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제주지역 일부 혈액투석 환자의 영양 상태에 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The study on nutritional status of hemodialysis patients in Jeju Area
Abstract
본 연구는 제주지역 일부 혈액투석 환자의 영양 상태를 조사하여 제주지역 혈
액투석 환자의 영양 상태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과 만성신부전 환자를 위한
효율적 영양 교육 방법 모색의 기회를 제공하고자 하였으며, 제주대학교병원 인
공신장실에 내원하는 만성신부전 환자 중에서 혈액 투석을 시행하는 환자 50명
을 대상으로 2015년 10월 19일부터 2015년 11월 13일까지 약 4주간 면담하며 설
문조사 실시 후 분석에 사용하였고,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평균 나이는 64세이며, 성별은 남성 32명, 여성은 18명으로
총 50명의 환자가 조사되었다. 투석기간은 4.28±4.69년(1년~20년)이며, 동반질환
은 '없다'가 13%, 고혈압이 40%, 당뇨병이 31%, 그 밖의 질환은 26%로 조사 되
었으며, 1개 이상 동반질환을 가진 환자는 18%에 해당하였다. 영양교육 경험 여
부에서는 유경험자가 46%, 무경험자가 54%였으며, 유경험자 중 영양사 (74%),
의사, 간호사 등 의료인(26%)에게 교육을 받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규칙적인 운
동 여부에 대해서는 54%의 환자가 규칙적인 운동을, 46%는 운동을 하지 않는다
고 조사되었다.
둘째, 조사대상자의 근무지 특성을 조사한 결과 병상수 50∼100병상 미만이
78.9%였고, 환자수는 병상수와 유사하게 50∼100미만이 84.2%로 대부분을 차지
하였고, 1식 단가는 1,501∼2,000원이 50.0%로 나타났다. 시설별 영양사수는 1명
인 경우가 94.7%였으며, 조리종사원수는 3∼5명 미만이 76.3%로 가장 많았고, 운
영형태는 100% 직영으로 운영되고 있었다. 영양사의 수행 업무는 '영양사 업무
외 조리, 배식, 정리, 청소등도 한다.'라고 응답한 경우가 50.0%로 가장 많았다.
셋째, 조사대상자들의 식욕은 '좋다' 가 29명으로 대상자의 58%에 해당하였으
며, '보통'은 26%(13명), '나쁘다'는 16%(8명)로 대상자의 84%가 보통이상의 식욕
으로 조사되었다. 혈액투석 식이요법 수행의 어려움에 대해서는 '어려움이 없다'
는 28%(14명), '어려움이 있다'는 46%(23명), '식이요법을 수행하지 않는다' 는
26%(13명)로 조사대상자 중 72%가 혈액투석 식이요법을 수행하는데 어려움이
있거나, 식이요법을 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넷째, 투석 하는 날과 투석하지 않은 날의 식욕에 대한 조사에서는 투석하는
날의 식욕이 더 좋고(p=0.004), 배고픔을 더 느끼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p=0.002), 투석하는 날의 식사가 더 즐거운 것으로 조사되었다(p<0.001).
다섯째, 주관적 영양 상태 평가(SGA)에 따른 평가로 일반 사항을 살펴보면
Well nourished group이 56%(28명), Moderately undernourished group이
32%(16명), Severly undernourished group은 12%(6명)으로 조사되었다. 연령,
투석 기간, 동반질환, 영양교육의 여부에서 세 그룹간의 유의성은 없었다.
여섯째, 주관적 영양 상태 평가(SGA)에 따른 신체 계측치의 통계적 차이를 살
펴보면 Weight, BMI, MAC는 SGA 그룹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일곱째, 주관적 영양 상태 평가(SGA)에 따른 혈액분석 결과는 혈청내 T.
Protein, Na, K, Cl, Total Ca는 모든 그룹이 기준치 범위 안에 속했고, Albumin,
Hemoglobin, Hct는 모든 그룹이 기준치에 비해 낮았으며, P은 Well nourished
group과 Severly undernourished group에서 기준치보다 약간 높게 조사되었다.
BUN과 Creatinine, Uric acid는 모든 그룹에서 기준치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모
든 혈액 분석 항목 중 Uric acid는 세 그룹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05),
다른 분석항목들의 그룹간의 유의성은 없었다.
여덟째, 주관적 영양 상태 평가(SGA)에 따른 영양 섭취량(NAR, MAR)에 대
한 결과 Energy는 모든 그룹에서 권장량 대비 낮은 열량(75%≤RDAs)을 섭취하
고 있었다. Total protein은 Well nourished group과 Moderately undernourished
group에서 권장량 대비 섭취율이 높고, Severly undernourished group에서는 권
장량 대비 섭취율이 낮게 조사되었다. Total protein에 대한 Animal protein의 섭
취비율을 보면 모든 그룹이 권장섭취량(≥50% Total protein)이상을 섭취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각 그룹간 Vit A, Vit B1, Vit B2, Folate의 섭취율은 권장량 대비 낮게 조사되
었으며, 특히 Folate는 모든 그룹에서 40%이하의 섭취율을 나타내 빈혈관리를
위한 처방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Vit B6는 Well nourished group과
Moderately undernourished group에서, Vit C와 Niacin은 Well nourished group
에서 권장량 대비 100% 이상을 섭취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나, Vit B6, Vit C와
Niacin는 Severly undernourished group에서 권장량 대비 섭취율이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각 그룹 간 무기질의 권장량 대비 섭취율을 살펴보면, Na는 모든 그룹에서 권
장량의 1.5배~2배 이상 섭취하고 있다고 조사되었다. P, Fe는 Well nourished
group과 Moderately undernourished group에서 권장량 대비 높은 섭취율이 조사
되었지만, Severly undernourished group은 권장량 대비 낮은 섭취율을 보였다.
K, Ca은 모든 그룹에서 권장량 대비 낮은 섭취율을 보이고 있다. Zn은 Well
nourished group과 Moderately undernourished group의 권장량 대비 섭취율이
낮은 것으로 조사 되었고 Severly undernourished group에서는 권장량 대비 섭
취율이 높은 것으로 조사 되었다. Dietary Fiber는 권장량 대비 섭취율은 모든
그룹에서 섭취율이 낮았다.
총에너지, 단백질, 비타민 7가지(Vit A, Vit B1, Vit B2, Vit B6, Vit C, Niacin,
Folate), 무기질 6가지(Na, K, Ca, P, Fe, Zn)와 식이섬유, 16가지 영양소의 평균
적정섭취비(MAR)은 세 그룹 모두 0.85미만으로 조사 대상자들의 전반적인 영양
소 섭취상태는 낮게 조사되었다. 식사의 영양밀도(INQ)는 세 그룹 모두 Riboflavin,
Folate, Calcium를 제외하고는 양호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번 연구에서 조사된 대상자들의 권장량 대비 섭취율은 대부분 영양결핍이
심화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이 있었으며, 조사된 영양소들의 그룹간 유의성은 나타
나지 않았다.
아홉째, 주관적 영양 상태 평가(SGA)에 따른 짠맛의 강도와 선호도에 관한 결
과는 Well-nourished group이 다른 그룹들에 비해 약간 짜게 섭취하는 것으로
판정 되었고, 국/찌개의 섭취횟수는 영양상태가 불량함에 따라 증가했으며, 물의
섭취의 양은 세 그룹 모두 국그릇 반 정도 이하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가공식품
의 섭취는 주 1~2회 섭취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조사된 짠맛에 대한 항목들은
세 그룹간의 유의성은 없었고, 조미료 사용 여부에서 유의성이 나타났다.(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제주지역 일부 혈액투석 환자의 영양 상태는 불량
하며, 영양 상태와 주관적 영양 상태 평가(SGA)에 무관하게 에너지 섭취 불량(
70% RDAs)이며, 단백질은 과잉 섭취하는 것(130% RDAs)으로 확인되었고, 총
단백질 섭취량 중 60%이상을 동물성 단백질로 섭취하는 것으로 인해 Vit B6, P
등의 영양소가 섭취량이 권장량보다 높게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주관
적 영양 상태 평가(SGA)에 따른 영양소 섭취량을 비교하면, 영양 결핍이 심화됨
에 따라 섭취량이 줄어드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혈액투석 환자의 식이요법
특성상 K제한식에 의한 과채류의 섭취 제한에 따른 비타민과 무기질의 섭취량이
감소와 지속적인 투석에 의한 식욕부전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조사대상자들의
이러한 영양 섭취와 신기능의 감소로 혈중 BUN과 Creatinine, Uric acid의 수치
가 정상범위보다 높게 나타나, 이로 인해 신기능의 부담과 영양불량이 가중되어
환자의 생존률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Na의 섭취가 권장량 대비
1.5배~2배가 넘는 조사 결과는 혈액투석 환자의 혈압관리를 위해 정기적인 영양
사의 상담으로 교정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영양 상태와 식사의 질을 감소시
키는 요인 중 하나인 식욕과 관련해서는 환자들이 혈액투석 식이요법 시행의 어
려움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투석하는 날 식욕과 식사의 즐거움이 증가
하고, 배고픈 횟수 또한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투석하는 환자가 투석하는 날 단
백질 식품의 조절과 함께 균형적인 혈액 투석 식이요법을 점차적으로 꾸준히 시
행하여 환자 스스로 영양관리를 할 수 있게 도움을 주는 것 또한 필요하겠다.
그리고, 임상 영양사의 혈액투석 환자 관리 시 주관적 영양 상태 평가(SGA)에
따른 분류와 함께 영양 관리가 이뤄진다면 혈액투석 환자의 삶의 질을 높이고,
생존율을 증가시키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 사료된다.
This study is to seek effective nutrition education methods for hemodialysis
patients. This study is also to provide empirical data on Chronic Renal
Failure that can improve hemodialysis patients's nutrition status.
For about four weeks from October 19, 2015 to November 13, 2015, were
interviewed fifty patients in hemodialysis among the regular patients with
Chronic Renal Failure in Jeju National University hospital(Artificial Kidney
center)as data were collected. The key finding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average age of those surveyed is 64 old. Among the fifty patients, 32
men and 18 wom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Dialysis duration is 4.28 ± 4.
69 years (1 year to 20 years), Concomitant disease were 'no' is 13% ,
hypertension 40% , diabetes 31% , other diseases has been investigated in
26% , One more diseases patients corresponded to 18%. Whether the
experience of nutrition education , experienced patient was 46% , the
inexperienced was 54% , among dietitian (74%) of the experience , from the
medical personnel (26%) have received training were investigated, such as
doctor, nurse. For whether or not a regular exercise , the 54% of patients
with regular exercise , 46% of patients have been investigated and not
exercise .
Second, energy intake of the subjects was lower at 71% compared to the
RDAs , but intake of protein was found with 130%. Then , Vit V6 (108%) ,
sodium (222%), phosphorus (110%) were found to be excessive in comparison
with the RDAs. However, intake of other vitamins and minerals, dietary fiber
were investigated lower than the RDAs . This is ,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et of the hemodialysis patient , be considered for intake limit of fruits
and vegetables with potassium-restricted diet .
Third, Appetite of subjects was that 58%(n=29) of subjects was 'good',
'fair' was 26%(n=13), 'bad' was 16%(n=8) that 84% of subjects has been
investigated in the 'fair' or more of appetite. For the difficulty of running a
diet of hemodialysis, 'there is no problem' was 28%(n=14), 'there is a
difficulty' was 46% (n=23), 'not running a diet' was 26% (n=13). It has been
found that 72% of the subjects was a difficulty to perform the diet of
hemodialysis.
Fourth, the investigation of the Appetite for dialysis and non-dialysis day,
the appetite of the dialysis day was better (p=0.004) than non-dialysis day, it
was found that feel hungry more than non-dialysis day(p=0.002). And meal of
dialysis day has been investigated in enjoyable more than non-dialysis day(p
<0.001).
Fifth, the investigation of genera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SGA, Well
nourished group was 56%(n=28), Moderately undernourished group was 32%
(n=16), Severly undernourished group was found with 12%(n=6).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hree groups, whether in age, duration
of dialysis , Concomitant disease and the experience of nutrition education.
Sixth, according to nutritional status by SGA, anthropometric indicator, such
as Weight, BMI and MAC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Well nourished group
compared to Severly undernourished group(p<0.05).
Seventh, the results of the clinical measurement mean value based on
nutritional status by SGA, T. Protein, Na, K, Cl and T. Ca in serum were
within the reference ranges across all SGA group. Albumin, Hemoglobin, Hct
were lower than the reference ranges across all SGA group. The value of P
was slightly higher than the reference range in Well-nourished group and
severly undernourished group. The level of BUN and Creatinine, Uric acid
were higher in all SGA groups than the reference ranges. All the items of
the blood analysi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SGA group, the
mean value of Uric acid was significantly higher in Well nourished group
compared to Severly undernourished group (p<0.05).
Eighth, results for nutrient intake (NAR, MAR) according to nutritional
status by SGA, the average energy intakes were lower than the RDAs(75%≤
RDAs) across all the groups. Total protein intakes were higher than the
RDAs in Well nourished group and Moderately undernourished group, but
Severly undernourished group was found with the low uptake compared to
the RDAs. The percent of animal protein intake to total protein was more
than recommended amounts(at least 50% of total protein intake) irrespective
of SGA groups .
Vit A, Vit B1, Vit B2 and Folate have been examined lower than the RDAs
in all SGA group, especially Folate showed the uptake rate of 40% for the
RDAs. Vit B6, Vit C and Niacin has been found to have a low intake rate
compared to the RDAs in Severly undernourished group.
Looking at the uptake rate for the recommended minerals among the SGA
group, Na ingestion was 1.5 to 2 times of the RDAs in all SGA groups. P,
Fe were higher uptake compared to the RDAs at the Well nourished group
and Moderately undernourished group, but Severly undernourished group was
showing a low uptake of the recommended amount ratio. K, Ca were lower
uptake compared to the RDAs in all SGA group, Zn ingestion ratio at the
Well nourished group and Moderately undernourished group that compared to
the recommended dose was low, but Severly undernourished group ratio that
was high. Dietary Fiber ingestion ratio was lower than the RDAs in all SGA
groups.
Total Energy, Protein , 7 kinds of Vitamins , 6 kinds of Minerals and
Dietary fiber, a total of 16 different nutrients of mean adequacy ratio(MAR)
was less than 0.85 at all SGA group, the overall ingestion of nutrients was
investigated low. Index of nutritional quality (INQ) for three groups was
found to be good except Folate.
NAR survey of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most likely to decrease as
the worse nutritional status, the investigated nutrients was no significance
among the SGA groups.
Ninth , the results related to intensity and preference of saltiness by
according to nutritional status by SGA, Well-nourished group is determined
by intake slightly salty compared to the other group, 'Frequency of Soup(gug,
ggige) eaten per day' increased, depending on nutritional status get worse,
'amount of Soup eaten' was found to be less than or equal to soup bowl half
in all SGA groups. 'Intake of fish and meat processed foods(ham, sausage
etc)' has been found to be ingested 1-2times a week. Investigated items of
salty taste were no significant of among the SGA groups, except 'whether to
Use composite seasonings' (p <0.05).
In conclusion, the overall nutritional status of hemodialysis patients in the
Jeju area is likely to be energy intake poor (70% RDAs), Protein intake
rich(130% RDAs). As more than 60% of the intake of total protein are animal
protein, the intake of nutrients such Vit B6, P by ingesting the animal protein
intake higher than the intake recommended amount. When comparing the
intake of nutrients by the subjective global assessment (SGA), the nutrients
intake were most likely to decrease as the worse nutritional status. This is
thought about ,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et of hemodialysis patients ,
intake of vitamins and minerals is reduced by the intake limit of fruits and
vegetables by Potassium-restricted diet and the appetite failure due to
ongoing dialysis Because of these nutritional intake and the decreased Renal
Function, the levels of BUN, creatinine and uric acid were high investigation
than the normal range. This results in the burden of renal function and as
the nutritional status deteriorated is thought to affect the survival rate of the
patient. In addition, since the intake of Na is the recommended amount ratio
of 1.5 times to about 2 times, it is considered that the necessary consultation
of regular nutritionist for blood pressure management of hemodialysis
patients. One of the factors lowering the quality of the food and nutritional
status, with respect to appetite, it was confirmed that the patients have a
difficulty in hemodialysis regimen implemented. Increased appetite and
enjoyment of the meal of the day of this dialysis, since it has increased
hunger number of times, hemodialysis patients gradually implement the diet
of balanced hemodialysis of balance along with the adjustment of the protein
food in that day, it would be necessary to steadily support so that it can be
the nutritional management of the patient's own doing. And, if carried out
classification and nutritional management based on the evaluation of
subjective global assessment(SGA) in the management of hemodialysis
patients of the dietitian, which is thought would be beneficial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and increase the survival rate for hemodialysis patients.
Author(s)
김금형
Issued Date
2016
Awarded Date
2016.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7739
Alternative Author(s)
Kim, Keum-Hyoung
Department
대학원 식품영양학과
Advisor
신동범
Table Of Contents
Lists of Table iii
Lists of Figure ⅳ
Abstract v
Ⅰ. 서론 1
Ⅱ. 문헌고찰 5
Ⅲ. 연구대상 및 방법 8
1. 일반 대상자 및 기간 8
2. 조사내용 및 방법 8
1) 일반사항 8
2) 신체계측 8
3) 식욕 및 식습관 평가 9
4) 주관적 영양상태평가 9
5) 영양소 섭취상태 10
6) 영양소 섭취를 기준으로 한 식사의 질 평가 10
7) 혈액분석 11
8) 짠맛에 대한 미각판정 11
3. 조사 분석 및 통계처리 12
Ⅳ. 결과 및 고찰 13
1. 조사 대상자의 일반사항 13
2. 권장량 대비 영양소섭취 비율 15
3. 조사 대상자의 식욕과 식습관 17
4. 주관적 영양상태 평가 (SGA)에 따른 비교 20
1) SGA에 따른 일반사항 비교 20
2) SGA에 따른 신체계측치 비교 23
3) SGA에 따른 혈액분석치 비교 25
4) SGA에 따른 영양소 섭취평가 비교 28
5) SGA에 따른 짠맛 강도와 선호도 비교 33
Ⅴ. 결 론 36
Ⅵ. 참고문헌 40
Ⅶ. 부 록 49
Ⅷ. 국문초록 58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대학원
Citation
김금형. (2016). 제주지역 일부 혈액투석 환자의 영양 상태에 대한 연구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Food Science and Nutri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