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여중생의 진로결정수준 및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The effect of career explora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on career decision making level and self-efficacy of middle-school girls
Abstract
본 연구는 진로탐색 프로그램이 여중생의 진로결정 수준 및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는지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여중생의 진로결정 수준에 어떤 효과가 있는 가?
연구문제 2.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여중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어떤 효과가 있는가?

위의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대상 선정, 사전검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구성, 진로탐색 프로그램의 적용, 사후검사, 자료 분석 순으로 진행하였다.
연구대상은 서귀포시에 소재한 J중학교 2학년 학생 14명이며 이들을 실험집단 7명, 통제집단 7명으로 무선 배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진로결정수준을 알아보기 위해 Osipow(1976) 등에 의해 개발된 진로결정척도(Career Decision Scale : CDS)를 고향자(1992)가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적절한 문장표현으로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한 척도는 Taylor 와 Betz(1983)가 개발한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Scale 단축형(CDMSE-SF) 척도를 이기학과 이학주(2000)가 한국어로 번안하여 대학생을 대상으로 척도를 타당화한 것을 다시 이은경(2001)이 중 •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원문과 대조하여 적합한 문항으로 수정 혹은 대치하여 타당화한 검사를 사용하였다.
진로탐색 프로그램은 노동부(2001)가 진로탐색 및 진로준비 단계에 있는 15~29세의 청년층을 대상으로 개발한 청년층직업프로그램을 2007년 개정연구를 통해 중학생용으로 개발한 프로그램을 기초로 하여 본 연구자가 연구대상의 특성에 맞게 수정 보완하고 지도교수의 자문을 받아 재구성 하였다. 프로그램은 매주 1회, 1시간씩 총 6회에 걸쳐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자료 분석 방법으로 SPSS WIN 18.0을 활용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설정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사후-사전검사 평균 점수 차를 계산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지 알아 보기 위하여 t값과 p값을 산출하여 효과를 검증 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통하여 얻어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이 사후-사전 점수 차가 진로결정 수준에서 통제집단 보다 증가 되어 진로탐색 프로그램이 여중생의 진로결정수준을 높이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이 사후-사전 평균 점수 차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서 통제집단 보다 증가되어 진로탐색 프로그램이 여중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높이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함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사후-사전 진로결정 효능감 평균 차가 목표선택, 직업정보, 문제해결, 미래계획의 모든 영역에서 증가 되어 하위요인들을 높이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진로탐색 프로그램이 여중생의 진로결정 수준 및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올바른 자기 자신의 이해, 다양한 직업세계의 탐색 및 직업정보를 습득하고, 학과와 진로관련성을 이해하는 다양한 활동을 통해 합리적으로 진로를 결정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게 되고, 진로탐색, 진로수행 능력에 대한 자신감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준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학교현장에서 학생들이 자신의 적성과 능력을 고려하여 합리적인 진로결정을 돕기 위한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is aimed at clarifying the effect of career exploration program on the increase of career decision making level and self-efficacy of middle-school girls, and I have set study questions below for this goal.

Study question 1. How does career explora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affect on the level of career decision making of middle-school girls?
Study question 2. How does career explora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affect on the self-efficacy of career decision making of middle-school girls?

The process to solve those study questions was made as selecting participants, pretest, composition of test and control group, application of career exploration program, post test, and analysis of data.
Participants were 14 second-graders in J middle school in Seoqwipo-si, randomly distributed evenly to test and control groups.

Measurement for the level of career decision making was conducted by using career decision making Scale : CDS by Osipow et al.(1976) translated by Ko(1992).
Measurement for self-efficacy of career decision making was conducted by using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cale(CDMSE-SF) by Taylor&Betz(1983) translated and adjusted for university students by Lee&Lee(2000) and adjusted again for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by Lee(2001).
Career exploration program is made based on career assistant program redeveloped for middle school students from the program by Ministry of Labor(2001) for youth between 15 and 29 who is now is career exploration and preparation stage, adjusting to the feature of the participants with advice of the thesis director. The program was carried out for an hour a week, 6 sessions in total.
SPSS WIN 18.0 was used for the analysis of the data, and paired t-test was conducted to test the hypothesis.

The result of the process is shown below.

First, participants who were participated in career explora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showed significantly higher gap between pre and post test than control group in the level of career decision making, showing career exploration program increases the level of career decision making of middle-school girls.
Second, participants who were participated in career explora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showed significantly higher gap between pre and post test than control group in self-efficacy of career decision making, showing career exploration program increases self-efficacy of career decision making of middle-school girls.
Third, participants who were participated in career explora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showed significantly higher gap between the average of pre and post test than control group in all of the sub factors such as choosing goals, gathering career information, future planning, showing career exploration program increases the sub factors of career decision making of middle-school girls.

From the results shown above, we can see that career exploration program have effect on increasing the level and self-efficacy for career decision making of middle-school girls. It seems that the program helps participants to understand themselves appropriately, to search various areas of careers, and to get career information, which makes them to be able to rationally decide career by activities understanding majors and relation to career, thus leading them to increase self-confidence of career exploration and career performance ability. Therefore, it implies that career explora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needs to be actively used to help rational career decision making with consideration of students' ability and talent in school scene.
Author(s)
정창훈
Issued Date
2012
Awarded Date
2012.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6075
Alternative Author(s)
Jeong, Chang-hun
Affiliation
제주대학교
Department
교육대학원 상담심리
Advisor
김성봉
Table Of Contents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및 가설 3
3. 용어의 정의 4
4. 연구의 범위 5

Ⅱ. 이론적 배경 7
1. 중학생의 진로발달 7
2. 진로의사결정 수준의 개념 10
3.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개념과 요소 15
4.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 17
5. 진로탐색 프로그램과 진로결정수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의 관계 19

Ⅲ. 연구방법 24
1. 연구대상 24
2. 연구설계 24
3. 연구도구 25
4. 연구절차 29
5. 자료처리 30

Ⅳ. 연구결과 및 해석 32
1. 연구 대상에 대한 동질성 검증 32
2. 가설검증 34
3. 질적 분석 40

Ⅴ. 요약, 결론 및 제언 45
1. 요약 45
2. 결론 47
3. 제언 48

참고문헌 50

Abstract 55

부 록 1 56
부 록 2 57
부 록 3 59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정창훈. (2012).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여중생의 진로결정수준 및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Counseling Psychology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