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스마트러닝을 활용한 애니메이션 교육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Animation Education Using Smart Learning: Based on Art Curriculum in Secondary School
Abstract
정보통신과 디지털 문명의 급속한 발달로 인해 사람들의 생활양식에도 많은
변화가 생겨났다. 우리나라의 스마트폰 보급률은 83%1)로 각종 스마트기기와 인
터넷은 우리 생활에서 떼려야 뗄 수 없는 필수적인 존재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이런 환경의 변화는 교육 현장에도 점차 확대되어, 정부에서는 스마트교육 정책
을 발표하고 시범학교 선정을 시작으로 디지털 교과서를 점차 확대해 나가는 계
획을 추진하고 있다. 실제로 많은 학교에서 디지털 교과서 뿐 아니라 스마트기기
를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하고 스마트 교실을 이용해 새로운 수업방식을 적용하
는 등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교육환경을 이끌어가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미술의 영역도 우리 생활과 마찬가지로 이에 부응하여 현대 미술에서 '영상'이
나 '디지털 미디어'라는 단어는 더 이상 생소하지 않으며, 중등 미술교과서에서도
2009개정 교육과정부터는 표현 영역에 영상, 뉴 미디어, 애니메이션과 관련된 단
원이 포함되어 있다. 하지만 실제 교육 현장의 미술 수업에서는 아직 적용되는
경우가 그리 흔치 않은 것이 현실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학교 현장에서 거의 다루어지지 않는 애니메이션 수
업을 현실적으로 적용해볼 수 있는 미술수업 지도 방안을 연구하였다. 이를 위한
방법으로 문헌연구를 통하여 수업에 적합한 애니메이션의 형태와 방법을 고찰하
였으며, 제주특별자치도 스마트 교실 구축사업의 일환으로 도내 150여개 초․중
학교에 보급된 스마트 패드를 활용하는 지도방안을 모색하였다. 대상은 제주시
'ㅈ'중학교 2학년 학생들로, 스마트러닝을 활용한 애니메이션 제작 수업을 총 3차
시로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상매체를 시청하는 것에는 익숙하지만 이를 제작해 본 경험이 없는 학
습자들이 애니메이션 작품을 직접 제작해봄으로써 영상 작업에 대한 기획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둘째, 실제 작품 제작을 통하여 애니메이션과 영상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원리
인 시각의 잔상효과를 쉽게 이해할 수 있었다. 또한 이를 통하여 TV, 영화 등에
서 활용되는 영상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도울 수 있었다.
셋째, 미디어아트, 비디오아트, 디지털아트 등의 다양한 예술의 표현 양식과 시
각문화 속에서 애니메이션 제작의 경험을 통해 학생들 스스로 작가의 입장이 되
어 보고, 현대미술을 감상할 수 있는 다각적 감상 태도 또한 길러줄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미술교과 중 애니메이션 영역을 효과적으로 지도할 수
있는 스마트교육 방안을 연구하는 데 중점을 두고, 이를 통하여 교육 현장에서
현실적으로 적용 가능한 스마트교육의 기반을 마련하는 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The rapid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and digital
technologies has brought a lot of changes to people's lifestyles. As the
penetration rate of smartphones in South Korea is 83%, various smart devices
and the Internet have become essential elements in our lives. Such a change
in circumstances increasingly spreads to education. The Korean government is
going ahead with a plan for expanding digital textbooks by announcing smart
education policies and selecting pilot schools first. In fact, many schools strive
to create a creative and innovative educational environment; for example, they
resolve problems by using smart devices as well as digital textbooks and
apply new teaching methods by using smart classrooms.
Keeping up with such a trend, the field of art does not lag behind our daily
lives. In modern art, the words of 'video' or 'digital media' are not new any
longer. Since the 2009 revised curriculum, art textbooks in secondary school
have included units relating to images, new media, and animations in the area
of expression. Nonetheless, in reality, it is rare that art classes in the real
education field apply these policies.
Accordingly, this research focused on teaching methods in art education
that can virtually apply animation classes barely run at school. To this end, this research considered the forms and ways of animations that are
appropriate for classes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investigated teaching
methods using smart pads that had been supplied to more than 150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in the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as
part of a smart classroom project in the province. Animation production
classes using smart learning were conducted three times among second-grade
students in 'J' middle school in Jeju City. The results are as detailed below.
First, for the students who are used to watching visual mass media, but
have no experience of making videos, the production of animation works in
person helped improve the planning capability of image works.
Second, the actual creation of works made it easier to understand animation
and the afterimage effects of sight, a principle that represents the movements
of images. In addition, it also helped extend an understanding of images used
in TV and movies.
Third, in a culture where there are a variety of art forms, such as media,
video, and digital arts, and visual arts, the experience of producing animation
works put students in an animation artists' place and could develop their
multilateral appreciation attitude toward modern art.
Therefore, with its emphasis on the research of methods of smart education
that can effectively teach the area of animation among other art subjects, this
study aims to help set a foundation for smart education that can be
practically applied to the education field.
Author(s)
김제령
Issued Date
2015
Awarded Date
2016. 2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7535
Alternative Author(s)
Kim, Je-Ryoung
Department
교육대학원 미술교육
Advisor
이창희
Table Of Contents
국문초록 i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의 내용과 방법 2
Ⅱ. 이론적 배경 4
1. 2009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에서의 애니메이션 교육 4
2. 애니메이션의 개념 7
3. 애니메이션의 분류 및 특징 9
4. 플립 북(Flip book)의 이해 13
Ⅲ. 스마트러닝과 미술교육 16
1. 스마트러닝의 개념 및 특징 16
2. 스마트러닝을 활용한 애니메이션 학습의 교육적 의의 18
Ⅳ. 스마트러닝을 활용한 애니메이션 교수-학습 21
1. 스마트러닝을 활용한 애니메이션 수업 지도 방안 21
2. 교수-학습 결과 및 분석 38
3. 교수-학습에 따른 기대효과 48
Ⅴ. 결론 50
참고문헌 52
Abstract 54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김제령. (2015). 스마트러닝을 활용한 애니메이션 교육 연구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Fine Arts Educ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