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Estimation of the potential fisheries production in the Korean waters by biomass-size-spectrum model based on satellite-derived, ocean-color data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인공위성 해색자료 기반 생체량 크기 스펙트럼 모델을 이용한 한국 해역 수산자원 잠재생산량 추정
Abstract
한국 해역에서 수산자원 잠재생산량을 추정하기 위해 생태계 접근법인리더 방법(Ryther's method, 1969)과 생체량 크기 스펙트럼 모델을 사용하였다.리더 방법은 바다를 외양, 내양, 용승 지역으로 나누어 각각 평균일차생산력,영양단계, 영양전달효율을 일정한 값으로 고정하여 수산자원 잠재생산량과 최대어획량을 추정하는 방법이며, 생체량 크기 스펙트럼 모델은 몸 크기에 따라생체량이 비슷한 해양생태계의 특성을 이용하여 낮은 영양단계의 몸 크기 별생체량으로 높은 영양단계의 몸 크기 별 생체량과 수산자원 잠재생산량을추정하는 모델이다.리더 방법을 한국 해역에 적용한 결과, 수산자원 잠재생산량은 2.22 ×106 톤,최대 어획량은 0.93×106 톤으로 추정되었다. 한국 해역의 평균일차생산력을인공위성 해색자료로 계산하여 적용한 결과, 수산자원 잠재생산량은 5.85×106 톤,잠재 지속 가능한 어획량은 2.44×106 톤으로 실제 어획량과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인공위성 해색자료를 이용하여 한국 해역의 식물플랑크톤의 크기 별 생체량평균을 계산하고 북해를 대상으로 개발된 생체량 크기 스펙트럼 모델에적용하여 추정한 수산자원 잠재생산량은 2013 년에 24.55×106 톤, 2014 년에25.66×106 톤으로 실제 어획량은 추정한 값의 약 9%에 해당되었다. 그러나 이연구는 전세계를 대상으로 계산한 영양단계와 영양전달효율을 이용한 리더방법과 북해를 대상으로 한 생체량 크기 스펙트럼 모델을 사용하였다. 따라서한국 해역의 자료를 수집하여 한국형 모델을 만들 필요가 있다.
Author(s)
이현주
Issued Date
2021
Awarded Date
2021. 2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jejunu.ac.kr/handle/2020.oak/23489
Affiliation
제주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해양생명과학과
Advisor
정석근
Table Of Contents
List of Figures . iii
List of Table iv
I. Introduction 1
1-1. Definition of potential fisheries production 1
1-2. Past studies . 2
1-2-1. Estimation of global potential fisheries production 2
1-2-2. Estimation of regional scale fisheries production . 3
1-3. Problems . 4
1-4. Objective . 6
1-5. Ryther's method . 6
1-6. Biomass size spectrum model . 6
1-6-1. Characteristics of marine ecosystem . 6
1-6-2. Introduction of biomass size spectrum model . 7
1-6-3. Model considering both pelagic and benthic ecosystem . 7
II. Data and Methods . 8
2-1. Study area . 8
2-2. Data . 10
2-3. Methods 10
2-3-1. Ryther's methods 10
2-3-2. Biomass size spectrum model . 11
2-2-3-1. BSS model for the North Sea 11
2-2-3-2. Estimation of phytoplankton biomass by size in the Korean waters. 11
2-2-3-3. Constructing the Biomass size spectrum in the Korean waters based
on the North Sea case study . 13
2-2-3-4. Estimation of potential fisheries production in the Korean waters by
the BSS model 14
III. Results 15
3-1. Ryther's method . 15
3-2. Biomass size spectrum model . 19
IV. Discussion 24
4-1. Summary and evaluation of the results . 24
4-2. Comparison with the past studies in the Korean waters . 27
4-3. Limitations and future studies 28
4-4. Conclusion 28
V. Reference 29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대학원
Citation
이현주. (2021). Estimation of the potential fisheries production in the Korean waters by biomass-size-spectrum model based on satellite-derived, ocean-color data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Marine Life Sciences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