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제주시 지역 일부 초등학생의 체중군별 식행동과 가족 식생활 관련 요인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Dietary Behaviors and Family Dietary Lifestyle by Body Weight Groups of Elementary Students in Jeju City
Abstract
본 연구는 제주시 지역 일부 4개 초등학교 4, 5학년 706명(남자 356명, 여자 350명) 아동 및 학부모 대상으로 초등학생의 식행동 및 가족 식생활 관련 요인 알아보기 위하여 일반사항, 식행동 및 식습관, 부모 관련 특성에 따른 아동의 식행동, 가족의 식생활 태도 등을 설문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대상 아동은 남자 356명(50.4%), 여자 350명(49.6%)이며, 체중군별 분포는 저체중 151명(21.4%), 정상 344명(48.7%), 과체중 98명(13.9%), 비만 113명(16%)으로 조사 되었다. 조사대상 아동의 평균 신장, 체중 및 BMI는 각각 145.7cm, 42.1kg 19.6kg/㎡로 나타났다. 신장은 체중군별 유의적인 차이가 없으나, 저체중군에서 비만군으로 갈수록 체중 및 BMI는 유의적으로 높았다(P<0.001). 조사대상 아동 중 '식욕이 많다'고 응답한 비만아동은 42.5%, 과체중 아동은 39.8%, 정상체중 아동은 25.3%, 저체중 아동은 23.2%로 아동들의 체중이 무거울수록 '식욕이 많다'고 응답한 비율이 유의적으로 높았다(p<0.001). 아동들의 식사속도 및 식사시 행동에서는 체중군별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식습관 조사의 경우 '하루 3번 규칙적으로 먹는다'와 '아침식사를 규칙적으로 한다'는 식습관은 저체중군이 다른 체중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더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p<0.001) 이에 비해 비만 아동은 '안 먹다가 한꺼번에 몰아서 먹는다' 와 '음식이 있으면 배가 고프지 않아도 무조건 먹는다' 는 식습관 점수가 다른 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더 나쁜 결과를 보였다(p<0.001). 14.7%의 아동들만이 '외식을 거의 하지 않는다'고 응답하여, 대부분의 아동들은 한달에 한번 이상 외식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체중군별 외식빈도의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또한 외식할 때 선택하는 음식으로 조사대상 아동들의 88.2%가 '삼겹살, 갈비 등의 육류'를 선택하는 것으로 나타나 제주지역 아동들의 외식음식이 육류 위주로 편중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조사대상 아동들의 가족 식행동을 보면 저체중 아동들 가족이 다른군 가족에 비해 아침식사를 규칙적으로 하는 것은 아동들의 개인 식습관과 일치 하였다(p<0.01). 그러나 비만 아동들과 과체중군 아동들의 가족의 식사량이 다른 체중군 아동들 가족의 식사량보다 유의적으로 더 많고 식사속도도 더 빠르다고 응답하였다(p<0.001). 조사대상 가족의 외식음식 빈도와 외식음식 선택 비율은 체중군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조사대상 가족들도 88.5%가 '삼겹살, 갈비 등의 육류'를 선택하고 있고, 이는 아동들이 거의 다 육류를 선택하는 것과 같아 가족들도 선택하는 외식음식이 육류에 편중되어 있었다. 조사대상 아동 부모의 일반특성 중 부모 BMI가 아동 비만 여부에 유의적으로 나타났다(p<0.05). 조사대상 아동 부모의 일반 특성에 따른 가족의 외식음식 섭취수준의 차이를 보인 음식으로는 부 나이 경우는 '삼겹살, 갈비 등의 육류', 모나이 경우는 '분식류'이다. 부학력 경우는 삼겹살, 갈비등의 육류, 모학력 경우는 삼겹살, 갈비 등의 육류, 햄버거, 피자등의 패스트음식, 분식류로 나타났다. 부직업 경우는 삼겹살, 갈비 등의 육류, 중국음식, 양식, 한식, 모직업 경우는 삼겹살, 갈비등의 육류, 분식류로 나타났다. 부 BMI 경우는 삼겹살, 갈비등의 육류, 생선류, 햄버거, 피자등의 패스트음식, 한식이며, 모 BMI 경우는 양식으로 나타났다, 부모 경제수준에서는 삼겹살, 갈비등의 육류, 생선류, 양식, 한식에서 외식음식의 섭취수준의 차이를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비만아동과 과체중아동들과 그 가족은 식행동에서 다른군에 비해 식욕이 많고 식사속도가 빠르고 식사량도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비해 아침식사는 덜 규칙적이었다. 외식빈도나 외식 음식선택에 있어 체중군별 유의적 차이가 없는 것은 아동들이나 가족들의 외식 음식이 육류에 편중되어 있기 때문이라 여겨진다. 가족 외식빈도는 부모나이가 젊을수록, 부모학력이 높을수록, 어머니 직업이 있는 경우, 아버지 BMI 가 높을수록, 부모경제수준이 높을수록 유의적으로 높았다. 이는 가족 환경과 아동들의 식행동이 관련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특히 젊은 나이의 아버지일수록 외식의 영향을 받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아동의 식행동 및 식습관 변화에 부모와 가족의 식습관 역할이 중요함을 인식하고 올바른 식습관을 실천할 수 있도록 아동뿐만이 아니라 부모를 대상으로 하는 영양 교육도 중요하다고 사료된다.
This study examined the dietary behavior of elementary students and their family's dietary lifestyle. To understand children's general conditions and their dietary behavior and habits (which vary depending on the features of their parents as well as their overall family dietary lifestyles), a survey was conducted for 706 fourth and fifth graders enrolled in four elementary schools in Jeju City. The results are as follows. Of the total 706 student respondents, 356 (50.4%) were boys and 350 (49.6%) were girls. By body weight groups, 151 (21.4%) students were classified as underweight, 344 (48.7%) normal, 98 (13.9%) overweight, and 113 (16%) obese. The average height, weight, and BMI of the children were 145.7㎝, 42.1㎏, and 19.6㎏/㎡, respectively. The student respondents exhibit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height by body weight groups, while the BMI rose significantly from the underweight to obese groups (p<0.001). The positive respondents to the question of whether they 'have a large appetite' took up 42.5% of the obese group, 39.8% of the overweight group, 25.3% of the normal group, and 23.2% of the underweight group, exhibiting a significant increase in heavier groups (p<0.001). No noticeable difference by body weight groups was found in eating speed nor in other dietary behaviors. In terms of dietary habits, underweight children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positive response to the questions of whether they 'have three meals a day regularly' and whether they 'have breakfast regularly'(p<0.001). On the contrary, obese children gave relatively more positive answers to the questions of whether they 'binge-eat after skipping meals' and whether they 'eat whatever food they can find regardless of appetite,' showing worse dietary habits than other groups(p<0.001). Most children answered that they eat out at least once a month, with the ratio of those who 'rarely eat out' staying at only 14.7%. However, the student respondents showed no noticeable difference in the frequency of dining out by body weight groups. The 88.2% ratio of the children who had 'meat including pork belly and ribs' when dining out implies that their dietary option for dining out is weighted much toward meat. Looking at their family's dietary lifestyle, the families of underweight children showed the highest ratio of having breakfast regularly than other family groups, corresponding to the individual dietary habit of the children (p<0.001). However, the families of obese and overweight children ate significantly more and faster than those of other body weight groups (p<0.001). The frequency of dining out and the ratio of selected food types showed no meaningful difference by body weight groups. 88.5% of the families of the children respondents chose 'meat including pork belly and ribs' when dining out, which was the same result as shown in the responses by children. This implies that the dietary option of the families for dining out was weighted toward meat just as that of their children was. The general conditions of the parents of the children respondents showed a significant relevance between the BMI of the parents and the obesity of their children (p<0.05). The consumption of meat including pork belly and ribs when dining out differed in the family groups by paternal age, while maternal age resulted in different consumption amount of snack food. Paternal academic ability was related to the different consumption level of meat including pork belly and ribs, while the difference by maternal academic ability was found in wider food options such as meat including pork belly and ribs, fast food (including hamburgers and pizza), and snack food. The families also showed different intake levels of meat including pork belly and ribs, Chinese food, western food, as well as Korean food by paternal occupations, while maternal occupations led to different intake levels of meat including pork belly and ribs as well as snack food. By paternal BMI, the consumption levels differed in meat including pork belly and ribs, fish, fast food (including hamburgers and pizza), and Korean food, while the maternal BMI was related to the different consumption level of western food. When it comes to the parental financial status, the families take in different levels of meat including pork belly and ribs, fish, western food, and Korean food when dining out. In conclusion, obese and overweight children and their families responded that they had a greater appetite and ate faster and more than other groups, while having breakfast less regularly. The reason that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body weight group's response to their frequency of and selected food type for dining out may be attributed to the fact that the food options for dining out were biased toward meat. However, the respondent families showed a higher frequency of dining out if the parents are younger in age, more educated, and financially more stable. The families with working mothers or higher paternal BMI levels also showed a higher frequency in dining out. The survey results suggest that the general family conditions are related to the dietary behavior of children. Particularly, the dietary conditions of the families with younger aged fathers were more likely to be influenced by dining out. It is essential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the parental and family dietary behaviors in changing children's dietary behaviors and habits and to educate not just children but also their parents on their diet and nutrition.
Author(s)
강신애
Issued Date
2017
Awarded Date
2017. 2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8016
Alternative Author(s)
ShinAe Kang
Affiliation
제주대학교 일반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식품영양학과
Advisor
고양숙
Table Of Contents
Ⅰ. 서 론 1
Ⅱ. 이론적 배경 3
1. 학령기 아동의 식행동 및 식습관 3
2. 학령기 아동의 비만요인 및 실태 4
3. 가족 식생활의 중요성 5
Ⅲ. 연구 내용 및 방법 7
1. 조사대상 및 기간 7
2. 조사내용 및 방법 7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7
2) 조사대상자의 식행동 및 식습관 8
3. 통계처리 8
Ⅳ. 연구결과 9
1. 조사대상 아동의 일반적 특성 9
1) 조사대상 아동의 나이, 성별 분포 9
2) 조사대상 아동의 체중군별 분포 9
3) 조사대상 아동의 체중군별 신체계측치 10
2. 조사대상 아동의 식행동 11
1) 조사대상 아동의 체중군별 식행동 및 식습관 11
가. 조사대상 아동의 체중군별 식행동 11
나. 조사대상 아동의 체중군별 식습관 14
2) 조사대상 아동의 외식 실태 17
가. 조사대상 아동의 체중군별 외식 빈도와 외식시 식사량 17
나. 조사대상 아동의 외식 음식의 종류 18
3. 조사대상 가족의 식생활 22
1) 조사대상 아동 가족의 식행동 22
2) 조사대상 가족의 외식 실태 25
3) 조사대상 아동의 식사 지도 30
4. 조사대상 부모 관련 특성 32
1) 조사대상 부모의 일반적 특성 32
2) 조사대상 아동 부모의 일반적 특성과 아동의 체중군별 분포 32
3) 조사대상 부모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아동의 식행동 36
가. 조사대상자 부모 나이에 따른 식행동 및 외식 실태 36
나. 조사대상자 부모 학력에 따른 식행동 및 외식 실태 43
다. 조사대상자 부모 직업에 따른 식행동 및 외식 실태 48
라. 조사대상자 부모 BMI에 따른 식행동 및 외식 실태 52
마. 조사대상자 부모의 경제수준에 따른 식행동 및 외식 실태 58
Ⅴ. 고찰 62
Ⅵ. 요약 및 결론 69
Ⅶ. 참고문헌 75
Abstract 80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일반대학원
Citation
강신애. (2017). 제주시 지역 일부 초등학생의 체중군별 식행동과 가족 식생활 관련 요인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Food Science and Nutri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