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제주 일부 성인을 대상으로 진행된 당뇨위험군 집중관리 프로그램의 효과분석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Effect analysis of the intensive management program for subjects with prediabetes in Jeju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당뇨위험군 집중관리 프로그램에 참여한 당뇨 전단계 성인의 생 활습관(식습관, 운동, 음주, 흡연)과 당화혈색소 수치 변화를 통해 프로그램의 효 과 평가와 개선 사항을 도출하여 당뇨 전단계 성인을 대상으로 당뇨교육의 효율 성 검증과 발전 방향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 자는 2017년 1월부터 2019년 12월까지 당뇨위험군 집중관리 프로그램 참여자 236명 중 중도 포기자 및 당뇨약복용자 73명을 제외한 최종 완료자 163명으로 프로그램 참여 전·후 지표 결과를 분석하였다. 조사된 자료는 IBM SPSS Program(Ver.26.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조사 내용별 분석방법은 빈도분석 과 t-test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지난 3년간(2017-2019) 당뇨위험군 집중관리 프로그램에 참여한 163명 중 남성 이 31.5%(51명), 여성 68.7%(112명)였고, 연령대는 30-40대 19.0%(31명), 50대 46.0%(75명), 60대 이상 35%(57명)로 조사되었다. 조사 대상자의 직업은 총 8개 로 분류하였으며 주부 25.2%(41명), 영업/서비스직 20.9%(34명), 전문직 19.0%(31 명), 사무직 11.7%(19명), 기타 9.8%(16명), 생산/기능직 8.6%(14명) 순으로 나타 났고, 운전/운송직과 은퇴는 각각 2.5%(4명)로 가장 낮은 빈도를 나타냈다. 당뇨위험군 집중관리 프로그램 참여자의 식습관은 '양호' 참여자가 프로그램 참 여 전 64.4%(105명)에서 프로그램 참여 후 91.4%(149명)로 상승하였고, 운동은 프로그램 참여 전 '적정' 참여자가 50.3%(82명)에서 프로그램 참여 후 69.3%(113 명)로, 음주는 프로그램 참여 전 '적정 음주' 참여자가 79.8%(130명)에서 프로그 램 참여 후 83.4%(136명)로 개선되었다. 하지만 프로그램 참여자의 흡연은 프로 그램 참여 전·후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참여자의 생활습관(식습관, 운동, 음주) 변화와 더불어 프로그램 참여 후 전체 참여자 중 18.4%(30명)의 당화혈색 소 수치가 당뇨 전단계에서 정상으로 개선되는 효과를 보였다. 당뇨위험군 집중관리 프로그램 참여 전·후 지표 변화를 참여자의 성별에 따라 분석한 결과, 남성 참여자는 당화혈색소 수치에 유의적 개선이 없었으나, 생활습 관(식습관, 운동, 음주)의 변화가 관찰되었다. 더불어 남성 참여자의 식생활에서 는 유제품 섭취, 단백질 섭취, 식이섬유 섭취, 지방 섭취, 나트륨 섭취, 식사 규칙 성 및 균형 관련 항목이 유의적으로 개선되었으나 간식 섭취 항목에서는 변화가 없었다. 그에 비해 여성 참여자는 당화혈색소 수치 및 생활습관(식습관, 운동, 음 주)과 더불어 식생활 관련 모든 항목에서 유의적인 개선 효과가 관찰되어 남성 참여자 보다 여성 참여자가 프로그램 참여 후 더 많은 항목에서 개선됨을 확인 하였다. 당뇨위험군 집중관리 프로그램 참여 전·후 지표 변화를 참여자의 연령에 따라 분석한 결과, 30-40대 참여자는 당화혈색소 수치 및 생활습관(식습관, 운동, 음 주)이 모두 개선되었으며, 50대 및 60대 이상 참여자는 생활습관(식습관, 운동, 음주)만 향상되었고 당화혈색소 수치는 유의적인 변화가 없었다. 식생활 변화에 서는 50대 참여자가 가장 많은 7가지 모든 항목에서 유의적 개선을 보였고, 60대 이상 참여자가 유제품 섭취, 단백질 섭취, 지방 섭취, 나트륨 섭취, 식사 규칙성 및 균형에서 유의적인 변화가 관찰되었으며, 30-40대 참여자는 식이섬유 섭취, 지방 섭취, 식사 규칙성 및 균형 3가지 항목에서 유의하게 나타났다. 당뇨위험군 집중관리 프로그램 참여 전·후 지표 변화를 참여자의 직업에 따라 분석한 결과, '사무직' 참여자는 당화혈색소 수치, 식습관, 음주에서 유의적으로 향상되었고, '영업/서비스직' 참여자는 식습관, 운동, 음주에서 높아졌으며, '주부' 와 '기타' 참여자는 당화혈색소 수치, 식습관, 운동에서 각 3가지 항목이 유의적 으로 개선되었다. '생산/기능직' 참여자는 식습관과 음주 점수가 높아졌으며, '전 문직' 참여자는 식습관과 운동이 향상되어 각 2가지 항목이 개선되었다. '운전/운 송직' 및 '은퇴' 참여자는 모든 항목이 유의적이지 않았으며, 이는 참여자 수가 제한점으로 작용했다고 사료된다. 참여자의 식생활 변화에서는 프로그램 참여 후 '생산/기능직' 참여자가 유제품 섭취, 지방 섭취, 식사 규칙성 및 균형, 간식 섭취 에서 '영업/서비스직' 참여자는 단백질 섭취, 식이섬유 섭취, 지방 섭취, 나트륨 섭취, 식사 규칙성 및 균형에서 '전문직' 참여자는 유제품 섭취, 단백질 섭취, 식 이섬유 섭취, 지방 섭취, 식사 규칙성 및 균형에서 유의적인 변화를 나타냈다. '사무직' 참여자는 식이섬유 섭취, 지방 섭취, 식사 규칙성 및 균형, 간식 섭취 4 가지 항목에서 향상되었으며, '주부' 참여자는 단백질 섭취, 지방 섭취, 간식 섭취 3가지 항목에서 '기타' 참여자는 식이섬유 섭취와 지방 섭취 2가지 항목에서 통 계적으로 유의한 변화를 나타냈다. 마지막 '운전/운송직' 및 '은퇴' 참여자는 모든 식생활 항목에서 유의적이지 않았다. 식습관 태도는 참여자의 성별 및 연령별 모든 항목에서 유의적인 변화가 관찰 되었고, 직업에 따라 분석한 결과 '사무직', '생산/기능직', '영업/서비스직', '전문 직', '기타' 참여자가 모든 식생활 태도문항 항목에서 유의적인 변화를 나타냈으 나 '운전/운송직' 및 '은퇴' 참여자는 모든 식생활 태도문항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적이지 않았으며 '주부' 참여자는 긍정적 태도문항에서 개선되는 경향을 보 이긴 했으나 유의적이지 않았고 부정적 태도문항에서 유의적인 개선 효과가 관 찰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살펴볼 때, 당뇨 전단계 성인의 당뇨위험군 집중관리 프로그램 참여는 생활습관 중 식습관, 운동, 음주의 유의적인 개선은 물론 당화 혈색소 수치 개선을 이끌었으나 흡연 습관의 개선에는 효과적이지 못하였다. 또 한 당뇨위험군 집중관리 프로그램은 참여자의 당화혈색소 수치 및 생활습관(식 습관, 운동, 음주), 식생활 및 식습관 태도에서 성별 및 연령별, 직업별 대부분이 유의하게 개선됨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본 연구는 제한적인 참여자 수, 지역, 기 간 등으로 인해 일반화의 한계와 인과관계를 도출하는 데는 한계점을 가진다. 그 러므로 추후 연구에서는 이러한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해 장기간 충분한 참여자 수 확보 및 동일 참여자의 추적연구 등을 통해 프로그램의 정확한 효과 평가와 개선 방향 도출을 적용한 맞춤형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는 제주지역 당뇨 전단계 대상자의 당뇨예방을 위한 당뇨위험군 집중관리 프로그램 참여를 통한 생활습관과 당화혈색소 수치 개선 효과를 참여 자의 성별, 연령별, 직업별로 비교·분석함으로써, 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하고 개 선 방향을 도출해 추후 맞춤형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 이다.
In this study, the intensive management program for subjects with prediabetes was evaluated based on the changes in the levels of glycated hemoglobin(HbA1c) and the lifestyle choices including eating habits, exercise, alcohol consumption, and smoking by completing a questionnaire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participation.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analysis of the management program by analyzing changes in lifestyle (eating habits, exercise, alcohol consumption, smoking) of participants which may lead to decrease their HbA1c. Thus, results of this study could provide helpful information to improve the intensive management program for individuals with prediabetes in a customized way in future. Questionnaires completed by 163 final participants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participation from January 2017 to December 2019 were analyzed in this study.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IBM SPSS Program (Ver.26.0), and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determined by frequency analysis or student t-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General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included were 1) 31.5% (n=51) men and 68.7% (n=112) women, 2) 19.0% (n=31) in their 30s and 40s, 46.0% (n=75) in their 50s, and 35% (n=57) over 60s, 3) job categories (n=8) including 25.2% (n=41) housewives, 20.9% (n=34) sales/service jobs, 19.0% (n=31) professional jobs, 11.7% (n=19) office jobs, 9.8% (n=16) other, and 8.6% (n=14) manufacturing and production jobs, and driving/transportation jobs and retiree 2.5%(n=4) each. After participation on the intensive management program, participants had the following changes; 1) healthy eating habits: 64.4% (n=105) to 91.4% (n=149), 2) practice rate of exercise:50.3% (n=82) to 69.3% (n=113), 3) alcohol consumption in moderation: 79.8% (n=130) to 83.4% (n=136). However, smoking rate was not changed by the program participation. Among with these lifestyle changes 18.4% (n=30) of all participants exhibited an improvement in their levels of HbA1c from the pre-diabetic to normal after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The change in indicators before and after participation in the intensive management program for a type 2 diabetic risk group by gender showed that male participants did not significantly improve their levels of HbA1c. Even though their lifestyle choices were significantly improved after the program participation. In particular, male participants improved their dietary habit by including higher intake of dairy, protein, fiber, but lower intake of fat and sodium as well as increasing dietary regularity and balance; however, there was no changes in the amount of snack intake. On the other hand female participants ha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all dietary-related factors and HbA1c after the program participation. The change in indicators before and after participation in the intensive management program for a type 2 diabetic risk group by age showed that participants in their 30's and 40's appeared to have improved HbA1c levels and lifestyle choices, while participants in their 50's to 60's and older had improvements only to their lifestyle choices. In regards to dietary changes, participants in their 50's had the most improvement in all seven categories, with significant changes in the intake of dairy, protein, fat, sodium and dietary regularity and balance. Participants in their 60's and older had significant changes in their dietary intake primarily in dairy, fat, protein, sodium and dietary regularity and balance. Lastly, participants in their 30s and 40s ha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ir dietary fiber intake, fat intake, diet regularity and balance after participating the program. The change in indicators before and after participation in the intensive management program for a type 2 diabetic risk group by occupation showed that participants in 'office jobs' had improved HbA1c levels and eating habits, alcohol consumption and participants in 'sales/service jobs' had increased in eating habits, exercise and drinking, while participants in 'housewife' had significantly improved their levels of HbA1c levels. Lastly participants in 'other' ha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each of the three items in HbA1c levels, eating habits and exercise. Participants in "manufacturing/production jobs" increased their eating habits and alcohol drinking, while participants in "professional jobs" improved their eating habits and exercise, improving each of the two items. The participants in 'driving/transportation jobs' and 'retiree' did not have significant changes in all items. In dietary changes of participants, 'manufacturing/production jobs' participants showed significant changes in dairy consumption, fat intake, dietary regularity and balance, and snack intake after participation in the program, and participants in 'sales/service jobs' showed significant changes in protein intake, dietary fiber intake, fat intake, sodium intake, dietary regularity and balance, The 'professional jobs' participants showed significant changes in dairy consumption, protein intake, dietary fiber intake, fat intake, dietary regularity. Participants in 'office jobs' improved in four categories: dietary fiber intake, fat intake, dietary regularity and balance, and snack intake. Participants in 'housewife' showed significant changes in three categories: protein intake, fat intake, and snack intake, and 'other' participant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in two categories: dietary fiber intake and fat intake. The last 'driving/transportation jobs' and 'retiree' participants did not have a significant change in all categories. Significant changes in eating habits were observed in all categories by gender and age of participants, according to job analysis. Among eight job categories. 'office', 'manufacturing/production', 'sales/service', 'professional', 'sales/service' and 'other' participants showed significant changes in all categories, except the 'driving/transportation' and 'retiree', 'housewife' participants. Taken together, this study showed that participation in the intensive management program led to the improvement of the participants' HbA1c levels and lifestyle choices such as eating habits, exercise, and drinking;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smoking. These improvements were highly influenced by the participants' gender, age, and occupation. These findings provide future directions for improving the intensive management program for individuals with prediabetes with more dedicated-customizing approaches. Due to the limited scope of this study such as a number of participants, regions, and time periods, it has restrictions in generalization and causality. Therefore, further research may still be required to assess the effectiveness of similar customized programs employing a wider approach (e.g., geographical area and/or extended time frames).
Author(s)
김수진
Issued Date
2020
Awarded Date
2020.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09623
Alternative Author(s)
Kim, Su Jin
Affiliation
제주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식품영양학과
Advisor
이윤경
Table Of Contents
표 목차 ⅳ
그림 목차 ⅵ
국문요약 ⅶ
Ⅰ. 서론 1
Ⅱ. 이론적 배경 4
1. 당뇨병의 이해 4
2. 당뇨병 진단에 당화혈색소 검사의 중요성 5
3. 당뇨 전단계 6
4. 당뇨병 예방을 위한 프로그램 11
Ⅲ. 연구 내용 및 방법 13
1. 연구 대상 및 기간 13
2. 연구 내용 및 방법 14
1) 일반적인 사항 및 당화혈색소 검사 결과 14
2) 생활습관(식습관, 운동, 음주, 흡연) 조사 결과 14
3) 당뇨위험군 집중관리 프로그램 15
3. 통계분석 방법 18
Ⅳ. 연구 결과 및 고찰 19
1. 연구 대상자의 특성 19
1)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19
2. 당뇨위험군 집중관리 프로그램 참여 전후의 지표 결과 변화 21
1) 당뇨위험군 집중관리 프로그램 참여 전후 당화혈색소 수치와 생활습관 (식습관, 운동, 음주, 흡연)의 참여자 수 변화 21
2) 당뇨위험군 집중관리 프로그램 참여자의 프로그램 참여 전후 당화혈색소 수치와 생활습관(식습관, 운동, 음주)의 변화 24
3) 성별에 따른 당뇨위험군 집중관리 프로그램 참여자의 프로그램 참여 전후 당화혈색소 수치와 생활습관(식습관, 운동, 음주)의 변화 26
4) 연령에 따른 당뇨위험군 집중관리 프로그램 참여자의 프로그램 참여 전후 당화혈색소 수치와 생활습관(식습관, 운동, 음주)의 변화 29
5) 직업에 따른 당뇨위험군 집중관리 프로그램 참여자의 프로그램 참여 전후 당화혈색소 수치와 생활습관(식습관, 운동, 음주)의 변화 32
6) 당뇨위험군 집중관리 프로그램 참여자의 프로그램 참여 전후 식생활 변화 36
7) 성별에 따른 당뇨위험군 집중관리 프로그램 참여자의 프로그램 참여 전후 식생활 변화 38
8) 연령에 따른 당뇨위험군 집중관리 프로그램 참여자의 프로그램 참여 전후 식생활 변화 42
9) 직업에 따른 당뇨위험군 집중관리 프로그램 참여자의 프로그램 참여 전후 식생활 변화 46
10) 당뇨위험군 집중관리 프로그램 참여자의 프로그램 참여 전후 식습관의 태도변화 52
11) 성별에 따른 당뇨위험군 집중관리 프로그램 참여자의 프로그램 참여 전후 식습관의 태도변화 53
12) 연령에 따른 당뇨위험군 집중관리 프로그램 참여자의 프로그램 참여 전후 식습관의 태도변화 55
13) 직업에 따른 당뇨위험군 집중관리 프로그램 참여자의 프로그램 참여 전후 식습관의 태도변화 58
Ⅴ. 결론 및 제언 60
Ⅵ. 참고문헌 65
부 록 77
Abstract 81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대학원
Citation
김수진. (2020). 제주 일부 성인을 대상으로 진행된 당뇨위험군 집중관리 프로그램의 효과분석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Food Science and Nutri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