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초등영어수업에 나타난 교사언어 비교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Comparative Analysis of Korean and English Native Teacher Talk
Abstract
본 연구는 원어민보조교사와 한국인 영어전담교사(이하, 전담교사)의 수업에서 나타난 교사언어 비교를 통해 영어수업에서 교사언어의 효율적인 사용 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 두 집단의 영어수업에서 사용한 교사언어가 전사되었으며, 전사된 자료는 언어적 쓰임을 중심으로 분석되었다. 구체적으로 교사언어에 나타난 구문론적 특징, 문장의 종류, 질문의 유형, 교사와 학생 간에 이루어지고 있는 상호작용 등을 살펴보았다. 초등학교 4학년에서 6학년까지 영어수업을 담당하는 교사들이 본 연구에 참가하였다. 전체적으로 각 집단에서 교사들이 사용하는 영어는 언어적 관점에서 분명한 차이를 보여주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나타난 차이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담교사의 영어 사용량과 문장의 길이는 원어민보조교사가 사용한 총 단어 수와 비교하여 49%정도로 낮았다. 고학년으로 올라갈수록 문법지식이나 이해를 위해 모국어를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원어민보조교사와 전담교사의 문장의 유형을 비교해 본 결과 원어민보조교사는 서술문을 더 많이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고 전담교사인 경우는 명령문의 사용과 의문문의 사용이 원어민보조교사보다는 상대적으로 더 많이 나타났다.
셋째, 원어민보조교사 집단이 전담교사 집단보다는 참조형 질문을 더 많이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전시형 질문과 참조형 질문의 양을 비교한 결과 두 집단 모두 전시형 질문의 사용이 참조형보다 훨씬 많게 나타났다.
넷째, 전담교사는 언어섞기 현상이, 원어민보조교사는 제스처의 빈번한 사용이 특징적으로 나타났다. 언어섞기 현상은 전담교사가 문법이나 언어 지식을 설명하는 경우, 수업을 원활하게 진행하기 위하여, 확인이나 반복의 목적을 위해서 사용하였다. 원어민보조교사는 교사의 언어 사용에 제스처를 동반하였다. 원어민보조교사들이 사용하는 동작적인 활동은 학생들에게 새로운 어휘나 상황을 쉽게 이해하도록 도와주고 학습 분위기를 활기 있게 운영해 나간다.
우리나라와 같이 영어를 외국어로 교육하는 환경에서 교사가 사용하는 언어는 학생들에게 중요한 입력 자료이다. 교사는 학생들에게 다양하고 풍부한 언어 사용을 통해 학습자들이 언어 능력 개발을 도와 줘야 한다. 다양한 정보 제공을 위해 사용되는 교사언어는 상호 의사소통을 촉진하고 학생들의 언어 능력 향상에도 도움이 된다. 의사소통은 언어적인 요소뿐만이 아닌 비언어적인 요소도 함께 작용을 하는 것이기 때문에 교사들은 언어 능력에만 의존하지 말고 원활한 상호작용을 이끌고 유지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 본 연구는 각 집단의 교사들이 갖고 있는 장점과 언어 능력을 최대한 활용할 필요성이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예시적으로 질문에 있어 참조적인 질문으로 상호작용을 유발하고, 비언어적 제스처나 그림, 그리고 기타 다양한 언어 자료를 사용하여 학습자의 내적 의지를 활성화 시켜나가야 한다. 아울러 원어민보조교사와 전담교사들이 협동 수업 등을 통해 교사언어 사용의 다양성에 대한 인식을 높여 나갈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wofold: 1) to compare how Korean and English native teachers talk in elementary English class, and 2) to suggest how such comparison helps teachers develop their English ability at English class. Specifically, it is expected that this kind of comparison can provide the better insight into developing how teachers talk in elementary English class.
For this study, two groups of teachers are selected: Korean and English native teachers. For the data collection, the researcher chose eight elementary classes posted into the homepage of the Local Government of Education Office. All data was transcribed by researcher. The transcribed materials were analyzed in terms of linguistic aspects such as sentence types, code-switching, forms of questions and interactional aspects such as discourse marker and gestures.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
First, length of the average sentence by English-native teacher was found to be much longer than Korean's. This might mean that the words used by Korean teachers are somewhat limited. Korean students are placed in an EFL situation, making it difficult for them to listen to and to speak English outside the classrooms. Thus, Korean teachers should keep in mind that they can stand out as good English learning models for students and try to provide diverse and rich input in English classes.
Second, as for the type of sentence, English-native teacher used mostly declarative sentences in class while Korean teachers frequently used imperatives and questions. English-native teachers used declarative sentences when they guide the role of games or activities. Korean teachers code-switch English and Korean in the following: 1) They guide the role of games, 2) They check whether students understand the teacher's message or not and 3) They want to make class go through. Imperatives made some restriction on interactions between students and teachers, thus teachers should control using imperatives and try to use authentic expression.
Third, after classifying wh-questions by function, the study discovered that English-native teachers used more referential questions. Both groups used display questions more than referential ones. It means that both of the two groups need to make an effort to communicate to encourage more interaction.
Forth, each group somewhat have their own characteristics. It was found that gestures were used more frequently by English-native teachers and code-switching by Korean teachers. When Korean teachers explained English grammar, they used Korean to check for understanding in order for the class to proceed smoothly. On the other hand English-native teachers depended on gestures when they were explaining a new word or other spontaneous situations in a natural way.
It is natural that some differences exist in English-native teachers and Korean ones. But the important thing to note is that the quality of teacher talk is not determined by speaking English. Communicative competence is affected by linguistic and nonlinguistic elements.
In conclusion, to maintain constant interaction with the students and to encourage maximum student speaking time, the teacher should try to use various materials and methods. Also they should sustain their concentration and interest in order to communicate with the students.. This can be done by minimizing the use of Korean in the classroom, and instead relying solely on English, using gestures to communicate and trying to use authentic expressions where possible.
Author(s)
강순열
Issued Date
2011
Awarded Date
2011.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5521
Alternative Author(s)
Kang, Soon yeol
Affiliation
제주대학교
Department
교육대학원 영어교육
Advisor
양창용
Table Of Contents
국문초록 ⅰ
목차 ⅲ
표목차 ⅴ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의 내용 3
3. 연구의 제한점 4
4. 용어의 정의 4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 연구 5
1. 제2언어 습득과 상호작용 5
1.1 입력가설 5
1.2 상호작용 가설 6
1.3 출력 가설 7
2. 교사언어 8
2.1 교사언어의 정의 8
2.2 교사언어의 특징 8
2.3 교사 질문 9
2.4 질문의 유형 11
3. 의사소통능력 13
4. 교사언어에 대한 선행연구 17

Ⅲ. 연구 방법 22
1. 연구 절차 및 대상 22
1.1 영어전담교사 23
1.2 원어민보조교사 23
2. 자료 수집 방법 24
3. 자료 분석 방법 25

Ⅳ. 연구 분석 결과 27
1. 교실영어에 나타난 구문론적 특질 27
1.1 문장 구조 27
1.2 문장 종류 31
2. 교사에 의한 영어 질문 형태 42
2.1 wh-의문문과 yes/no-의문문 43
2.2 전시형과 참조형 질문 44
2.3 부가의문문 45
3. 교사와 학생 사이의 대화 구조 46
4. 제스처 51
5. 언어섞기 53

Ⅴ. 결론 및 제언 59

참고문헌 62
abstract 65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강순열. (2011). 초등영어수업에 나타난 교사언어 비교 연구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English Language Educ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