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버츄프로젝트를 활용한 예비부부의 역량강화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Effects of an Empowerment Program for Premarital Couples with the Virtues Project
Abstract
최근 결혼한 부부의 4쌍 중 한 쌍이 이혼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가족생활에서 일어날 수 있는 많은 문제와 갈등을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키워줄 기회가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결혼생활에서의 이러한 문제들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잠재능력을 발견·강화시켜주는 예비부부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이 연구는 예비부부를 대상으로 강점관점인 역량강화모델에 근거하여 버츄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내용을 설정하였다.
연구내용 1. 미래의 예비부부를 대상으로 프로그램 요구도 조사 및 변수구성을 위한 사전조사를 실시한다.
연구내용 2. 예비부부의 역량강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행한다.
연구내용 3. 개발되어 실행한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한다.
연구대상은 요구도 조사시 대학생 388명, 프로그램 개발 후 적용을 위한 14쌍의 예비부부이다. 이 연구에 사용된 변수는 연구대상의 사회인구학적인 변인, 역량변수(회복탄력성, 감성지능, 자아존중감), 예비부부교육 프로그램 요구이다. 설문자료의 검증에는 SPSS 12.0 프로그램이 이용되었다. 프로그램 적용 후 참여한 예비부부들이 개인 및 관계에서의 반응을 규명하기 위해 과정분석 및 사전-사후 검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부부 역량강화 프로그램 요구도 조사를 실시한 결과 역량강화 변수로 구성한 회복탄력성, 감성지능, 자아존중감의 평균이 비교적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역량강화 변수 간에 정적인 상관이 있었다. 특히 예비부부 교육의 필요성은 건강상태, 종교, 삶의 만족도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예비부부 교육의 도움기대 정도는 연령과 종교에 따라 다르며, 교육진행방식은 주로 강의와 강연 형태를 선호하였다. 예비부부 교육의 목표는 '갈등다루기'를, 교육 내용은 '여가활동 및 경제 관리'가 중요하다고 평가하였다.
둘째, 프로그램은 GT(Growing Together) 5단계 접근법에 의해 구성하였다. 프로그램의 내용은 강점과 관련하여 자신의 내면을 인식 하는 기회를 갖도록 하여 새로운 성장영역을 개발하도록 돕고자 하였다. 또한 버츄프로젝트의 5가지 전략과 함께 다양한 긍정정서의 경험으로 생각을 확장시킴으로써 개인은 물론 예비부부의 강점자원을 축적시키고 강화시켜 예비부부의 역량강화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였다. 프로그램은 다양한 기법으로 구성하였으며, 강의와 활동을 병행하여 진행하였다.
셋째, 개발한 프로그램의 적용효과를 살펴본 결과, 대화의 수준이 향상되었고, 일상생활에서 일어나는 일련의 사건들에 대해 '배움의 순간'으로 인식하는 성찰의 시간을 체험하였다. 또한 역량강화 프로그램은 예비부부의 회복탄력성, 감성지능, 자아존중감을 향상시켰고, PREPARE 척도에도 긍정적으로 작용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버츄프로젝트의 5전략을 실제 활용함으로써 의사소통 개선 뿐만아니라, 예비부부의 역량과 관련된 요소인 회복탄력성, 감성지능,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고, PREPARE 척도를 통한 예비부부의 관계 강점에도 효과가 있음을 밝혔다. 향후에는 이러한 변수 이외에 다양한 변인을 구성하여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연구와 함께 다양한 대상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시행이 필요하다.
Given the recent trend showing one in four married couples getting divorced, it is necessary to provide opportunities for couples to improve their abilities to solve many different problems and conflicts happening in family life. It is also required to develop an educational program for premarital couples designed to identify and reinforce their potential abilities to prevent those problems and conflicts in married life.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and implement a virtues program for premarital couples based on the empowerment model from the perspective of strengths and test its effects.
For those purposes, the following research content was set:
Research Content 1. Surveying future premarital couples on program needs and conducting preliminary research to identify variables.
Research Content 2. Developing and implementing an empowerment program for premarital couples.
Research Content 3. Testing the effects of the developed and implemented program.
The subjects include 388 college students for the survey and 14 premarital couples for program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The variables include the subjects' sociodemographic variables, empowerment variables (resilience, emotional intelligence, and self-esteem), and needs for an educational program for premarital couples. Survey data were tested with the SPSS 12.0 program. In addition, process analysis and pre- and post-test were carried out to examine the personal and relational responses of the participating premarital couples after program application.
The research finding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for needs for an empowerment program for premarital couples, the empowerment variables in the study, which include resilience, emotional intelligence, and self-esteem, recorded relatively low means with positive correlations among them. There were particular differences in needs for education for premarital education according to health state, religion, and life satisfaction. Premarital couples showed different degrees of expectation for assistance according to age and religion and mostly preferred such instructional methods as lectures and speeches. They also mentioned "dealing with conflicts" as an important goal of education for premarital couples and "leisure activities and economic management" as important educational content.
Second, an empowerment program was developed according to the five-stage Growing Together(GT) Approach. Program content was designed to have participants have a chance to look into their internal aspects in relation to their strengths and develop new areas of growth. Experiences of various positive emotions were provided along with the five strategies of a virtues project to help them accumulate and reinforce their strength resources as individuals and as premarital couples by broadening the scope of thinking and to make a contribution to their empowerment. The program was organized in a range of techniques and administered in conjunction with lectures and activities.
Finally, as for the application effects of the developed program, the participants improved their conversation level and had time for reflection to regard a series of daily events as "moments of learning." The empowerment program also worked to increase the resilience, emotional intelligence, and self-esteem of premarital couples and had positive impacts on the PREPARE scale.
By putting the five strategies of a virtues project to actual use, the program turned out to improve communication among premarital couples, increase their resilience, emotional intelligence, and self-esteem related to their abilities, and have effects on the strengths of their relationships through the PREPARE scale. In the future, it is required to conduct long-term ongoing research with other more diverse variables and develop and implement a program for more various participants.
Author(s)
이은정
Issued Date
2012
Awarded Date
2012.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5977
Alternative Author(s)
Lee, Eun-jeong
Affiliation
제주대학교
Department
대학원 가정관리학과
Advisor
김혜숙
Table Of Contents
Ⅰ. 서 론 1
1. 문제제기 1
2. 연구목적 3
3. 연구내용 4
4. 용어정의 6
1) 예비부부 6
2) 역량강화 6
3) 버츄프로젝트 6
5. 연구흐름도 7
Ⅱ. 이론적 배경 9
1. 역량강화 프로그램 9
1) 역량강화 개념 9
2) 역량강화 구성요소 12
3) 역량강화 프로그램 26
2. 예비부부의 역량강화 34
1) 예비부부 34
2) 예비부부 교육 프로그램 관련 선행연구 36
3) 예비부부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연구 40
3. 버츄프로젝트 44
1) 버츄 44
2) 버츄프로젝트의 5가지 전략 48
Ⅲ. 연구방법 55
1. 연구대상 55
1) 프로그램 요구도 55
2)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55
2. 측정도구 57
1) 프로그램 요구도 조사 57
2) 예비부부교육 프로그램 요구 63
3) 프로그램 적용 64
3. 연구절차 68
1) 프로그램 요구도 및 척도의 구성을 위한 사전조사 68
2)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68
3) 프로그램 적용효과 분석 69
4. 자료분석 70
1) 프로그램 요구도 조사 70
2) 프로그램 적용 효과 70
Ⅳ. 예비부부의 역량강화 프로그램 요구도 조사 73
1. 역량강화 변수의 전반적인 경향 73
2. 역량강화 변수간 상관관계 74
3. 예비부부 교육 프로그램 요구도 경향 76
1) 예비부부교육의 필요성 및 도움기대도 76
2) 예비부부교육 참여의향, 진행방식 및 교육 시간대 78
3) 예비부부교육의 목표와 내용 중요도 82
4. 소결 83
Ⅴ. 예비부부의 역량강화 프로그램 개발 및 실행 87
1. PREPARE 도구를 활용한 역량강화 프로그램 87
1) 프로그램 목표 87
2) 프로그램 실시 89
3) 프로그램 결과 측정 90
4) 프로그램 실시결과 91
2. 역량강화 프로그램 개발 94
1) 프로그램 개발 기초 94
2) 프로그램 개발 기획 97
3) 프로그램 개발 방향 99
4) 프로그램 개발 모형 101
3. 프로그램 개발 단계 103
1) 프로그램 성격 및 목적 103
2) 프로그램 전체내용 105
3) 프로그램 타당도 검증 123
4) 버츄프로젝트 활용 방안 124
4. 프로그램 실행 127
5. 소결 129
Ⅵ. 예비부부의 역량강화 프로그램 적용 효과분석 131
1. 예비부부 역량강화 프로그램 회기별 과정 분석 131
1) 결속(1회기) 131
2) 발견(2-3회기) 132
3) 학습(4회기) 136
4) 계약(5-6회기) 138
5) 마무리(7회기) 141
2. 프로그램에 대한 전반적 만족도 분석 144
3. 추후 검사에 나타난 효과 분석 146
1) 미덕의 언어로 말하라 147
2) 배움의 순간을 인식하라 147
3) 미덕의 울타리를 쳐라 148
4) 정신적 가치를 존중하라 148
5) 정신적 동반을 하라 149
6) 프로그램에 대한 의견 149
4. 예비부부 역량강화 프로그램의 효과분석 151
1)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역량강화 프로그램의 적용효과 151
2) 감성지능에 미치는 역량강화 프로그램의 적용효과 154
3)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역량강화 프로그램의 적용효과 157
4) PREPARE에 미치는 역량강화 프로그램의 적용효과 158
5. 소결 162
Ⅶ. 결론 및 제언 167
1. 요약 및 결론 167
2. 연구의 함의 171
참고문헌 175
Abstract 191
부록 195
Degree
Doctor
Publisher
제주대학교 대학원
Citation
이은정. (2012). 버츄프로젝트를 활용한 예비부부의 역량강화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Human Ecology and Welfare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