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유아를 위한 제주형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Development and Effects of Jeju-style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를 위한 제주형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만5세 유아에게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유아를 위한 제주형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그램은 어떻게 구성할 것인가?
1-1. 유아를 위한 제주형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그램의 교육목적 및 목표는무엇으로 설정할 것인가?
1-2. 유아를 위한 제주형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그램의 교육내용은 어떻게조직할 것인가?
1-3. 유아를 위한 제주형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그램의 교수-학습 방법은어떻게 할 것인가?
1-4. 유아를 위한 제주형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그램의 평가는 어떻게 할 것인가?

연구문제 2. 유아를 위한 제주형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는 어떠한가?

2-1. 유아를 위한 제주형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환경보전 지식과 환경보전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가?
2-2. 유아를 위한 제주형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지역 공동체의식에 영향을 미치는가?
2-3. 유아를 위한 제주형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소비자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한 절차는 다음과 같이 진행되었다.

연구문제 1에서는 유아를 위한 제주형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프로그램의 개발과정은 ADDIE 모형에 따른 분석, 설계, 개발, 실행, 평가 단계에 따라 수행하였다. 분석단계에서는 유아를 위한 제주형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그램의 구성을 위한 이론적 기저를 마련하고자 문헌고찰, 전문가 델파이 조사, 현장교사 심층면담을 통 해 본 프로그램의 요구를 분석하여 설계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였다. 설계단계에서는 분석단계에서 수렴한 요구를 반영하여 제주형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그램의 목적에 따른 목표, 교육내용, 교수-학습방법, 평가방법을 설정하였다. 개발단계에서는 설계단계에서 설정한 시안을 전문가를 통한 내용 타당도 검사를 실시하고 모의 현장 적용을 통해 해당 프로그램을 수정하고 보완한 뒤 프로그램을 개발하였고 그에 따른 24차시의 활동안을 마련하였다. 실행단계에서는 만 5세 유아를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실제 구현하여 적용하였다. 평가단계에서는 유아평가, 교사평가, 프로그램 평가로 구분하여 평가를 수행하였 다. 평가단계를 거쳐 프로그램의 최종안과 총 26차시 활동안을 구성하였다. 연구문제 2에서는 유아를 위한 제주형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 보기 위해 J시에 위치한 유치원 만 5세 유아 40명(실험집단 20명, 비교집단 20명)을 대상으로 2020년 9월14일부터 10월23일까지 총 6주간 연구를 수행하였다. 프로그램 은 유아의 환경보전 지식 및 환경보전 태도, 지역 공동체 의식, 유아 소비자 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프로그램의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하였으며, 검사결 과는 SPSS 18.0을 활용하여 통계 검증하였다. 유아를 위한 제주형 지속가능발전교 육 프로그램의 적용 효과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를 위한 제주형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환경보전 지식과 환경보전 지식의 하위요인인 물의 보전지식, 공기의 보전지식, 흙의 보전지식, 쓰레 기 분리수거에서 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따라서 유아를 위 한 제주형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환경보전 지식을 증진하는데 긍정 적인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유아를 위한 제주형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그램은 유아의 환경보전 태도와 그 하위요소인 재활용 태도 및 환경오염방지 태도의 사후검사에서 집단 간에 통계 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따라서 유아를 위한 제주형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환경보전 태도를 증진하는데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 다. 셋째, 본 연구에서 개발한 유아를 위한 제주형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그램은 지 역 공동체 의식의 사후검사에서 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따 라서 유아를 위한 제주형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지역 공동체 의식을 증진시키는데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넷째, 본 연구에서 개발한 유아를 위한 제주형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그램은 유 아 소비자 행동의 하위요소인 소비 가치관, 자원관리 행동, 합리적 구매행동, 소비 자 시민의식의 사후검사에서 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따라 서 유아를 위한 제주형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그램이 유아 소비자 행동을 증진시키 는데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연구결과 본 프로그램은 만 5세 유아의 환경보전 지식 및 환경보전 태도, 지역 공동체 의식, 유아 소비자 행동 증진에 긍정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본 연구에서 개발된 유아를 위한 제주형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그램이 제주 지역의 유아교육활동에 적용하고 활용하는데 구체적인 대안과 방법을 제시하였다는데 교육 적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Jeju-style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an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by applying it to children aged 5 years. The research questions set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are as follows. Research Question 1. How will the Jeju-style Education Program for sustainable development for young children be structured? 1-1. What are the goals and objectives of the Jeju-style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1-2. How will the contents of the Jeju-style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be organized? 1-3. How will the teaching-learning method of the Jeju-style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1-4. How to evaluate the Jeju-style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Research Question 2. What is the effect of the Jeju-style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2-1. Does Jeju-style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affect young children's environmental conservation awareness and environmental conservation attitude? 2-2. Does the Jeju-style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affect young children's community consciousness? 2-3. Does Jeju-style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affect young children's consumer behavior? Each research question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procedures. In research question 1, a Jeju-style education program for sustainable development was developed for young children. The program development process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procedures of analysis, design, development, execution, and evaluation according to the ADDIE model. In the analysis stage, in order to establish the theoretical basis for the composition of the Jeju-style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the needs of this program are analyzed through literature review, expert Delphi survey, and in-depth interviews with field teachers and used as basic data for design. In the design stage, objectives, educational content,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evaluation methods were set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Jeju-style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program by reflecting the extracted elements of the analysis stage. In the development stage, the proposals set in the design stage were tested for on-site application feasibility through an expert, corrected and supplemented, and the program was developed, followed by 26 activities. In the implementation stage, the program was actually applied to 5-year-old children. In the evaluation stage, theevaluation was organized into infant evaluation, teacher evaluation, and program evaluation. In Research Question 2,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Jeju-style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programs for young children, 40 children aged 5 in kindergartens (20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20 in the comparative group) located in J-City were targeted at September 14, 2020. The study was conducted for a total of 6 weeks from September 14, 2020 to October 23. 2020. The pre-test and post-test of the program were conducted to find out the effect of the program on preservation of the environment, attitudes toward environmental preservation, awareness of local community, and consumer behavior of children. Statistical processing was performed using SPSS 18.0. The results of the study on the application effect of the Jeju-style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are as follows. First, the preservation of air and soil, which are sub-elements of the Jeju-style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did no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in the post-test. Among the sub-factors of the conservation type,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in the conservation type of water and the separate collection of garbage. The overall environmental preservation formula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in the post-test.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Jeju-style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has a positive effect in promoting the environment conservation awareness of young children. Second, the Jeju-style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in the post-test of young children's environmental preservation attitude and their sub-factors such as recycling attitude and environmental pollution prevention attitude.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Jeju-style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has a positive effect in improving young children's environmental preservation attitude. Third, the Jeju-style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developed in this study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in the post-test of community awareness.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Jeju-style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has a positive effect in promoting young children's sense of local community. Fourth, the Jeju-style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developed in this study did no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in the post-test of rational purchasing behavior and consumer citizenship, which are the sub-elements of the child's consumer behavior, but the sub-factor, consumption value, In the post-test of resource management behavior,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The overall consumer behavior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in the post-test.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Jeju-style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has a positive effect in promoting young children's consumer behavior. In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this program has a positive effect on promoting environmental conservation awareness and environmental conservation attitude, community consciousness, and consumer behavior of children aged 5 years. This would be of educational significance in that the Jeju-style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developed in this study presented concrete plans to apply and utilize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in Jeju.
Author(s)
부은순
Issued Date
2021
Awarded Date
2021. 2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jejunu.ac.kr/handle/2020.oak/23556
Alternative Author(s)
Boo, Eun Soon
Affiliation
제주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교육학과
Advisor
박정환
Table Of Contents
국문초록 I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6
3. 용어의 정의 7
Ⅱ. 이론적 배경 9
1. 지속가능발전교육 9
가. 지속가능발전교육의 배경 및 개념 9
나. 지속가능발전교육의 내용 12
다. 지속가능발전교육의 방법 15
라. 유아기 지속가능발전교육의 중요성 17
2. 유아를 위한 제주형 지속가능발전교육 19
가. 유아를 위한 제주형 지속가능발전교육의 교육적 함의 19
나. 유아를 위한 제주형 지속가능발전교육의 내용 21
다. 환경보전 지식과 환경보전 태도 23
라. 지역 공동체 의식 25
마. 유아 소비자 행동 27
3. 유아를 위한 제주형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그램 개발 모형 29
4. 유아기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그램 선행연구 33
Ⅲ. 연구방법 37
1. 프로그램 개발 38
가. 분석단계 40
나. 설계단계 45
다. 개발단계 45
라. 실행단계 48
마. 평가단계 50
2. 프로그램 효과검증 52
가. 연구대상 52
나. 연구설계 53
다. 연구도구 53
라. 자료처리 및 분석 58
Ⅳ. 연구결과 및 해석 60
1. 유아를 위한 제주형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그램 개발 60
가. 분석단계 60
나. 설계단계 85
다. 개발단계 94
라. 실행단계 98
마. 평가단계 111
바. 최종 프로그램 113
2. 유아를 위한 제주형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그램 효과 116
가. 환경보전 지식 효과 116
나. 환경보전 태도 효과 121
다. 지역 공동체 의식 효과 124
라. 유아 소비자 행동 효과 126
Ⅴ. 논의, 결론 및 제언 132
1. 논의 132
가. 유아를 위한 제주형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그램 개발 132
나. 유아를 위한 제주형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그램 효과 136
2. 결론 및 제언 141
참고문헌 144
Abstract 160
부록 164
부록1. 지역 공동체 의식 검사 164
부록2. 환경보전 지식 검사 165
부록3. 환경보전 태도 검사 168
부록4. 유아 소비자 행동 검사 169
부록5. 제주형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그램 활동 계획안 172
Degree
Doctor
Publisher
제주대학교 대학원
Citation
부은순. (2021). 유아를 위한 제주형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Convergence Education Software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