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현행 고등영어 학습활동책 분석과 개선방안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n Analysis of High School English Activity Books and Suggestions for Improvement : Focusing on Listening Comprehension Activities
Abstract
제 7차 영어과 교육과정에서는 학생 개인차를 반영하여 학습자의 수준과 특성을 고려한 수준별 교육을 제창하였으나 여러 시행상의 어려움을 겪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2007년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에서는 수준별 수업을 지원하기 위해 영어 학습활동책을 개발하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준별 수업을 위해 제공된 고둥영어 학습활동책의 듣기 활동이 수준별로 갖는 특징을 알아보고 개정안의 내용을 충실히 반영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학교 현장에서의 학습활동책의 활용도를 살펴보며 듣기 활동의 보완점 및 개선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현재 고등학교 1학년에서 사용 중인 5종의 학습활동책의 수준별 듣기 활동을 듣기 과정과 듣기 세부 기술면에서 비교 분석하였으며 수준별 수업 시 학습활동책을 활용하는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충단계의 듣기 활동은 상향식 듣기 과정 위주로 듣고 단계적으로 이해하는 활동이 많았으나 듣기 세부 기술면에서는 다양한 기술을 습득하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기본단계의 듣기 활동에서는 하향식 듣기 과정의 비중이 적었으며 듣기 세부 기술에서는 일부 기술에 편중되어 있었다. 심화단계의 듣기활동은 상호작용식 듣기 과정 위주로 제시되고 다른 언어 기능과의 통합 활동이 많았으나 듣기 세부 기술면에서는 편중현상이 제일 심하였다. 한편 '초분절음 인식'과 '언어수행변이'는 학습활동책을 통틀어 전 단계에 걸쳐 전혀 반영되지 않은 듣기 세부기술로 분석되었다.
둘째, 듣기 활동은 2007년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의 문화와 통합 활동 및 소집단 활동과 관련된 내용을 충실히 반영하고 있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교사들의 수준별 듣기 활동의 내용과 구성에 대한 만족도는 높은 편이나 학습활동책의 활용도는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듣기 입력 자료로 실제성 있는 자료가 부족하고 다양한 듣기 세부 기술을 습득할 수 있는 듣기 활동이 부족하였다.
본 연구자는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해 드러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점을 제안한다.
우선, 교육당국은 학습활동책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교과서 개발자는 2007년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의 내용을 잘 반영하고 학생 능력에 알맞은 듣기 활동을 개발하여 듣기 능력 향상에 도움이 되도록 해야 한다. 또한 실제성 있는 듣기 입력 자료와 다양한 듣기 세부 기술을 학습할 기회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특히 '초분절음 인식'과 '언어수행변이'는 그 중요성 면에서 이를 위한 듣기 활동이 보충될 필요가 있겠다. 마지막으로 교사는 학습활동책의 듣기 활동에서 부족한 듣기 세부 기술을 보충해야 하며 교실에서의 의사소통 기회를 늘리기 위해 소집단 활동으로 듣기 활동을 진행하며 듣기활동을 다른 기능과의 통합 활동으로 재구성하여 언어 기능의 고른 발달을 꾀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listening comprehension activities of the high school activity books, which are newly developed and authoriz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ccording to the 2007 revised national education curriculum. The high school activity books contain three different levels of listening comprehension activities which are prepared for supplementary class, basic class, and advanced class. Listening comprehension activities in each level are analyzed in terms of the listening comprehension process and listening sub-skills. In addition, questionnaires on listening comprehension activity were issued to 45 high school teachers who have used this books.

The result of this analysis and survey is as follows:
First, listening comprehension activities for supplementary classes are found to show higher percentage in the bottom-up process and present the most listening sub-skills. Whereas listening comprehension activities for basic classes have lowerer percentage in the top-down process and offer the second most listening micro-skills. Lastly the interactive process is favored in listening comprehension activities for advanced classes with the least listening sub-skills.
Second, the high school activity books doesn't reflect properly the content of the 2007 revised national education curriculum, especially about the culture, small group activity, and integration of 4 language skills.
Third, teachers who have utilized the high school activity books show positive attitudes on them but don't use them much during classes.
Fourth, language input for listening comprehension activities lack the authenticity. Also listening comprehension activities are not designed for the acquisition of the different kinds of listening micro-skill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nd the questionnaire survey, the following suggestions have been made. First, the authorities should seek the ways to make better use of the high school activity books. Second, textbook writers need to develop the appropriate listening comprehension activities for each level which reflect the content of the 2007 revised national education curriculum. They should consider the authentic materials and various listening sub-skills as the key factors when they design listening comprehension activities. Third, it is suggested that teachers should try to provide opportunities to communicate for students through small group activities and integration of 4 language skills.
Author(s)
임주연
Issued Date
2010
Awarded Date
2010.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5088
Alternative Author(s)
Im, Ju yeon
Affiliation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영어교육
Advisor
김종훈
Table Of Contents
목 차

국문초록 ⅰ
목 차 ⅲ
표 목 차 ⅴ
그림목차 ⅵ

Ⅰ. 서론 1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1.2 연구의 구성과 제한점 3

Ⅱ. 이론적 배경 4
2.1 2007년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 4
2.1.1 2007년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의 주요 내용 4
2.1.2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서의 영어과 수준별 수업 8
2.1.3 수준별 보조교과서로서 학습활동책의 역할 10
2.2 의사소통 중심 영어 교육에서 듣기의 중요성 14
2.2.1 듣기 과정 16
2.2.2 듣기 세부 기술 19

Ⅲ. 학습활동책 듣기 활동 분석 26
3.1 분석 대상 26
3.2 분석 범위 26
3.3 분석 기준 27
3.4 분석 결과 29
3.4.1 분석의 실례 29
3.4.2 수준별 듣기 활동의 듣기 과정 비교 분석 결과 3
3.4.3 수준별 듣기 활동의 듣기 세부 기술 비교 분석 결과 39
3.5 분석 결과 논의 및 교육적 시사점 45

Ⅳ. 학습활동책의 듣기 활동에 관한 설문조사 48
4.1 설문 조사 대상 및 설문지 구성 48
4.2 설문 조사 결과 48
4.3 설문 조사 결과 논의 및 교육적 시사점 56

Ⅴ. 결론 및 제언 59


참 고 문 헌 62

ABSTRACT 64

고등영어 학습활동책(activity book)의 수준별 듣기 활동에 관한 설문지
65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임주연. (2010). 현행 고등영어 학습활동책 분석과 개선방안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English Language Educ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