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네그리, 라클라우, 발리바르의 정치적 주체론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Comparative Analysis of Negri, Laclau, Balibar's Theory of Political Subject : A Re-interpretation of 'Candlelight-Masses'
Abstract
이 연구는 안토니오 네그리, 에르네스토 라클라우, 그리고 에티엔 발리바르의 정치적 주체론을 분석한다. 연구의 목적은 '촛불-대중'을 정치적 주체로 해석할 수 있는 이론적 자원을 찾는 것이다. 촛불-대중은 한국에서 2000년대 이후 반복되고 있는 촛불집회의 주체를 말한다. 연구는 먼저 촛불집회의 주체에 관한 역사적 논쟁인 2008년 다중론 논쟁을 검토한다. 다중론 논쟁은 촛불-대중의 가능성에 대한 낙관과 비관 사이에서 동요하였다. 그 결과 촛불-대중은 정치적 주체로 적극적으로 해석되지 못했다. 그 이유는 논쟁 과정에서 주체에 대한 분석이 사회 구조에 대한 분석과 결합되지 못하면서 일면적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연구는 네그리, 라클라우, 발리바르의 정치적 주체론이 각각 촛불-대중을 정치적 주체로 해석할 수 있는 이론적 자원이 될 수 있는지를 검토한다. 네그리는 대중의 긍정적 속성에 주목하면서 다중이라는 새로운 해방의 주체를 제시한다. 그러나 네그리의 이론은 생산의 영역에서 일어나는 '제국으로의 이행'에 과도하게 의존하면서 생산의 영역으로부터 독립적인 정치적 실천의 영역을 제시하지 못한다. 네그리는 제국 시대 해방의 주체를 성공적으로 이론화하였으나, 정치적 실천을 통해 어떻게 다중이 구성될 수 있는지를 입증하지는 못했다.
라클라우는 네그리와는 달리 특권적 주체를 거부하고, 주체를 담론 내부의 고정되지 않는 주체위치로 사고한다. 그는 담론 개념을 통해 '사회적인 것'의 영역을 탈구축하고 생산의 영역으로 결정되지 않는 정치적 실천의 영역인 헤게모니의 영역을 제시한다. 그러나 라클라우의 이론은 담론의 우발적 영역에 지나치게 개방되어 있어서 생산의 영역으로부터 상대적으로 자율적인 정치적 자율성의 영역을 제시하지 못한다. 라클라우는 다양한 정체성이 담론적 또는 헤게모니적 실천에 의해 고정되지 않거나 부분적으로 고정되는 영역을 제시하였으나, 정치적 실천의 공유 조건을 제시하지는 못했다.
발리바르는 대중을 양면적, 관계적인 주체인 '대중들'로 해석한다. 발리바르의 이론은 네그리와는 달리 대중의 긍정적 속성을 특권화하지 않고도 대중을 정치적 주체로 이론화할 가능성을 제공한다. 그는 알튀세르의 이데올로기론을 정정하면서 "지배 계급의 이데올로기는 피지배 계급의 이데올로기"라고 주장한다. 발리바르의 이데올로기 이론은 이데올로기 속에서 대중들의 가능성과 한계를 동시에 포착하며 생산의 영역에 의해 결정되지 않는 상대적으로 자율적인 정치의 영역에서 정치적 주체가 어떻게 구성되는지를 사회 구조의 분석과 함께 제시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연구는 발리바르의 정치적 주체론이 촛불-대중을 정치적 주체로 해석하는 데 있어서 네그리와 라클라우의 이론적 관점을 보완하는 타당한 이론적 자원이라고 주장한다.
발리바르의 이론은 촛불-대중을 정치적 주체로 해석하려고 할 때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먼저 그의 이론은 정치적 주체로서 촛불-대중의 양면적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이들은 우연히 거리나 광장 등 열린 공간에 모여 정치적 주체로서의 역량을 과시하기도 했지만 이들의 강력한 정치적 에너지는 종종 반복적으로 증발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다음으로 발리바르의 이데올로기 이론은 촛불의 출현과 해체의 방식을 설명할 수 있다. 촛불-대중은 민족주의와 같은 지배이데올로기로부터 벗어나지 못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하지만, 헌법 1조와 같은 '이상적 보편성'에 근거하여 봉기하기도 한다. 마지막으로 발리바르의 이론은 다양한 정치적, 이념적 정체성으로 가득 찬 세계에서 정치적 주체가 어떻게 구성될 수 있는지를 설명할 수 있다. 정치적 주체는 다양한 정체성의 담론적 형성에 있어서 공유된 조건과 공통의 목표를 동원하는 정치적 개입을 통해서만 구성될 수 있다.
This study analyzes the Antonio Negri, Ernesto Laclau and Etienne Balibar's theory of political subje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oretical resources that can interpret 'candlelight-masses' as a political subject. Candlelight-masses are the subject of 'candlelight vigils' that have been repeated since the 2000s in Korea. The study first examines the multitude-theory debate in 2008, a historical debate on the subject of candlelight vigils. The multitude-theory debate was vacillated between optimism and pessimism about the possibility of candlelight-masses. As a result, candlelight-masses were not actively interpreted as a political subject, because the analysis of the subject tended to be one-sided without enough consideration of the social structure.
Next, the study examines whether the political subject theory of Negri, Laclau and Balibar respectively can be a theoretical resource for interpreting candlelight-masses as a political subject. Negri focuses on the positive attribute of the mass and, from it, infers a new subject of emancipation called 'multitude.' Negri's theory, however, fails to theorize an independent political sphere other than the sphere of production, in that his position heavily rely on the distinctive interpretation of the current condition of the sphere of production as a 'transition to the Empire.' This means that, in some sense, while successfully theorizing a emancipatory agent of multitude in the era of the Empire, Negri has difficulty in demonstrate how the multitude can be constructed through political practices.
Unlike Negri, Laclau rejects the unduly supposed privileged subject and tries to think of the subject as an unfixed subject position within the discourse. He deconstructs the domain of 'the society' through the concept of discourse and presents it as a domain of hegemony, which is an independent sphere of the political practices not determined by the sphere of production. However, Laclau's theory seems to be unduly open to the sphere of contingency of the discourse and does not properly discuss a relativity of the autonomy of the sphere of ​​politics from the sphere of production. This means that, whereas demonstrating the areas where various identities are partially fixed and unfixed through discursive or hegemonic practices, Laclau's theoretical position scarcely recognizes a question of what is the shared conditions of such pactices.
Balibar suggests that the mass should be interpreted as the 'masses', which implies the latter might be a ambivalent and trans-individual being. On the one hand, unlike Negri, Balibar dwells upon a possibility of theorizing the masses as a political subject without supposing the positive attributes of the mass. On the other hand, he endeavor to modify Althusser's theory of ideology and, thus, argues that "ideologies of the ruling class are ideologies of the subjugated classes." This modified theory of ideology help him to capture both of possibility and limitation of masses simultaneously. Balibar shows that it could be possible to analyze political subjects constructed in the relatively autonomous sphere not determined by the sphere of production without giving up an analysis of social structure. In this context, this thesis would argue that Balibar's theory of political subject could be accepted as a valid theoretical resource complementing both Negri and Laclau's theoretical perspectives in terms of interpreting candlelight-masses as political subject.
Balibar's theoretical position has vantage points when we try to interpret candlelight-masses as a political subject. First, his theory of ideology enables us to examine candlelight-masses as a ambivalent being, but at the same time, a political subject. They gathered on the open space such as the street and plaza by accident, and showed off their capacities as a political subject, but they were also merely the masses who lacked a collective identity, and, therefore, their powerful political energy repeatedly evaporated.
Next, with Balibar's theory of ideology, we can explain the way of emergence and disbandment of candlelight-masses. It means that they are not immune from the ruling ideology such as the nationalism: shown in the 2008 candlelight protest, they legitimate their resistance by appealing to universal ideals such as the Article 1 of the Constitution presupposing a political community of the nation.
Finally, Balibar's idea gives an opportunity to think of how for political subjects to be constructed in the world full of various political and ideological identities. Political subjects can be constituted only through political interventions mobilizing shared conditions and common goal in the discursive formation of the diverse identities.
Author(s)
현우식
Issued Date
2021
Awarded Date
2021. 2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jejunu.ac.kr/handle/2020.oak/23522
Alternative Author(s)
Hyun, Woo Shik
Affiliation
제주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사회학과
Advisor
서영표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Ⅱ. 2008년 다중론 논쟁 검토
1. 논쟁의 배경
2. 논쟁의 내용과 한계
Ⅲ. 네그리의 정치적 주체론
1. 제국으로의 이행
2. 새로운 해방의 주체: 다중
3. 이론의 적용가능성 검토
IV. 라클라우의 정치적 주체론
1. 헤게모니 개념 검토
2. 헤게모니 개념의 이론적 구축: 담론
3. 이론의 적용가능성 검토
Ⅴ. 발리바르의 정치적 주체론
1. 이데올로기 개념 검토
2. 양면적·관계적 주체: 대중들
3. 이론의 적용가능성 검토
Ⅵ. 2008년 다중론 논쟁 재해석
Ⅶ. 결론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대학원
Citation
현우식. (2021). 네그리, 라클라우, 발리바르의 정치적 주체론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Sociology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