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긍정심리프로그램이 지역아동센터아동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

Metadata Downloads
Abstract
본 연구는 긍정심리프로그램이 지역아동센터아동의 심리적안녕감에 미치는 효과가 있는지 밝히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 긍정심리프로그램이 지역아동센터아동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 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2 : 긍정심리프로그램이 지역아동센터아동의 심리적 안녕감의 하위 요인인 긍정적 자기인식, 가족관계, 교사관계, 친구관계, 자기주장성, 학습주도성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위의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대상 선정, 프로그램 수정?보완, 사전검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구성, 긍정심리프로그램의 적용, 사후검사, 통계 처리 및 자료 분석의 순으로 진행하였다.
연구대상은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외곽 소재 지역아동센터 2곳에 협조를 얻어 4~6학년 아동 22명에게 심리적 안녕감 검사를 실시 한 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각 11명 씩 배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지역아동센터아동들의 심리적 안녕감을 측정하기 위하여 사용한 검사 도구로는 박정희(2007)가 개발하고 채윤실(2010)이 수정 ? 보완하여 사용한 청소년의 심리적 안녕감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를 초등학생 수준에 맞게 재구성 한 것으로 사용하였다.
이 검사 도구는 긍정적 자기인식, 가족관계, 교사관계, 친구관계, 자기주장성, 학습주도성의 6개 하위영역에 걸쳐 총 51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검사에 대한 응답은 Likert식 4점 척도로써 문항의 내용이 대상자의 태도와 일치하는 정도에 따라서 1점에서 4점까지 반응하도록 되어있다.
본 연구에서의 긍정심리 프로그램은 관련문헌과 선행연구들을 기초로 지도교수의 자문을 받아 본 연구자가 연구 대상에 알맞게 수정·보완하여 재구성하였다. 프로그램 실시는 매 회기 60분씩 총 10회기에 걸쳐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자료처리 분석은 Windows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t-검증을 실시하였고 통계 분석의 타당도를 보완하기 위해 회기별 관찰 내용과 소감문, 평가서에 나타난 참가자들의 반응을 분석하였다.
이상과 같은 과정을 통하여 얻어진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긍정심리 프로그램을 처치한 실험집단은 아무런 처치도 받지 않은 통제집단에 비해 심리적 안녕감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P<.01).
둘째, 긍정심리 프로그램에 참여한 아동의 심리적 안녕감의 하위요인인 긍정적 자기인식, 가족관계, 교사관계, 친구관계, 자기주장성, 학습주도성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p<.01, p<.05).
셋째, 양적 분석이 갖는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서 회기별 관찰내용과 아동들이 작성한 소감문을 분석해 볼 때 긍정심리프로그램이 지역아동센터아동의 심리적 안녕감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볼 때, 본 연구에서 사용된 긍정심리 프로그램은 지역아동센터아동의 심리적 안녕감 향상에 긍정적인 도움을 준 것으로 볼 수 있다. 학교와 가정에서 아동들이 자신의 강점과 타인의 강점을 찾을 수 있도록 하여 자기와 타인이해의 증진, 긍정대화법 익히기를 통해 관계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지역아동센터아동의 심리적 안녕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그 프로그램의 유용성을 확인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if positive psychology program would have effect on psychological well-being of children in community children centers, and the research questions were set up like following.
Question 1: What is the effect of positive psychology program on psychological well-being of children in community children centers?
Question 2: What is the effect of positive psychology program on sub-factors of psychological well-being such as positive self-awareness, family relationship, relationship with teachers, relationship with friends, self-assertiveness and self-directed learning, of children in community children centers?
In order to solve the research questions above, we conducted things like selection of the study subjects, modification/complementation of the program, pre-test, composition of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application of positive psychology program, post-test, statistical processing and data analysis in the order.
After conducting a test for psychological well-being with 22 4th-6th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based on the cooperation of two community children centers located in the outskirts of Jeju-si,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they were allocated to the experimental group(11) and control group(11).
In order to measure psychological well-being of children in community children centers, this study recomposed the tool to measure youths' psychological well-being, developed by Park, Jeong-Hee(2007) and modified/complemented by Chae, Yun-Sil(2010), suitable for the level of elementary schoolers.
This testing tool is comprised of total 51 questions covering six sub-areas such as positive self-awareness, family relationship, relationship with teachers, relationship with friends, self-assertiveness and self-directed learning. Based on Likert Scale(4 points), 1-4 points were given to each response to questions in dependent on the degree of accordance between the contents of questions and participants' attitude.
Based on the relevant literature and the advanced researches, the positive psychology program of this study was recomposed by modifying/complementing suitable for the study subjects after receiving advice from the professor for supervisory.
By using Windows SPSS 18.0 program, t-test was carried out for analysis of data processing. In order to complement the validity of statistical analysis, we also analyzed the contents of observation for each session, description of impression, participants' response shown in evaluation.
The study results received through the process above are like below.
First,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experimental group that received positive psychology program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at did not receive any treatment(p<.01).
Second, the sub-factors of psychological well-being of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positive psychology program, such as positive self-awareness, family relationship, relationship with teachers, relationship with friends, self-assertiveness and self-directed learning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p<.01, p<.05).
Third, analyzing children's description of impression and contents of observation for each session, in order to complement the limitations of quantitative analysis, the positive psychology program had positive influence on improvement of psychological well-being of children in community children centers.
Based on the study results above, the positive psychology program used for this study had positive effect on improvement of psychological well-being of children in community children centers. Through enhancement of understanding of themselves and others, and positive conversational methods, by helping them to find strengths of theirs and others at school and home, such positive influence was given to formation of relationship. Thus this study is significant to compose a program that could improve psychological well-being of children in community children centers, and also to examine the usefulness of the program.
Author(s)
박소연
Issued Date
2013
Awarded Date
2013.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6371
Alternative Author(s)
Park, So Yeon
Affiliation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상담심리
Advisor
김성봉
Table Of Contents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 문제 및 가설 4
Ⅱ. 이론적 배경 5
1. 긍정심리학 5
2. 심리적 안녕감 11
3. 지역아동센터 16
4. 긍정심리와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 20
5. 긍정심리 프로그램의 구성 23
Ⅲ. 연구방법 33
1. 연구대상 33
2. 연구설계 33
3. 연구도구 34
4. 연구절차 35
5. 자료처리 37
Ⅳ. 연구결과 및 해석 38
1. 연구대상에 대한 동질성 검증 38
2. 가설 검증 39
3. 질적 분석 50
Ⅴ. 논의 및 결론 60
참고문헌 63
69
부 록 72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박소연. (2013). 긍정심리프로그램이 지역아동센터아동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Counseling Psychology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