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고등학교 영어교과서 질문 유형 분석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n Analysis of Question Types in High School English Textbooks [:Focused on the Reading Sections]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영어교과서 읽기 영역에 제시된 질문을 Bloom(1956)의 학습영역 중 인지적 영역에 따른 질문 유형(지식, 이해, 적용, 분석, 종합, 평가)으로 비교·분석하고, 각 질문 유형이 영어교과서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수준으로 제시되어 있는지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Bloom(1956)의 질문 유형에 따라 해당 영역을 찾아 질문을 분류하는 방식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은 고등학교 영어교과서 59종 가운데 영어 Ⅰ, 영어 Ⅱ, 실용 영어 Ⅰ, 실용 영어 Ⅱ, 영어 독해와 작문, 실용 영어 독해와 작문 28권을 선정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교 영어교과서 읽기 영역 전체를 분석한 결과 지식 유형 질문이 전체의 50.7%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지식 유형 다음으로 이해 26.3%, 적용 13.6%였으며, 분석 3.2%, 종합 4.7%, 평가 1.5%로 3개의 유형이 5%내외로 상대적으로 낮은 비율이었다. 고등학교 영어교과서 읽기 영역의 질문 구성은 전체적으로 고르게 분포되어 있지 않았고, 지식 유형의 질문에 치중되었다. 이 결과는 영어교과서의 읽기 영역의 특성과 교육과정의 목표에 부합하는 다양한 질문 유형이 필요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둘째, 고등학교 영어교과서 읽기 영역에서 전·중·후 활동의 질문 유형은 지식 유형의 질문이 전체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해 유형의 질문은 영어 Ⅰ, Ⅱ 교과서를 제외한 나머지 교과서에서 읽기 후 활동의 질문에서 많았고, 적용 유형의 질문은 실용 영어 Ⅰ 교과서의 읽기 중 활동에서 10.1%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실용 영어교과서의 특성상 학생들이 본문에서 배운 내용을 바로 적용하는 부분이 많아 읽기 중 활동에서 비교적 자주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 다만 분석, 종합, 평가 유형의 질문은 전체 교과서 읽기 전·중·후 활동 모두에서 상대적으로 미미한 비율로 사용되었다. 따라서 읽기 영역에서 텍스트 내 구성요소간의 관계 또는 자료를 판단하고, 평가하는 단계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 결과는 효과적인 영어교육을 위해 교과서 읽기 영역의 질문 유형이 보다 다양하게 제시될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 다양한 질문은 학습자의 영어 읽기 능력 향상 및 비판적·창의적 사고 능력 향상을 위해 필요할 것이다. 또한 교사는 영어교과서의 특성에 따라 필요한 질문 유형을 파악하여 부족한 질문을 추가하거나 수정하여 수업에 활용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questions presented in the reading sections of high school English textbooks, according to the cognitive domain of Bloom(1956), and to examine whether the types of questions(knowledge, understanding, application, analysis, synthesis, evaluation) present at various level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The questions in the reading sections were analyzed by classifying the corresponding questions according to the definition of Bloom (1956). The subjects of the analysis were selected from 28 English textbooks out of 59 high school English textbooks: English Ⅰ, English Ⅱ, Practical English Ⅰ, Practical English Ⅱ, English Reading and Writing, Practical English Reading and Writing.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knowledge" type question accounts for 50.7% of all question types. The percentage of "understanding" type was 26.3%, application 13.6%, analysis 3.2%, synthesis 4.7%, and evaluation 1.5%. Thus, it was found that the questions of the reading sections of the high school English textbooks were not uniformly distributed throughout, focusing on the knowledge type. This result shows that the composition of various question typ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 of the subjects and the goal of the curriculum is required. Second, the question types in the reading sections of high school English textbooks did not uniformly appear, and the questions presented in 'before-, while-, and after- reading' appeared to be concentrated on questions of knowledge and understanding type. In the whole textbook, the number of analysis, synthesis, and evaluation type questions in 'before-, while-, and after –reading activities' was relatively small. This is because there are only a few steps to judge and evaluate the relationship or data between elements in the text in the reading sec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diversify the question sections and construct a textbook with evenly distributed question types in order to be more effective for English learning. This means that the types of questions should be more diversified in order to improve the learners' ability to read English and their critical creative thinking ability.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English textbook, it is necessary for the teacher to identify the type of the question which meets the learning objectives and the goal of the English curriculum and to present more various questions to the students.
Author(s)
양정현
Issued Date
2017
Awarded Date
2017.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8192
Alternative Author(s)
Yang, Jung Hyun
Affiliation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영어교육
Advisor
신창원
Table Of Contents
국문초록 ⅰ
목차 ⅱ
표목차 ⅴ
그림목차 ⅵ
Ⅰ. 서론 1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1.2 연구 문제 3
Ⅱ. 이론적 배경 4
2.1 2009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 4
2.2 읽기 교육에서 질문의 의의와 유형 6
2.2.1 읽기 교육에서 질문의 의의 6
2.2.2 질문의 유형 7
2.3 영어 교과 교재의 질문 8
2.4 Bloom(1956)의 질문 유형 분류 9
2.5 질문 유형에 관한 선행 연구 13

Ⅲ. 연구방법 16
3.1 분석 대상 16
3.2 분석 대상 교과서의 구성 체제 17
3.2.1 읽기 활동 구성 체제 17
3.2.2 단원별 읽기 활동 구성 체제 19
3.3 분석 절차 및 방법 21
3.3.1 교과서 분석 절차 21
3.3.2 읽기 영역의 질문 유형 예시 분석 24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32
4.1 영어교과서의 질문 유형 분석 결과 32
4.2 읽기 전・중・후 활동의 질문 유형 비교 및 분석 결과 38
Ⅴ. 결론 및 제언 51
5.1 결론 51
5.2 교육적 시사점 53
5.3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 54
참 고 문 헌 55
ABSTRACT 59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양정현. (2017). 고등학교 영어교과서 질문 유형 분석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English Language Educ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