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펀드매니저의 종목선택과 시장예측 능력에 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the Selectivity and Forecasting Ability of Fund Manager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자산운용회사와 펀드의 유형에 따른 펀드매니저의 종목선택과 시장예측 능력을 평가 및 비교하고자 하였다.
Treynor-Mazuy의 회귀모형으로 베타가 시가변(time varying)하지 않다는 무조건부모형과 시가변하다는 조건부 모형을 통해 펀드매니저의 종목선택과 사적인 시장예측능력을 측정하였다.
2005년 8월 1일부터 2008년 7월 31일까지의 3년간의 설정액 100억원 이상인 국내 주식형펀드 149개(성장형 86개, 안정성장형 21개, 안정형 42개)를 사용하여 검증을 실시 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의 국내 선행연구에서는 모두 주간수익률만을 가지고 연구하였으며, 단순히 성장형, 안정성장형, 안정형 펀드만을 구분하여 연구가 이루어 졌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주간수익률 뿐만 아니라 일간수익률과 월간수익률을 사용하였으며, 전체펀드와 펀드의 주식편입 비중에 따라 성장형, 안정성장형, 안정형 펀드로 구분하고, 이를 전체기간과 시장상황에 따라 상승장과 하락장으로 구분하여 다양한 검증을 실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일간수익률과 주간수익률을 이용한 Treynor-Mazuy 무조건부모형에 의한 검증 결과는 종목선택과 시장예측 능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負(-)의 계수 즉, 펀드매니저의 종목선택과 시장예측 능력이 없음을 의미하는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기존의 우재룡(1994), 임웅기·우재룡(1997) 등의 국내연구의 결과와 일치한다. 반면에 월간수익률을 이용한 Treynor- Mazuy의 무조건부모형 검증 결과는 펀드매니저의 시장예측 능력이 있음을 의미하는 正(+)의 계수값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상승장과 하락장 등 시장상황과 관계없이 동일하게 나타나고 있다.
둘째, 일간수익률과 주간수익률을 이용한 Treynor-Mazuy 조건부모형에 의한 검증 결과는 종목선택과 사적인 시장예측 능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負(-)의 계수 즉, 펀드매니저의 종목선택과 사적인 시장예측 능력이 없음을 의미하는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기존의 임웅기·우재룡(1997) 등의 국내연구의 결과와 일치한다. 반면에 월간수익률을 이용한 Trynor- Mazuy의 조건부모형 검증 결과는 성장형과 안정성장형 펀드에서 사적인 시장예측 능력이 있음을 의미하는 正(+)의 계수값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상승장과 하락장 등 시장상황과 관계없이 동일하게 나타나고 있다.
셋째, 개별펀드를 이용한 Treynor-Mazuy 무조건부모형에 의한 검증 결과는 142개의 펀드에서 종목선택과 시장예측 능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負(-)의 계수 즉, 펀드매니저의 종목선택과 시장예측 능력이 없음을 의미하는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기존의 강호성(2001) 등의 국내연구의 결과와 일치한다. 반면에 신영VIP밸류혼합1 Class B, 미래에셋인디펜던스 50채권혼합, 신영연금주식혼합1, Franklin Templton Income 혼합1, 프라임 배당혼합, 삼성웰스플랜50혼합1, 푸르덴셜개인연금 등 7개의 펀드에서는 시장예측 능력이 있음을 의미하는 正(+)의 계수값을 보여주고 있다. 한편, 개별펀드를 이용한 Treynor-Mazuy 조건부모형에 의한 검증 결과는 141개의 펀드에서 종목선택과 사적인 시장예측 능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負(-)의 계수 즉, 펀드매니저의 종목선택과 사적인 시장예측 능력이 없음을 의미하는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기존의 강호성(2001) 등의 국내연구의 결과와 일치한다. 반면에 ING미래만들기주식국민3, 신영VIP밸류혼합1 Class B, 미래에셋 인디펜던스50채권혼합, Franklin Templton Income 혼합1, 프라임배당혼합, 푸르덴셜개인연금, 신영플러스안정형 5 등 8개의 펀드에서는 사적인 시장예측 능력이 있음을 의미하는 正(+)의 계수값을 보여주고 있다.
넷째, 운용사별 구분 주간수익률 자료를 이용한 Treynor-Mazuy 무조건부와 조건부 모형에 의한 검증 결과는 종목선택과 사적인 시장예측 능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負(-)의 계수 즉, 펀드매니저는 종목선택과 시장예측 능력이 없음을 의미하는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반면에 월간수익률을 이용한 검증에서는 시장예측 능력에서 유의한 正(+)의 값이 관찰되어 펀드매니저가 사적인 시장예측능력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일간수익률과 주간수익률에 기초한 분석에서 펀드매니저의 종목선택과 시장예측 능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펀드 투자자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며, 간접적으로 효율적시장가설 즉, 시장이 효율적 이어서 초과이익을 얻을 수 없다는 가설을 지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Recently, the Korean financial market has been rapidly growing, and in particular, the size of fund market has risen by 132% compared to those in 2001.
The investors' interest in the fund investment, which is expected to form higher rate in the future, is focused on the fund performance, which is different from the case of the direct investment for which investors judge the long and short time of each issue, such as stock and bond by themselves. The fund performance is put importance on because individual investors have less information and higher dependency on the operating results than organization investors. Furthermore, it's because individual investors tend to concentrate their investment on the asset management companies or funds with higher earning rate or with good reputation.
This study aims at evaluating and comparing the fund managers' selectivity ability and forecasting ability, according to the fund types and asset management companies. To accomplish this purpose, Treynor-Mazuy's quadratic model was applied to the examination, using the daily, weekly, and monthly earning rate of funds. The funds were categorized into growth fund, growth-stability fund, and stability fund, depending on the stock rate, and they were also inquired into, depending on the market conditions of the period of rising price index of stocks and the period of falling price index of stock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ings.
First, the fund managers' ability to choose a stock issue and to predict the market was not verified in case of the daily and weekly earning rate of the growth fund, growth-stability fund, and stability fund, which were categorized by the stock rate. On the other hand, in case of examination with monthly earning rate, it was proved that fund managers had the ability to predict the private market.
Second, when each fund used in the study was inspected, the fund managers' selectivity ability and forecasting ability were not proved with 142 funds, and the selectivity ability and private market predicting ability were not verified with 141 funds. However, the results with 7 funds showed the fund managers had the ability to predict market, and 8 funds displayed the result of the ability to predict private markets.
Third, when each asset management company was examined by using weekly earning rate data, the fund managers' selectivity ability and forecasting ability were not proved, while the inspection using the monthly earning rate data revealed the existence of the ability to predict private market.
In conclusion, these results mean there was no ability to choose an issue and to predict market in the analysis based on daily and weekly earning rate. They imply many things to the fund investors, and they indirectly support the efficient market hypothesis, namely, the hypothesis that no excessive profits can be made because markets are efficient.
Author(s)
김용범
Issued Date
2009
Awarded Date
2009. 2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4607
Alternative Author(s)
Kim, Yong-Beom
Affiliation
제주대학교 경영대학원
Department
경영대학원 경영학과
Advisor
강석규
Table Of Contents
제 1 장 서론 = 1
제 1 절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 1
제 2 절 논문의 구성 = 2
제 2 장 우리나라 간접투자시장과 펀드의 성과평가 = 3
제 1 절 우리나라 간접투자자산 현황과 의의 = 3
1. 수신동향 = 3
2. 우리나라 간접투자자산운용업 = 5
제 2 절 펀드의 성과평가 = 9
1. 성과평가의 개요 = 9
2. 성과평가 기초사항 = 12
제 3 장 포트폴리오 성과평가에 관한 이론 = 18
제 1 절 성과평가방법에 관한 이론 = 18
1. Treynor(1965) 모형 = 18
2. Sharp(1966) 모형 = 19
3. Jensen(1968) 모형 = 19
4. Treynor - Black(1973) 모형 = 20
5. Treynor - Mazuy(1966)의 연구 = 21
제 2 절 국내의 기존연구 = 23
제 4 장 실증분석 = 30
제 1 절 자료의 선정과 변수의 정의 = 30
1. 자료의 선정 = 30
2. 변수의 정의 = 30
제 2 절 연구모형의 설정 = 32
제 3 절 연구가설설정 = 34
제 4 절 실증분석결과 = 35
1. 기초통계량 분석 = 35
2. 무조건부 성과평가모형을 이용한 실증검증 = 37
3. 조건부 성과평가모형을 이용한 실증검증 = 41
4. 펀드별 모형 검증 = 46
5. 운용사별 모형 검증 = 48
제 5 장 결론 = 53
제 1 절 요약과 시사점 = 53
제 2 절 연구의 한계와 향후 연구방향 = 55
참고문헌 = 56
ABSTRACT = 59
부록 = 61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경영대학원
Citation
김용범. (2009). 펀드매니저의 종목선택과 시장예측 능력에 관한 연구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Business Administration > Business Administr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