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중학교 영어교과서의 의사소통 기능과 대화상황 분석: 듣기와 말하기 영역 중심으로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n Analysis of the Communicative Functions and Situations in Middle School English Textbooks
Abstract
본 연구는 현행 중학교 영어 교과서가 2009 개정 교육과정의 의사소통 기능을 다양한 상황에서 제시하고 있는지 분석하고 학년 간 연계성과 출판사 간 차이를 밝히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사용 빈도가 높은 중학교 영어교과서 4종 12권을 조사하여 듣기와 말하기 영역 대화문에 나타난 의사소통 기능과 의사소통 상황을 구성하는 요소인 소재, 대화자의 관계, 대화 장소의 분포 양상을 분석하였다.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의사소통 기능의 분포와 특징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의사소통 기능의 분포를 분석한 결과 상위 항목과 하위 항목 모두 학년별, 출판사별 분포에서 특정 항목에 편중되어 균형적 분포를 이루지 못하였다. 둘째, 학년 간 의사소통 기능의 연계성을 살펴본 결과 상위 항목의 경우 모든 학년에서 항목 간 큰 차이 없이 비슷한 분포로 나타났으며, 하위 항목은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적게 제시되거나 누락되는 기능도 있어 학년별 연계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졌다고 볼 수 없었다. 셋째, 출판사 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상위 항목의 경우 모든 교과서에서 유사한 분포를 보여 출판사 간 차이가 없었으나, 하위 항목의 경우 일부 교과서에서 만 다루고 있는 기능들이 있어 어떤 출판사의 교과서를 통해 학습하느냐에 따라 학생들이 접할 수 있는 하위 항목이 최대 42개까지 차이가 날 수 있었다. 의사소통 상황을 구성하는 소재, 대화자의 관계, 대화 장소의 분포와 특징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재, 대화자의 관계, 대화 장소의 분포를 분석한 결과 학년별, 출판사별 분포에서 모두 특정 항목에 편중되어 나타났다. 둘째, 소재, 대화자의 관계, 대화 장소의 학년 간 연계성을 분석한 결과 모두 전 학년에서 비슷한 분포를 보여 이전 학년에서 제시한 항목들을 반복하여 제시하고 있었으나 이를 상호 보완하여 제시하거나 학년에 따라 연계적으로 제시하지는 못하였다. 셋째, 소재, 대화자의 관계, 대화 장소의 출판사 간 차이를 분석한 결과 모든 교과서에서 편중되어 나타나는 항목은 공통적이었으나, 추가적으로 제시하고 있는 항목과 빈도에는 차이를 보여 어떤 출판사의 교과서를 선택하느냐에 따라 학생들이 접할 수 있는 소재, 대화 장소, 대화자의 관계에는 차이가 있을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제언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교과서의 대화문을 구성할 때에는 특정 의사소통 기능과 상황 요소에 편중하기보다 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다양한 의사소통 기능을 풍부한 상황에서 균형적으로 제시해야 한다. 뿐만 아니라 의사소통 기능과 상황 요소를 학년별로 심화 발전시켜 연계적으로 제시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효과적인 영어 지도를 위해 교사는 본 연구 결과를 참고로 각 학년에서 편중되거나 부족한 의사소통 기능과 상황 요소를 사전에 파악하고 이를 보완할 수 있는 보충 교재나 추가적인 수업 자료를 준비하여 다양한 상황에서 의사소통 기능을 빠짐없이 학습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whether the current middle school English textbooks present the communicative functions in various situations suggested by the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In addition,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sequential presentation of communicative functions through middle school grades 1-3 and compare and contrast the differences among the textbooks of four different publishers. For this purpose, four kinds of English textbooks for all grades in the middle school were selected. These textbooks were analyzed in terms of communicative functions and situations which include the topic of the conversation, the place where the conversation takes plac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listeners and speakers. The results of the distribution of communicative function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main categories and subcategories of communicative functions presented by the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re focused on certain functions and are not well-balanced. Five out of eleven main categories and six out of 122 subcategories are highly predominant in all textbooks. Second, a lack of continuity of communicative functions through grades was found since the distributions of main categories are similar in all grades, and some functions are omitted and even less presented in subcategories. Third, as the result of analysis to find out differences among the four textbooks of the publishers, main categories show similar distributions in all textbooks, but some subcategories are only shown in certain textbooks. Therefore, there are up to 42 subcategories of the gap depending on which textbook the students choose.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situations of communication showed the followings. First, the topic of the conversation, the place where the conversation takes plac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listeners and speakers are biased on the certain categories. Five out of 19 topics suggested in the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such as personal life, family life, school life and friendship, social life and human relationship and leisure activities, are commonly used in all textbooks. Regarding the place, it is hard to define the specific place where the conversation occurs, but most dialogues hold in school and home. Also, the conversation between friends shows the highest frequency. Second, in terms of continuity through grades, it does not show systematic organization and complementary distribution by repeating the same categories. Third, as the result of differences among the four textbooks, the same categories are dominated in all textbooks. However, some of the textbooks present additional components of communication situation. Thus, students can learn different topics, places and relationships depending on the textbook. The results above suggest some implications for writing English textbooks and teaching English effectively. English textbooks should deal with a wide range of communicative functions presented by national curriculum in various situations. Also, communicative functions and situations should be presented in systematic ways by intensifying and developing them as moving to higher grades. Teachers should understand what communicative functions and situations are biased and deficient and prepare supplementary teaching materials for efficient English teaching.
Author(s)
김민주
Issued Date
2017
Awarded Date
2017.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8179
Alternative Author(s)
Kim, Min ju
Affiliation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영어교육
Advisor
신창원
Table Of Contents
목 차 ⅰ
표 목 차 ⅲ
그 림 목 차 ⅳ
I. 서론 1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1.2 연구 문제 및 구성 3
Ⅱ. 이론적 배경 4
2.1 의사소통 능력 4
2.2 의사소통 기능 범주 6
2.3 의사소통 상황 범주 10
2.4 2009 개정 교육과정의 의사소통 기능과 소재 14
2.4.1 2009 개정 교육과정의 의사소통 기능 14
2.4.2 2009 개정 교육과정의 소재 17
2.5 의사소통 기능과 상황에 관한 선행연구 18
Ⅲ. 연구 방법 21
3.1 연구 대상 21
3.1.1 분석 대상 교과서 21
3.1.2 분석 대상 영역 22
3.2 분석 기준 및 방법 22
3.2.1 의사소통 기능 23
3.2.2 소재 23
3.2.3 대화 장소 24
3.2.4 대화자의 관계 25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26
4.1 의사소통 기능 분석 결과 26
4.1.1 전체 교과서의 학년별 분포 26
4.1.2 전체 교과서의 출판사별 분포 36
4.2 상황 범주 분석 결과 46
4.2.1 대화문의 소재 46
4.2.2 대화 장소 55
4.2.3 대화자 관계 60
4.3 분석 종합 및 논의 65
Ⅴ. 결론 및 제언 71
5.1 결론 71
5.2 교육적 시사점 73
5.3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 74
참 고 문 헌 75
Abstract 78
부 록 81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김민주. (2017). 중학교 영어교과서의 의사소통 기능과 대화상황 분석: 듣기와 말하기 영역 중심으로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English Language Educ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