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자기통제력이 청소년의 인터넷중독에 미치는 영향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The Influence of the Parental Attitude and Self-Control Recognized by the Youth Regarding the Internet Addiction of the Youth : Based on the Korean-Chinese Middle School Students in Yanbian, China
Abstract
본 연구는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자기통제력이 청소년의 인터넷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으며,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청소년의 인터넷 이용 실태와 성별, 학년별, 학업성적에 따른 인터넷중독의 차이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자기통제통제력, 인터넷중독의 관계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3.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자기통제력은 인터넷중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이상의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중국 연변조선족자치주에 소재한 조선족 중학교 6 곳의 2, 3학년 학생 730명을 연구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73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그중 누락된 문항이 많거나 불성실하게 응답된 경우들을 제외한 후, 최종 640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처리와 결과분석을 위하여 SPSS/WIN 18.0을 사용하였으며, 실증분석은 모두 유의도 수준에서 검증하였고, 빈도분석, Cronbach's ⍺, T-검증, ANOVA, Pearson's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부분 청소년들이 인터넷을 정상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반면, 인터넷중독 위험이 있는 청소년들은 전체 연구대상자의 13.3%를 차지하였다.
성별, 학업성적에 따라 인터넷중독 수준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학년에 따라 인터넷중독수준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 자기통제력, 인터넷중독은 서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다. 부모의 양육태도 중 거부는 인터넷중독과 정적인 상관을, 애정은 인터넷중독과 부적인 상관을 보였다. 즉 거부가 높을수록 인터넷중독이 높아지고 애정이 높을수록 인터넷중독이 낮아지는 것을 의미한다.
자기통제력과 인터넷중독은 유의한 부적 상관을 나타냈다. 즉 자기통제력이 높을수록 인터넷중독이 낮아진다.
또한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자기통제력은 서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부모의 양육태도 중 거부는 부적상관을, 애정은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이는 부모의 거부가 높을수록 자기통제력이 낮아지고 애정이 높을수록 자기통제력이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자기통제력은 인터넷중독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즉 청소년이 지각하는 부모양육태도와 자기통제력은 인터넷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임을 의미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청소년의 인터넷중독 예방을 위해서는 자기통제력을 높이는 면에서 바람직한 부모교육을 진행해야 하는 중요성을 시사해주고, 인터넷의 올바른 사용을 정착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influence that the parental attitude and self-control, which had been recognized by the youth, have in the Internet addiction of the youth. So, the following research issues have been set up.

Issue 1. What difference do the factors such as the actual usage of the Internet, gender, age and grade make in the Internet addiction?
Issue 2. What relation has been formed between the parental attitude recognized by the youth, self-control and the Internet addiction?
Issue 3. What influence do the parental attitude recognized by the youth and self-control have in the Internet addiction?
In order to verify these three issues, a survey has been conducted targeting 730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ir 2nd and 3rd grade from 6schools located in the Yanbian Korean Autonomous Prefecture. 640 out of 730 questionnaires, excluding those with many omitted answers or insincere answer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SPSS/WIN 18.0 was used to process and analyze the collected data, and every positive analysis was verified within the range of significance level. Also, frequency analysis, Cronbach's α,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he followings show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with regard to the general characters of the target students, Most students were normally using the Internet, whereas 13.3 percent of them were exposed to the risk of the Internet addiction.
The degree of the Internet addiction showed a meaningful difference based on their gender and grades, but there was no difference based on the age of the students.
Second, the parental attitude recognized by the youth, self-control and the Internet addiction have all meaningful correlations with each other. While the refusal, which belongs to the parental attitude, had a static correlation with the Internet addiction, the love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Internet addiction. That is, the probability of the Internet addiction becomes stronger as the degree of the refusal becomes higher, plus, the degree of the Internet addiction becomes lower as the love becomes stronger.
The self-control and the Internet addiction had a meaningful, negative correlation. So, the degree of the Internet addiction becomes lower as the strength of the self-control becomes higher.
Also, the parental attitude recognized by the youth and the self-control had a meaningful correlation with each other. The refusa of the parental attitude l had a negative correlation, and the love had a positive correlation. It means that the self-control becomes lower as the degree of the parents' refusal becomes higher, again, it becomes higher as the love of the parents' becomes stronger.
Third, the parental attitude recognized by the youth and self-control had a statistically meaningful influence in the Internet addiction. It means that the parental attitude recognized by the youth and self-control is a significant factor which influences the Internet addiction.
This research results indicate that the parents should be appropriately educated in enhancing their self-control in order to prevent their children from being addicted to the Internet. Also, it would a valuable, fundamental data which could be used to establish a good environment for the Internet users, especially the youth.
Author(s)
염영아
Issued Date
2015
Awarded Date
2015.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7274
Alternative Author(s)
Yum, Young Ah
Department
교육대학원 상담심리
Table Of Contents
I.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4
3. 연구가설 5
4. 용어의 정의 5

Ⅱ. 이론적 배경 7
1. 인터넷중독 7
2. 부모양육태도 15
3. 자기통제력 21
4. 선행연구 고찰 26

Ⅲ. 연구방법 32
1. 연구대상 32
2. 연구절차 32
3. 연구도구 33
4. 자료의 분석 36

Ⅳ. 연구결과 및 해석 37
1. 연구대상자들의 인터넷 사용실태 37
2. 각 변인간의 상관관계 45
3.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자기통제력이 인터넷중독에 미치는 영향 49

Ⅴ. 논의 51

Ⅵ. 결론 및 제언 55

참고문헌 57

66

부록목차 68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염영아. (2015).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자기통제력이 청소년의 인터넷중독에 미치는 영향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Counseling Psychology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