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격자 기반 지리-공간분석을 통한 제주도 중증응급질환 환자의 병원 전 이송 취약지역 평가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Evaluation of vulnerable areas for prehospital transportation of major emergency incidents in Jeju Island through grid-based geospatial approach
Abstract
Backgrounds
The time interval from symptom to definitive treatment is very importanton outcomes of patient visited emergency department(ED). Especially, cardiacarrest, acute coronary syndrome, stroke, major trauma are well known timedependent diseases. To decreasing the prehospital transport time from call foremergency medical service(EMS) to arrival ED, we have tried to find asolution to the problem of accessibility vulnerable areas for prehospitaltransportation of the patients of 4 emergent diseases in Jeju Island. One ofthem is air transportation by helicopter.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factors related to transport time from callfor EMS to arrival ED in patients by 119 ambulance run sheet in Jeju Island.we showed the accessibility vulnerable areas with delayed prehospital timethrough a geospatial analysis of the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GIS).Then we recommended Helicopter Emergency Medical Services(HEMS) as asolution on delayed prehospital transport time in Jeju Island.
Methods
This study was a retrospective cross-sectional study by 119 ambulance runsheet from January 1, 2010 to September 30, 2018 in Jeju Island. We definedthe eligible population who used 119 ambulance for 4 major emergent disease:cardiac arrest, acute coronary syndrome, stroke and major trauma.The information of patient's location was collected from the spatial analysisframe by the GIS. And we calculated the distance and time interval for eachEMS tasks. We analyzed spot of long-distance transport and delayedtransport. Then we derived hot spots that are thought to have high potentialdemand for HEMS for the patients of 4 major emergent diseases.
Results
48,050 cases were enrolled and of those, 20,288 patients (42.2%) took morethan 30 minutes from call for EMS to arrival ED.This study showed a tendency the patients and guardians want to select ahospital as the transport time increased. In addition, the main step indetermining the total prehospital transport time for the patients of 4 majoremergent diseases was the time interval from scene to the hospital. The hotspots that are thought to have high potential demand for HEMS arevisualized and presented. The distribution of hot spot grids showed spatialautocorrelation, and was confined to the eastern and western regionsexcluding Jeju-si and Seogwipo-si, and tended to be concentrated in two orthree places.These results are considered to be the influence of the geographicdistribution of six emergency medical institutions and twenty-six 119 rescuecenters in Jeju Island. Although twenty-six 119 rescue centers are distributedthroughout Jeju Island, but six emergency medical institutions are concentratedat 2 urban areas.
Conclusions
This study showed the factors related to delayed transport time ofprehospital in 4 major emergent diseases. And accessibility vulnerable areasfor the patients of 4 major emergent diseases were derived and visualized bythe GIS. The spatial analysis framework, which was created previously, isexpected to be a useful tool for planning EMS resources in Jeju Island.
1. 배경

중증응급환자의 경우, 증상 발생부터 확정적 치료까지 소요되는 시간(symptom
to definitive treatment)이 최종 결과에 절대적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우리나라 보
건복지부에서도 시간에 민감한 중증응급환자의 경우 최대 30분 이내에 적정 응
급의료기관에 이송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지상이송(ground transfer)으로
이송 목표시간을 달성하지 못하는 경우, 항공이송(air transfer)을 고려하도록 권
고하고 있다.
위와 같은 이유로 본 연구에서는 제주특별자치도 행정지역 내 119구급서비스를 이용한 중증응급환자들의 구급신고부터 최종병원 도착까지 소요된 이송시간과 관련된 요인들을 확인하고 유의한 병원 전 이송시간 지연이 발생하는 접근성취약지역을 지리정보시스템(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공간분석을 통해 분석하고 그 해결책으로 제주도 내 헬리콥터를 이용한 응급의료헬기 환자이송서비스(Helicopter Emergency Medical Services, HEMS)의 활용 가능성 여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2. 방법

본 연구는 후향적 단면 관찰연구로 제주특별자치도에서 2010년 1월 1일부터2018년 9월 30일까지 발생한 구급활동에 대한 119구급활동기록지를 자료원으로사용하였다. 연구기간동안 119구급서비스를 요청한 환자 중 중증응급환자로 평가되어 응급의료기관으로 이송된 사례를 연구 적격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지리정보시스템(GIS)을 이용하여 생성된 제주특별자치도 내 공간분석 틀에 연구기간 동안 발생한 중증응급질환 환자들의 환자 발생 위치 GIS 좌표정보를 중첩하였다. 이후 연구 대상인 중증응급환자들 가운데 병원도착까지 장거리 이송및 지연이송이 발생한 발생위치를 분석하여 응급의료헬기 이송서비스의 잠재적인 수요가 높을 것으로 생각되는 지점(Hot spot)과 낮은 지점(Cold spot)을 도출하였다.

3. 결과

전체 분석 대상 중 119구급대 신고부터 병원 이송까지 30분 이상 소요된 경우는 42.2%(20,288 명)이었다.
이송시간 구간이 증가할수록 환자 발생지역은 제주시 지역은 감소하고 서귀포시 지역이 증가하였으며 환자/보호자가 이송병원을 선정하는 비율이 높아지는유의한 차이가 확인되었다. 또한 중증응급환자의 병원 전 전체 이송시간을 결정하는 주요한 단계는 구급현장에서부터 병원까지 이송되는데 소요된 시간이었다.앞서 생성된 분석 틀에 HEMS의 잠재적 수요가 높을 것으로 생각되는 지점(Hotspot)들을 시각화하여 제시하였다. Hot spot grids의 분포는 공간적 자기상관성을보이며 제주시와 서귀포시를 제외한 동부 및 서부지역 내에 국한되어 2곳 또는3곳 정도에 밀집되어 관찰되는 경향을 보였다.
위 결과는 제주도 내 26개소의 119구급센터와 6개소의 응급의료기관의 지리적분포에 따른 영향으로 사료되어진다. 비록 26개소의 119구급센터는 제주도 전 지역에 걸쳐 분포하고 있지만 6개소의 응급의료기관은 제주시와 서귀포시 두 지역에 집중되어 분포하고 있다.

4.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제주특별자치도 내 중증응급질환 환자의 병원 전 이송시간 지연과 관련된 특성을 확인하였고 병원 전 이송지연이 발생하는 응급의료기관으로의 접근성 취약지역을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한 공간분석을 통해 도출하여 시각화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응급의료기관으로의 접근성 취약지역(Hot spot)Figure의 활용방안은 응급의료헬기 인계점을 지정·관리하는 지방자치단체의 역량에 따라 제시된 HEMS의 잠재적인 수요가 높을 것으로 사료되어지는 지역(Hotspot)에 추가 이착륙장 건설 후보지 선정 또는 타 용도로 사용 중인 인계점을 추가 발굴하여 확보하는 과정에 근거자료로써 사용되어질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기존에 생성된 제주특별자치도 내 공간분석틀은 향후 제주도 내 응급의료서비스 자원을 계획하는 데 유용한 도구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Author(s)
고명상
Issued Date
2021
Awarded Date
2021. 2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jejunu.ac.kr/handle/2020.oak/23512
Alternative Author(s)
Ko, Myung Sang
Affiliation
제주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의학과
Advisor
김우정
Table Of Contents
국문 요약 1
서 론 4
연구 대상 및 방법 6
연구 결과 11
1) 연구 대상 11
2) 구급신고부터 응급의료기관 도착시간까지 구간 분류에 따른 특성 12
3) 지리정보시스템(GIS)을 이용한 중증응급환자 수요 빈도 및 공간분석 17
고 찰 26
결 론 29
참고 문헌 30
영문 초록 34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대학원
Citation
고명상. (2021). 격자 기반 지리-공간분석을 통한 제주도 중증응급질환 환자의 병원 전 이송 취약지역 평가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Medicine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