sae-Bo's sijo, this study was to examine his career and trend of sijo in 19th century. Lee Sae-Bo did political activities smoothly while had gone through several difficulties such as the exile into Sinjido by a family in power, Andong Kims. Life during the exile made him be critical toward reality. Sijo in 19th century attracted wide readers with compliance with maturity of the city and prosperity of the amusement. At that time, a lot of anthologies, which were categorized into 󰡔Ka Kok Wollyu(歌曲源流)󰡕 and 󰡔Nam Hun Tae Pyeong Ka(南薰太平歌)󰡕, were emerged and the gentries such as Cho-Hwang and Lee Sae-Bo did creative activities lively. The gentries enjoyed to create sijo using Chinese writing as hobby, while Lee Sae-Bo created sijo using Korean and published private collection of sijo; it showed his love toward Korean poetry.
In chapter Ⅲ, ethical sijo, sijo of criticism against reality and farmer's song were examined in the perspective of ethics and recognition about reality of the gentry. Sijo of Lee Sae-Bo reflected the effectiveness of educating ethnic customs, and it showed that he recognized literature as the container of including moral values and used it as instructing world. Moral sijo reflected ideology of Confucianism and moral consciousness, which tried to keep social system of Joseon dynasty. Sijo of criticism against reality accused the sad situation of farmers, who were exploited, in the perspective of realistic recognition for the people, and illustrated the governor who tried to criticize and amend the greed and atrocity of corrupt officials. Farmer's song, which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agriculture and encouraged agriculture, reflected that Lee Sae-Bo recognized traditional agricultural living style as the culture of community's life and he fully understood difficulties of farmers.
In chapter Ⅳ, sadness of life during the exile and loving affair in sijo of Lee Sae-Bo were looked about. Lee Sae-Bo represented directly his loneliness and physical suffering in the place of exile using materials that were able to be found commonly in his life. In addition, love sijo of Lee Sae-Bo treated positively the motif of 'love', which was taboo in the gentries under the ideology of Confucianism. Generally, his sijo sang the sadness of parting, and it showed that excessive exposure of the sadness, which was hard to deal with, was similar with sijo of 󰡔Nam Hun Tae Pyeong Ka(南薰太平歌)󰡕. Such sijo of Lee Sae-Bo is significant in the point of freeing itself from ethics of Confucianism under the society that Confucianism was dominant and representing frankly private experiences and emotion, which was resulted from by such experiences.
In chapter Ⅴ, this study considered educational signification based on literary world of Lee Sae-Bo's sijo. For it, this study suggested first educational goals related to literature in the 7th curriculum, analyzed works of sijo which were included in secondary 「Korean」 textbook and 18 kinds of 「Literature」 textbooks, and then delineated the result using the table.
Educational signification of Lee Sae-Bo's sijo in content system related to literature in current curriculum was examined in three areas: 'transmission of traditional values through self-experiences', 'understanding about ancestral life' and 'understanding about the literary history of sijo.' Sijo of Lee Sae-Bo, which represented emotion like loyalty and filial piety in special experience of exile, showed ancestral ethics. Sijo of Lee Sae-Bo also showed fetters and contradictions in transitional period toward modern such as irregularities and corruption of officials by Sedochongchi(勢道政治; government of near relative of king and retainers with power), disorder of three governmental affairs and etc, which will be useful to cultivate the ability of understanding the history properly. In addition, sijo of Lee Sae-Bo played role like the bridge of connecting to sijo of the flowering time, so that it showed the process that old sijo transited from modern sijo to present sijo. Therefore, the problem of sijo in 「Korean」 and 「Literature」 textbook, which attached too much importance to the periods, the writers and the subjects, should be complemented. From it, educational effect of enabling to understand the literary history of sijo diachronically can be expected.
Author(s)
李智賢
Issued Date
2008
Awarded Date
2008. 8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jejunu.ac.kr/handle/2020.oak/17323
Alternative Author(s)
Lee, Ji-Hyun
Department
교육대학원 국어교육
Advisor
孫五圭
Table Of Contents
Ⅰ. 서 론 1
1. 연구 목적 1
2. 선행 연구 검토 3
3. 연구 대상과 방법 5

Ⅱ. 생애와 19세기 시조의 동향 7
1. 생애와 창작 배경 7
2. 19세기 시조의 동향 11
3. 국문시가에 대한 애착 15

Ⅲ. 사대부의 윤리의식과 현실인식 20
1. 도덕시조의 교훈성 21
2. 위민적 현실인식 30
3. 공동체적 삶의 문화 이해 40

Ⅳ. 유배생활의 비애와 애정상사 45
1. 유배생활의 회한과 고통 46
2. 애정상사의 대중성 50

Ⅴ. 교육적 의의 62
1. 자기체험을 통한 전통 가치의 전수 66
2. 선조들의 삶에 대한 이해 69
3. 시조문학사의 이해 72

Ⅵ. 결론 78

❈ 참고문헌 82
❈ Abstract 86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1]李智賢, “이세보 시조의 문학세계와 교육적 의의,”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Korean Language Educ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