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TV 드라마의상의 모리스 미학기호학적 해석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Morris's Esthetic Semiotics Analysis of TV Drama Costumes : A Focus on comparative analysis of and
Abstract
드라마의상은 드라마의 극적 효과를 높이기 위한 시각적 표현수단으로, 드라마의 서사구조에 따른 갈등구조와 등장인물 내면의 심리, 캐릭터의 극적 표현을 시각적 영상언어로 강화시키거나 전달하는 기능이 있다. 이에 드라마의상이 등장인물에게 착용되는 그 자체로의 도상기호이고, 이를 통해 표현되는 다양한 의미들의 가치를 지닌 미학기호라고도 할 수 있다. 미학기호학은 모리스가 기호의 세미오시스의 탐구를 통해 기존 기호학의 영역을 확대함으로써 의상, 몸짓, 표정 등의 비언어적 기호의 기호론적 의미를 포함한 예술 영역과 미학적 탐구를 적용시켜 정립한 학문이므로, 드라마의상의 기호학적 분석  해석을 위해 모리스의 미학기호학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서사구조에 따른 주요중심인물들의 캐릭터와 심층구조에 내재된 함축적 의미가 표출된 드라마의상의 영상언어를 시각이미지로 형성화하여 도출한 결과를 미학언어로 구축하고자 함이었다. 이를 위해 모리스의 미학기호학의 개념과 복식의 미적범주를 고찰하였고, 드라마의 서사구조와 중심인물의 캐릭터 유형과 성격을 분석한 후 캐릭터화 하였다. 모리스의 미학기호학을 토대로 영상언어인 드라마의상의 의미표출양식을 분석  해석하기 위한 모형을 구축하였고, 이상에서 도출한 드라마의상의 미학기호학적 분석  해석 모형을 바탕으로 와 의 드라마의상을 실증적으로 분석  해석하여 영상언어를 복식의 미적 범주의 미학언어로 구조화하였다.
연구의 범위는 최근 방영한 TV 드라마 중 와 를 선정하였다. 그 이유는 두 드라마의 서사구조 속 중심인물들 간의 갈등구조를 중심으로 사건이 전개되고 이 갈등구조 속에서 함축적인 의미를 담고 있으며, 스토리에 전개된 갈등관계의 중심인물들의 상반된 이미지가 나타나는 점이다. 또한 두 드라마의 중심인물 간의 사건의 유사구조와 이에 따른 캐릭터의 유사성이 나타나는 점이다.
모리스의 미학기호학은 미학기호의 형식적인 구조에 적용 가능한 미학언어를 탐구하는 역할의 미학통사론, 미학기호의 지시대상이나 조건의 미적가치의 구조 의미를 의미작용 차원(지시적, 강조적, 처방적)에서 탐구하는 역할의 미학의미론, 미학기호의 생산자와 감상자 간의 미학기호의 기능적 사용 차원(정보적, 가치적, 선동적, 체계적)을 탐구하는 역할의 미학화용론으로 정의할 수 있었으며, 모리스의 미학기호이론을 미학통사론적 차원, 미학의미론적 차원, 미학화용론적 차원에서 드라마의상의 미학기호학적 분석 · 해석 모형을 구축하였다.
미학통사론적 차원에서는 도상기호의 시각적이고 조형적인 형식특성을 분석하는 것으로, 미학통사론 차원에서는 드라마의상의 형태, 색채, 재질, 스타일 등의 도상적 차원에서의 분석으로 이루어지고, 분석을 통해 도출된 기호를 통사론적 도상기호라고 하였다. 미학의미론적 차원에서 미학기호의 지시대상이 지닌 가치속성의 의미를 탐구하는 영역으로, 미학의미론적 차원에서의 해석은 서사구조에 따른 스토리의 지시적 차원, 스토리에 따른 캐릭터 이미지의 강조적 차원, 캐릭터 이미지를 통한 등장인물들 간의 갈등구조 반응의 처방적 차원에서의 분석 ‧ 해석을 통해 내재된 미적가치로 도출된 기호를 의미론적 미학기호라고 하였다. 미학화용론적 차원에서는 드라마의상을 비롯한 예술작품의 상징적 의미 체계를 분석한 것으로, 상징적 가치의 내재적 기능과 효과적인 의미 전달의 기능성을 정보적, 가치적, 선동적, 체계적 차원에서의 분석으로 이루어졌다. 미학화용론적 차원에서의 해석은 드라마의상의 캐릭터 심리전달의 기능과 드라마의상의 극적 효과 전달 기능을 기능적 사용 차원에서 도출된 기호를 화용론적 복합미학기호라고 하였다.
드라마의 서사구조는 드라마의 골격을 이루는 중심 스토리 구조와 다수의 주변적 스토리 구조들이 연계되어 스토리 구조에 따라 중심인물들의 다양한 이해관계들을 전개한 것이다. 중심인물들 간의 관계는 서사를 이끌어가는 중심요소이며, 인물들의 유형과 성격에 따라 대립, 반목, 협조 등의 관계로 형성된다. 따라서 드라마 서사구조에 따른 중심인물의 캐릭터를 분석하기 위해, TV드라마 와 의 스토리 서사구조를 먼저 고찰한 후, 드라마의 골격인 중심 스토리구조와 다수의 주변적인 스토리구조를 연계하여, 중심인물 별 발단, 전개, 위기, 절정, 결말의 서사구조에 따른 캐릭터간의 갈등관계를 유추하였다. 그 결과, 중심인물 스토리 서사구조는 그룹의 최고 경영권과 과거 사건의 진실 은폐와 복수와 같은 유사구조로 구성되었고, 각 중심인물의 주변 스토리 서사구조에 전개된 사건들도 유사구조로 구성되었음을 도출하였다. 또한 모석희와 제니장, 하영서와 김여옥, 한제국과 김여옥 등의 중심인물 캐릭터가 서로 유사함을 유추할 수 있었다.
따라서 두 드라마의 중심인물들이 착용한 드라마의상(우아한 가의 모석희 100벌, 하영서, 43벌, 한제국 65벌과 시크릿 부티크의 제니장 95벌, 김여옥 62벌) 중에서 중심인물 별 서사구조(발단, 전개, 위기, 절정, 결말)에 따라 착용한 드라마의상을 발췌하여 분류였으며, 두 드라마의 서사구조와 중심인물 캐릭터 분석을 통해 유추한 결과를 바탕으로, 중심 인물의 성격과 유형이 유사한 모석희와 제니장, 하영서와 김여옥, 한제국과 김여옥의 극적 장면(발단, 전개, 위기, 절정, 결말의 유사사건)에서 착용한 드라마의상을 발췌한 후 미학기호학적 해석을 하였다.
서사구조의 유사사건과 중심인물들의 유사한 캐릭터에 따른 드라마의상을 미학기호학적 차원에서 비교 · 분석한 결과, 전반적으로 통사론적 도상기호의 도상적 차원에서의 형태, 색채, 재질 등의 해석에서는 다소 차이가 있으나 이를 통해 표현된 스타일에서는 대체적으로 유사함을 도출할 수 있었다. 그리고 두 중심인물간의 통사론적 도상기호를 통해 살펴 본 의미론적 미학기호의 의미작용 차원과 화용론적 복합미학기호의 기능적 사용 차원에서의 기호가 유사함을 도출하였다.
모석희와 제니장의 서사구조의 유사사건에 따른 드라마의상의 미학기호학적 차원에서의 기호과정을 통해 영상언어를 아이러니(발단), 무한한 우월성과 인간적 위대성(전개), 비장성(위기), 숭고성(절정), 품위성과 엘레강스와 시크(결말)라는 미학언어로 구조화하였다.
하영서와 김여옥의 서사구조의 유사사건에 따른 드라마의상의 미학기호학적 차원에서의 기호과정을 통해 영상언어를 스노비즘과 엘레강스(발단), 숭고한 무한성과 품위성(전개), 숭고적 비장성(위기), 숭고성와 비장성(절정), 숭고적 비장성과 비애성(결말)이라는 미학언어로 구조화하였다.
한제국과 김여옥의 서사구조의 유사사건에 따른 드라마의상의 미학기호학적 차원에서의 기호과정을 통해 영상언어를 숭고성와 엘레강스한 시크(발단), 숭고적 무한성(전개), 숭고성과 비애성(위기), 카타르시스적 숭고성(절정), 비장성(결말)이라는 미학언어로 구조화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드라마의상을 모리스의 미학기호이론인 통사론적 도상기호, 의미론적 미학기호, 화용론적 복합미학기호 차원에서의 분석 ‧ 해석 차원을 적용하여 드라마의상의 영상언어를 기호과정을 통해 미학언어로 구조화 할 수 있음을 규명하였다.
본 연구는 드라마의 서사구조에 따른 캐릭터와 사건 등의 유사성이 나타난 두 드라마의 드라마의상을 미학기호학이론을 적용하여 분석 ‧ 해석 모형을 구축하였다는 점이 의미가 있으며, 앞으로 더 다양한 장르의 드라마의상에도 적용하여 지속적으로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In drama, the drama costume is an instrument of visual expression that enhances the story's dramatic effect while conveying the conflict within the narrative structure and codifying a character's inner psychology or dramatic expression into its image language. Accordingly, the drama costume symbolizes the character and is an esthetic sign that expresses various meanings regarding the character. Charles Morris explores semiosis through esthetic semiotics, expanding the scope of existing semiotics to cover artistic fields, including the symbolic meanings of nonverbal signs like costumes, gestures, and facial expressions. This approach suggests that it is possible to apply Morris's esthetic semiotics to the semantic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dramatic images.
This study aims to interpret the image language of Elegant Family and Secret Boutique through costumes, which expresses the central characters' traits concerning the stories' narrative structures and their deeper themes. In particular, the study explores the concept of esthetic semiotics, considers the doubles' esthetic categories, analyzes the drama's narrative structure, and interprets the central characters' traits. After analyzing the drama's narrative structure and the main character, the character was transformed into a character.
Based on Morris's esthetic semiotics, a model was established to analyze and interpret the drama costumes' semantic expression. Based on the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the derived drama image, a image language was established using the costumes' esthetic signs through empirical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the two television (TV) dramas.
Among the latest dramas to be aired on TV, Elegant Family and Secret Boutique were selected because they share similar plotlines centered on the conflicts between the central characters, which contain implications on the conflicts' structures as the central characters' images develop.
Morris's esthetic semiotics is composed of the esthetic syntactics theory of the role of exploring esthetic language applicable to the formal structure of signs; the role of esthetic semantics in exploring the structural meaning of the values of esthetic signs or conditions in semantic action dimensions (designative, emphatic, or prescription); and esthetic pragmatics in the role of exploring the functional use of aesthetic signs (informative, valuative, incitive, and systemic) between producers and appreciators of esthetic signs.
On the syntactic level, the visual and formative formal characteristics of schematic signs are analyzed. The sign derived from the analysis was determined as the syntactic icon sign, which was, in turn, derived by analyzing the shape, color, material, and style of the drama based on its esthetics. This area explores the meaning of the subject's value attribute at the esthetic level. This interpretation is derived from an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the esthetic value of the story's directional dimension, emphasis on character images according to the narrative structure, and the conflict's prescription level through character images. On a pragmatic level, the signic meaning system of artworks, including the statue of drama, was analyzed through the intrinsic function of symbolic value and effective meaning transmission at the information, value, instigation, and systematic levels. Meanwhile, the compound esthetic sign is a pragmatic interpretation of the sign derived from the drama phase's effects and the characters' psychological transmission function in the drama phase.
The narrative structure forms the drama's framework, and several peripheral story structures are linked to develop the central characters' interests. Depending on the kinds of relationships between the central characters, whether it is confrontational, antagonistic, and cooperative, their conflict is the primary force that drives the narrative forward. Therefore, the narratives of Elegant Family and Secret Boutique were initially considered before analyzing the main characters according to the drama's narrative structure. By linking the main narrative with the various subplots surrounding it, the conflicts between the characters based on the central characters' origins, development, crises, climaxes, and endings were inferred. As a result, the central characters' stories consisted of similar structures, including the group's top management rights and the concealment and emergence of the truth behind past events. Similarly, the events surrounding the narratives of each central character were also derived from similar structures. For example, it could be inferred that the main character pairs of Mo Seok-hee and Jenny Jang, Ha Young-seo and Kim Yeo-ok, and Han Je-guk and Kim Yeo-ok were similar.
Among the costumes worn by the main characters of the two dramas (100 for Mo Seok-hee in Elegant Family, Ha Young-seo, 43 for Ha Young-seo, 65 in Han Empire, 95 in Secret Boutique, and 62 in Kim Yeo-ok), the drama images worn by the central characters were extracted and classified according to each central character's arc (beginning, rising action, crisis, climax, and ending). After analyzing the narratives and central characters of the two dramas, a symbolic interpretation was made based on the drama's images worn by Mo Seok-hee and Jenny Jang, Ha Young-seo and Kim Yeo-ok, Han Je-guk and Kim Yeo-ok, who have similar characteristics and character archetypes.
Based on the analysis of similar plot points and central characters on a non-semester level, some differences in the interpretation of shapes, colors, and materials in the syntactic sign's schematic dimension, but the style they expressed was generally similar. In addition, the semantic action and the functional use of compound esthetic signs were similarly based on the syntactic icons of the two central figures.
Through the symbolic process at the esthetic level of the drama's image following similar events in Mo Seok-hee and Jenny Chang's narrative, the image language was structured as irony (beginning), infinite superiority and human greatness (rising action), tragic (crisis), sublime (climax), dignity and chic (ending).
In comparison, the symbolic process at the esthetic level of the drama's image following similar events in Ha Young-seo and Kim Yeo-ok's narrative, the image language was structured as snobbism, elegance (beginning), sublime infinity and dignity (rising action), sublime tragic (crisis), and sublime tragic and splenicity (ending).
However, examining the symbolic process at the esthetic level of the drama's image following the similar events of the Han Empire and Kim Yeo-ok's narrative, the image language was structured as sublime, elegant chic (beginning), sublime infinity (rising action), sublime, tragic (crisis), catharsis sublime (the climax), and tragic (end).
In conclusion, this study determined that the image of drama can be structured as an esthetic language through analysis and symbolic interpretation at the syntactic, semantic, and pragmatic levels of Morris's esthetic semiotics.
This study's significance demonstrates the semiotics of esthetics in the two dramas, shown by the similarities in their characters and narratives, established through analysis and interpretation. Future studies can apply the model to more diverse genres of drama costumes.
Author(s)
안미화
Issued Date
2021
Awarded Date
2021. 2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jejunu.ac.kr/handle/2020.oak/23510
Alternative Author(s)
An, Mi Hwa
Affiliation
제주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패션의류학과
Advisor
장애란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의 방법 및 범위 3
Ⅱ. 이론적 배경 6
1. 기호학의 개념 6
2. 모리스의 미학기호학 9
1) 세미오시스 9
2) 모리스의 미학기호학 11
3. 복식의 미적 범주 15
Ⅲ. 드라마의 서사구조 및 중심인물의 캐릭터 분석 19
1. 드라마의 서사구조 19
1) 우아한 家 20
2) 시크릿 부티크 22
2. 중심인물의 캐릭터 분석 및 이미지화 26
1) 우아한 家 26
2) 시크릿 부티크 27
Ⅳ. 드라마의상의 미학기호학적 해석 34
1. 드라마의상의 미학기호학적 분석 해석 체계 34
1) 미학통사론적 차원 34
2) 미학의미론적 차원 35
3) 미학화용론적 차원 36
2. 드라마의상의 미학기호학적 해석 38
1) 모석희와 제니장의 드라마의상 비교 분석 44
2) 하영서와 김여옥의 드라마의상 비교 분석 61
3) 한제국과 김여옥의 드라마의상 비교 분석 78
Ⅴ. 결론 97
참고문헌 101
ABSTRACT 107
Degree
Doctor
Publisher
제주대학교 대학원
Citation
안미화. (2021). TV 드라마의상의 모리스 미학기호학적 해석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Fashion and Textiles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