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중 · 고등학교 영어학습자의 연어 (collocation) 이해 정도와 지도 방안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the Knowledge of English Collocation and Its Teaching Methods in Korean Secondary School
Abstract
성공적인 의사소통에 필요한 언어능력의 한 요소인 어휘는 언어학습에서 중요한 위치에 있다. 기존의 어휘습득은 개별적 어휘 학습이 강조되었다. 그러나 어휘 교육의 초점은 어휘 형태(form)의 습득에 맞춰져 어휘의 의미적, 사용적 측면은 크게 강조되지 못하였다. 90년대 들어 어휘접근법(lexical approach)의 등장은 언어가 개별단어의 모임이 아니라 어휘들이 한 뭉치(chunk)로서 총체적 사용을 강조하기 시작하였다. 어휘 뭉치는 문법적으로 구조화된 것이 아니라 주어진 상황에 알맞은 사용을 강조한다. 이러한 어휘 뭉치 연구에서 연어(collocation)가 그 많은 연구의 관심을 받아 왔다. 연어란 어휘들이 습관적으로 함께 나타나는 결합관계를 말한다. 연어를 아는 것은 어휘지식을 높이는데 도움이 될 뿐 아니라 의사소통능력에서 정확성과 유창성을 향상시키는데도 효과가 입증되었다.
연어에 대한 연구는 연어와 어휘지식과의 관계, 학습자들의 연어의 어휘적, 문법적 유형의 이해정도, 연어 오류 양상 등을 중심으로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기존 연구는 문장이나 담화 내에서의 연어의 이해, 즉 수용적 지식(receptive knowledge)을 밝히는 데에 그 초점을 두었고 학습자들의 연어를 직접 사용하는 표현적 지식(productive knowledge)과 관련된 연구는 거의 진행 되지 못하였다. 뿐만 아니라 연어의 유형 중 문화적, 화용적인 요소를 포함하고 있는 연어 사용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구체적 목표를 살펴보았다.
첫째, 중·고등 학습자들의 영어 연어의 전반적인 수용적 지식과 의사소통과 관련된 연어의 표현적 지식의 정도를 살펴보았다.

※ 본 논문은 2008년 8월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
둘째, 영어 학습정도와 연
[숨은설명:시작]

[숨은설명:끝]
어의 이해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중·고등학습자를 대상으로 그들의 영어 학업성취도에 따른 연어 이해관계도 연구해보았다. 셋째, 학습자들의 폭넓은 연어 유형의 이해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문화적, 화용적 요소를 포함하고 있는 연어 유형에 대한 학습자들의 반응을 알아보았다. 마지막으로 현직 영어교사의 연어 이해와 지도실태에 대한 설문을 통해 연어 사용 양상에 대한 실태를 살펴보았다.
연어 유형에 따른 학습자들의 이해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연어 유형을'형용사+명사󰡑연어,󰡐통사적󰡑연어,󰡐문화적󰡑연어로 분류하여 설문지를 구성하였다. 설문지는 총 50문항으로 구성되었는데󰡐형용사+명사󰡑연어 15문항,󰡐통사적󰡑연어 15문항,󰡐문화적󰡑연어 20문항이다. 학습자들의 연어 수용적 지식과 표현적 지식을 알아보기 위해 설문 유형을 선택형과 서술형으로 구성하였다. 선택형 문항에서󰡐형용사+명사󰡑연어는 4지 선다형으로 구성되었고󰡐통사적󰡑,󰡐문화적󰡑연어는 학습자들에게 두 개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하였다. 서술형에서는 해당 연어를 사용하여 괄호를 채우도록 하였다. 설문을 통한 학습자들의 연어 이해 정도와, 유형별 연어 사용 실태, 학업성취도와 연어지식 관계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 · 고등학습자의 연어 이해 정도는 총 문항 중 50% 못 미치는 낮은 반응을 보였다. 설문 응답에서는 서술형보다 선택형에서 높은 반응을 보였다. 이것은 학습자들의 의사소통 능력과 직결되는 연어의 활용과 관련된 표현적 지식이 부족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둘째, 설문에서 연어능력이 낮은 학습자보다 연어능력이 높은 학습자가 영어 학업 성취도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모든 집단의 학습자들은 연어 유형별 중'형용사+명사󰡑의 연어를 가장 어려워하였고, 어려움의 정도는󰡐문화적󰡑연어,󰡐통사적󰡑연어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형용사+명사󰡑연어의 연결은 단어들의 결합이 고정되지 않아 학습자들이 모국어에서 사용되는 형용사들이 의미적으로 적합한 것으로 판단하여 결합시키는데 원인이 있다.
마지막으로 교사를 대상으로 한 연어 사용 및 지도 실태에 대한 설문을 실시해 보았다. 설문 결과에 따르면 대부분의 교사가 연어의 개념을 알고 있지만 실제 수업에서 연어지도가 활발히 진행되지 않고 있었다. 연어 습득의 필요성과 연어가 의사소통에 도움이 된다는 것에는 많은 교사가 공감하고 있었다. 연어와 언어 기능과의 관계에 있어서는 연어가 읽기, 쓰기, 말하기, 듣기 모든 영역에 도움이 된다고 하였는데 특히, 연어가 말하기와 쓰기에 가장 도움이 된다고 하였다. 이는 교사들이 연어가 실제 의사소통에서 표현적 지식에 도움을 준다는 것에 공감하고 있는 것을 말해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외국어 학습의 목표인 의사소통 성공에 중요한 요소인 연어능력에 대한 이해 및 사용능력이 중·고등학습자들에게 부족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연어 사용에 대한 표현적 지식이 낮음은 학습자들의 연어사용이 적극적 어휘 습득과 활용에 연결되고 있지 못함을 말해준다. 현직에 있는 교사들의 설문 결과는 연어 지도의 필요성을 공감하고 있지만 실제 학습에서 연어 지도에 소홀히 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과거 전통적 개별 어휘지도에서 관련어휘를 뭉치로 연계시켜 가르치는 연어 지도가 필요하다. 더 나아가 교사는 효율적인 연어 지도방법을 개발하여 학습자들의 개별 어휘 능력 뿐 아니라 의사소통능력을 함양시켜야 할 것이다.
Lexico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parts in successful communication. In the aspects of second language teaching, however, vocabulary teaching has been focused on form and use of words in communicative context was ignored. In addition, vocabulary was regarded as an individual word. Accordingly, lexical approach which views words as a chunk appeared in the 90's. In lexical approach, the language consists of meaningful chunks and by recognizing these chunks, learners develop not only their vocabulary knowledge but also communicative competence. Collocation is thought to be the most important types of lexical phrases in lexical approach. It is meant the habitual association of a word in a language with other particular words in sentences. According to several studies, it is turned out that collocation is helpful to improve accuracy as well as fluency in language learning. Considering studies on collocation, most studies focused only on learners' receptive collocation knowledge and few studies on use of collocation in cultural context has been done.
Therefore, five related research questions were focused in this study.:
First, how much do Korea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have collocation
competence, especially, productive knowledge of collocation?

※ A thesis submitted to the Committee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heju National University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s for the degree of Master of Education in August,2008
Productive knowledge included speaking and writing, two critical components of the process of communication.
Second, is there any relationship between their English proficiency and the collocational ability?
Third, what kind of collocation types are students acquainted with well?
There are three types of collocation in this study: TypeⅠ(Adjective-Noun collocation), TypeⅡ(Syntactic collocation), and Type Ⅲ(Cultural collocation).
Forth, how much do teachers recognize the importance of collocation in language learning and how well is collocation taught in vocabulary teaching?
Lastly, what are effective teaching methods of English collocation?
Concerning this study, four related research questions were performed.
In order to answer to those questions, 161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ere chosen as the subject group and they were given 50 collocations questions. In the questionnaire, three types of collocations are composed: TypeⅠ made up of 15 questions, typeⅡ made up of 15 questions, and typeⅢ made up of 20 questions. Multiple choice questions for typeⅠ, Ⅱ and open-ended questions for typeⅢ are administered. The analysis and findings of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Korea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collocation competence was quite low, particularly, in productive knowledge of collocation.
Second,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relatively high degree of correlation between students' English proficiency and their collocation ability.
Third, among the three types of collocation, the knowledge of type I was the lowest.
Fourth, most of English teachers in the study agreed with the importance of collocation teaching and significant effect on communicative competence. In spite of its effectiveness, the collocation teaching is not carried out well.
Based on those results, it is concluded that collocational competence of the students is insufficient. Therefore, to improve not only students' collocational competence but also their communicative competence, students should recognize importance of collocations in their English learning. Furthermore it is important that effective teaching methods of collocation for improving learners' productive knowledge should be developed and continuous collocation research should be accompanied.
Author(s)
박현주
Issued Date
2008
Awarded Date
2008.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4376
Alternative Author(s)
Park, Hyun-Ju
Department
교육대학원 영어교육
Advisor
梁彰容
Table Of Contents
Ⅰ. 서 론 1

Ⅱ. 이론적 배경 4
2.1 어휘학습의 추이 4
2.2 의사소통과 어휘학습 7
2.3 연어의 정의 10
2.4 연어의 분류 13
2.5 연어의 선행연구 18
2.6 연어학습의 의의 22

Ⅲ. 연구 방법 및 절차 27
3.1 연구 목적 27
3.2 연구 대상 27
3.3 연구 방법 및 내용 28
3.4 연구 문제 및 가설 30

Ⅳ. 연구 결과 및 분석 32
4.1 연어 이해 정도 32
4.2 유형별 오류 양상 35
4.3 수준별 연어 이해 정도 37
4.4 학습자 수준별에 따른 연어 유형별 이해정도 40
4.5 문항별 연어 이해 정도 43
4.6 연어지도 현황 및 분석 52

Ⅴ. 효과적인 연어 지도방안 55
5.1 연어 유형별 지도 방법론 55
5.2 의사소통을 위한 연어지도 58

Ⅵ. 결론 64

참고 문헌 68
ABSTRACT 73
76
81
85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박현주. (2008). 중 · 고등학교 영어학습자의 연어 (collocation) 이해 정도와 지도 방안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English Language Educ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