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쇠비름(Portulaca oleracea L.) 및 짚신나물(Agrimonia pilosa Ledeb) 添加飼料의 給與가 肉鷄의 成長, 屠體特性 및 腸內 암모니아 生成에 미치는 影響.

Metadata Downloads
Abstract
본 연구는 쇠비름과 짚신나물의 첨가 급여가 육계의 성장, 도체특성, 장내 암모니아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5주령 육계 195수를 처리별 3반복으로 공시하여 2주간의 적응 후 100일령까지 사양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사료는 대조구, 쇠비름 0.5% 첨가구, 1%첨가구, 짚신나물 0.5% 첨가구, 짚신나물 1% 첨가구로 구분하였다. 사료는 오전, 오후로 나누어 2회 급여하였다. 시험 종료 후 증체량 및 도체율을 평가하였고, 도계하여 가슴근육, 넓적다리 근육, 소장 및 대장, 혈액을 채취하였다. 맹장의 내용물을 채취하여 암모니아 농도를 비교 분석을 하였다.
모든 체중에서는 처리구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사료섭취량과 사료요구율 또한 통계적인 유의차는 나타나지 않았다. 암·수 증체량에서 수컷의 경우 35-56일령에서는 쇠비름 1%첨가 급여구에서 617.5g으로 높은 경향을 나타냈고, 56-77일령에서 짚신나물 0.5%첨가 급여구에서 높은 경향를 나타냈으며 77-100일령에서는 쇠비름 0.5%첨가 급여구에서 높은 경향을 나타냈다(P<0.05). 암컷의 경우 35-56일령에서 쇠비름 1%첨가 급여구에서 550.2g으로 높은 경향을를 나타냈고, 56-77일령에서는 쇠비름 1%첨가 급여구에서 다른 처리구에 비해 가장 낮은 증체율을 나타냈으며, 77-100일령에서는 대조구에 비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지만 통계적인 유의차는 나타나지 않았다. 도체율 및 도체중의 암·수 모두 대조구에 비해 높은 경향을 보이지만 통계적인 유의차는 보이지 않았다.
넓적다리 근육과 가슴근육의 조단백질, 조지방, 포화지방을 분석하였지만 암·수 모두 통계적으로 처리별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소장 및 대장 길이와 무게의 결과에서 암컷의 소장과 대장의 길이 및 무게에서는 소장의 길이에서 대조구보다 쇠비름 1%처리구에서 증가한 결과를 나타냈다(p<0.05). 수컷의 대장의 길이에서는 짚신나물 1% 첨가 급여구에서 대조구에 비해 높은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다(p<0.05). 대장의 무게에서는 모든 처리구에서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고, 그 중 짚신나물 1% 첨가급여구에서 대조구에 비해 높은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다(p<0.05).
맹장 내 암모니아 발생량의 결과는 암·수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혈액분석 결과는 암컷에서는 콜레스테롤, GPT, GOT, GLU, ALP를 분석하였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수컷의 경우에서는 콜레스테롤, GPT, GLU, ALP에서는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GOT에서는 쇠비름 1% 첨가 급여구에서 대조구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결과를 나타냈다(p<0.05).
본 시험 결과, 결론적으로 쇠비름과 짚신나물을 육계에 첨가 급여하여 항생제와 비교하여 적정성을 평가한 시험에서 식물간의 차이 급여 시 체중 및 도체율, 급여수준과 환경적 요인 등의 원인에 의해서 성장성적 및 육계 도체율과 맹장 내 암모니아 농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사료된다. 소장과 대장의 길이 및 무게에서 또한 유의하게 증가시켰으며, 혈중 GOT 농도를 쇠비름은 증가시켰고, 짚신나물은 유의하게 감소시키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쇠비름과 짚신나물을 첨가 급여는 소장 및 대장의 장 기관의 발달에 대한 유익한 효과를 가져 올 것으로 판단되나 혈중 GOT 농도가 대조구에 비해 높은 수치를 나타내어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feeding diets containing Purslane (Portulaca oleracea L.) and Agrimonia (Agrimonia pilosa L.) on growth, carcass characteristics, blood metabolite and cecal ammonia concentrations in crossbred korean native chicks. Experimental chicks were divided into five groups, control, 0.5% Purslane, 1% Purslane, 0.5% Agrimonia, and 1% Agrimonia.
In feed intake and feed conversion ratio,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reatments. Althoug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reatments in dressing percent and carcass weight, both male and female which had received Purslane and Agrimonia was increased in comparison to control chicks. In body weight gain of male, chicks in Purslane 1% group were higher than other treatments on 35-56 days and Agrimonia 0.5% group was increased on 56-77 days. On 77-100days, the result of Purslane 0.5% group was significantly increased(P<0.05). The result of Purslane 1% group on 35-56days was higher as body weight gain of male during the same period while that group was decreased compared with other treatments on 56-77 days. Although Purslane 1% group also tended to decrease on 77-100 days, there was no significant.
We have analyzed crude protein, crude fat, saturated fat of legs and breast but these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in all groups. The results of length and weight of small intestine and large intestine in female chicks were increased in Purslane 1% if compared with control. However, both Purslane and Agrimonia group statistically increased length of large intestine in male compared to control chicks (p<0.05). All treatments which had received Purslane and Agrimonia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control (p<0.05), wherea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length and weight of small intestine.
The result of cecal ammonia concentration reflect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reatments. In blood metabolites (GPT, GOT, GLU, ALP) of femal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whereas GOT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female chicks which had received Purslane 1% (p<0.05).
Author(s)
김대수
Issued Date
2014
Awarded Date
2014. 2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6612
Alternative Author(s)
Kim, Dae Soo
Affiliation
제주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생명공학과
Advisor
李 王 植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Ⅱ. 연구사 3
1. 쇠비름 3
2. 짚신나물 5
Ⅲ. 재료 및 방법 7
Ⅳ. 결과 및 고찰 12
Ⅴ. 요약 26
ABSTRACT 28
참고문헌 30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대학원
Citation
김대수. (2014). 쇠비름(Portulaca oleracea L.) 및 짚신나물(Agrimonia pilosa Ledeb) 添加飼料의 給與가 肉鷄의 成長, 屠體特性 및 腸內 암모니아 生成에 미치는 影響.
Appears in Collections:
Faculty of Biotechnology > Animal Biotechnology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