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영어 리듬에 대한 학습자 인식 실태 분석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n Analysis on Learner's Recognition of English Rhythm
Abstract
영어 교육은 영어를 이해하고 표현할 수 있는 의사소통 능력의 신장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러한 원활한 의사소통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 영어의 초분절적(suprasegmental) 요소이며, 강세, 억양, 리듬과 같은 초분절적 요소가 올바로 구현되었을 때 효과적인 의사소통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국어와 영어가 갖고 있는 리듬 패턴(rhythm pattern)이 다르기 때문에 영어를 오랫동안 배웠다 할지라도 화자의 감정이나 의도 등을 전달하는 데 중요한 요소인 억양이나 리듬에 따른 의미 변화를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보다 자연스러운 영어를 구사하기 위해서는 영어의 리듬적 요소를 제대로 구사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다. 영어의 강세, 리듬 및 억양을 다룬 이전 연구를 살펴본 결과 영어의 리듬의 중요성 및 학습자가 효율적으로 리듬과 억양을 익힐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 것들이 대부분이었으며 정작 학습자의 억양, 강세 등의 리듬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에 대한 연구는 드물었다. 이에 본 연구는 영어 학습자들이 영어 리듬 및 억양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설문조사와 음성 녹음 분석조사를 통해 살펴보고 실제 의사소통에서 상황 맥락 및 화자의 의도에 따른 자연스러운 리듬 및 억양 구사를 위한 지도에 대한 제안을 하였다.
먼저, 설문조사를 통해 학습자의 영어 리듬의 차이 인식, 상황에 따른 영어 리듬의 인식 실태, 억양 사용에 대한 실태 분석의 세 부분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그 결과 문장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전반적으로 많은 학생들이 영어의 리듬 및 억양의 차이가 가져오는 의미 변화에 대해 제대로 인식하고 못하고 담화 맥락에서 주어진 상황에 맞게 적절한 리듬 표현을 구사하는 데 많은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억양 구사의 실태 분석에 있어서도 평소에 자주 접하는 간단한 문장임에도 불구하고 학생들이 문장 내의 어느 단어에 보다 강한 강세를 주어야 할지, 어떤 정보에 초점을 맞추어 발화해야 할 지를 모르고 자연스러운 억양 패턴을 구사하지 못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학습자들의 리듬 및 억양에 대한 인식을 고취시켜 나갈 필요가 있다.
담화 자료 및 몇 가지 문장을 제시하고 학생들이 발화해 보도록 하여 음성 녹음을 한 결과를 바탕으로 원어민들과 면담을 통해 분석한 결과, 대체적으로 학생들이 발화한 문장들의 리듬 패턴이 한국어 같이(Korean-like) 들리며 소리의 높낮이 변화인 리듬이 없이 평평한(flat) 상태를 유지하였다. 대화의 문맥에 따른 자연스러운 억양의 변화가 제대로 구사되지 못했으며 의미 전달이 왜곡될 가능성이 있다는 의견이 제시되었다.
또한 학생들의 리듬 구사에 대해 '원어민과 유사함', '내용 이해가 가능함', '내용 이해가 어려움'의 세 가지 항목으로 나누어 표시해 보도록 한 결과 원어민이 리듬을 실어 발화한 것처럼 느껴지는 학생들은 1~2명 정도이며 대부분의 학생들이 내용의 흐름을 이해할 정도는 되지만 원어민에 가까운 리듬 및 억양 패턴을 제대로 구사하지 못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에 비추어 리듬 지도방안에 관해 몇 가지 제안을 제시하였다. 우선 억양 지도의 측면에서 원어민의 리듬을 모방하는 데 효과적인 그림자(shadowing) 훈련, 시각적인 자료로써 제시될 수 있는 계단식 억양 모형과 같은 방법들을 적용해 볼 수 있다. 문장강세 지도에 중점을 둔 방안으로는 내용어와 기능어의 구별 및 문장강세의 이동에 관한 규칙을 패턴 활동을 통해 몸으로 체득하도록 하거나 챈트(chants)를 다양하게 활용하는 방안들이 제시되었다.
요약하면, 의사소통능력에 필수적 요소인 영어의 리듬적 요소를 중학생에게 지도하기 위하여 좀 더 다양하고 구체적인 상황과 그에 맞는 표현이 제공되어 학습자로 하여금 실제로도 이러한 영어의 리듬을 자주 접하고 익힐 기회가 주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교사는 교실 현장에서 학습자의 의사소통 능력을 증진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지도방안을 활용하여 좀 더 적극적으로 수업을 운영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한다.
The goal of English education is to build up communicative competence to understand and express thoughts in English. Suprasegmentals such as stress, intonation and rhythm play less important roles than segmentals do in making communication more natural. Since Korean is a syllable-timed language different from English, many Korean learners who have learned English for a long time have a great deal of difficulty in conveying the meaning of what is being said. Many previous studies focused on the importance of English rhythm and effective teaching methods of rhythm and intonation. However, they didn't emphasize learners' recognition of rhyth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English learners perceived English rhythm and intonation through a survey and voice recording analysis. It also suggests more practical ways of pronouncing

※ A thesis submitted to the Committee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Jeju National University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s for the degree of Master of Education in August, 2011

natural intonation and rhythm in situational context or speaker's intention. For this purpose, 153 Korean third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took part in the questionnaire survey on whether they recognized the difference of English rhythm, English rhythm for different situation and use of intonation contour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many students generally didn't recognize the change of meaning from the difference in rhythm and intonation. Second, they had difficulty in pronouncing appropriate rhythm patterns for the given situation in discourse. Lastly, they didn't know what information they put stress or focus on. It is needed to inspire learners with the recognition of English rhythm.
In addition, the result of the students' voice recording analysis with foreigners show not only that rhythm patterns of recorded sound like Korean with an unstressed-timed rhythm. Therefore, it is hard for them t o convey intended meaning in communication with foreigners.
The findings suggest the following: First, shadowing practice in order to imitate rhythm patterns native speakers pronounce and the staircase intonation practice are suggested in terms of teaching intonation. Second, pattern drills about distinction between content word and function word and chants should be applied in the classroom.
In short, in order to teach English rhythm which is essential to communicative competence, more specific context and appropriate expressions should be provided for learners to experience various input materials. Also, teachers need to actively motivate students to recognize and master rhythmic factors by using effective teaching methods.
Author(s)
김소라
Issued Date
2011
Awarded Date
2011.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5523
Alternative Author(s)
Kim, So ra
Affiliation
제주대학교
Department
교육대학원 영어교육
Advisor
양창용
Table Of Contents
국문초록 ⅰ
목차 ⅲ
표목차 ⅴ
그림목차 ⅵ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의 제한점 3

Ⅱ. 이론적 배경 4
1. 리듬의 이해 4
1.1 억양 5
1.2 문장강세 9
2. 영어의 리듬 13
3. 영어의 억양 16
3.1 억양의 유형 16
3.2 억양의 기능 19
3.3 맥락에 따른 억양의 변화 23

Ⅲ. 연구 방법과 내용 28
1. 연구 대상 28
2. 연구 방법 28

Ⅳ. 연구 결과 분석 및 논의 30
1. 학습자의 영어 리듬의 차이 인식 조사 30
2. 상황에 따른 영어 리듬 인식 실태 36
3. 억양 사용에 대한 실태 분석 39
4. 음성 녹음 분석을 통한 리듬 인식 조사 47
5. 리듬지도 방안 52

Ⅴ. 결론 및 제안 59

참고문헌 62

Abstract 65

부록 67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김소라. (2011). 영어 리듬에 대한 학습자 인식 실태 분석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English Language Educ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