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장자 글쓰기와 그 활용 연구

Metadata Downloads
Abstract
莊周의 저작 『莊子』는 전국시대라는 혼란한 상황과 백가쟁명이라는 치열한논쟁 속에서 저술된 글이다. 그렇기 때문에 그의 글에는 어려운 상황을 타개해보고자 자신의 뜻을 세우는 내용(立言)을 담는 것 외에도, 다른 제자백가나 식자층을 설득하는 서술방식이 동원되었을 것이다. 그리고 장주가 『장자』를 저술할당시에는 문‧사‧철을 통칭한 文이라는 개념은 있었으나 지금과 같은 문학이라는개념은 존재하지 않았다. 때문에 그는 글을 쓰면서 문학, 사상, 논술 등의 구분을두지 않았을 것이니 그의 글에 다양한 글쓰기 방식이 혼재되어 있는 것은 당연하다.그런데 지금까지 『장자』의 사상을 밝히려는 노력은 끊임없이 지속되어 왔고, 그의 문학성에 대해서도 최근 괄목할 만한 성과를 이룰 만큼 연구가 진행되어 오고 있지만, 설득의 글쓰기에 대해서는 아직 그 연구가 미진한 상태이다. 이에 본고에서 『장자』의 글쓰기 중에서도 설득의 글쓰기에 초점을 두고 분석해보고자 한다.장주의 글이 논리성을 가지고 설득의 단계를 밟으며 전개되고 있다는 것을밝히기 위해서는 아리스토텔레스(Aristotele)의 『수사학』(Techne rhetorike)으로 대표되는 서양의 고대 수사학의 개념을 빌어올 필요가 있다. 고대의 수사학은문장의 수식과 관련된 현대의 수사학과는 다른 개념으로 그 핵심은 논증과 설득에 있었다. 즉, 꾸밈을 통해 문학적 효과를 거두는 수사법 차원이 아니라, 화자와청중을 고려해 다양한 논증 방법을 동원하여 설득의 말하기 혹은 글쓰기를 하는수사학을 말한다. 이는 장주와 같은 제자백가들이 서로 논쟁하거나 저술 활동을하면서 고려해야 했던 것들이며, 『장자』에서도 이러한 흔적들이 보인다.장주는 간혹 자신의 글에 공자를 주인공으로 내세워 말하는데, 이는 화자의권위에 기대어 설득의 말하기를 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즉, 야인으로 지내면서이름조차 생경한 장주라는 사람이 아니라 유가의 스승이라 칭송받는 공자의 입을 빌린다면 훨씬 더 효과적으로 설득할 수 있을 것이기에 택한 방법이라 여겨진다. 장주는 이러한 방법을 重言이라 하였고, 아리스토텔레스는 에토스(ethos)즉, 화자의 품성이나 권위에 기대어 설득하는 것이라 보았다.이 외에도 장주는 주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동식물들을 소재로 하거나 소수자를 주인공으로 등장시킨 寓言을 통해 때로는 독자를 꾸짖는 도구로, 또 때로는독자의 감동을 불러일으키는 도구로 활용한다. 이는 파토스(pathos) 곧, 독자의감정에 호소하는 설득의 말하기라 볼 수 있다.『장자』의 상당 부분은 우언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우언은 이야기 속 등장인물들의 대화와 상황을 통해서 독자 스스로가 깨달음을 얻을 수 있는 글쓰기방식이다. 이는 역사적 예증과 허구적 예증을 통한 귀납의 논증 방식으로 로고스(logos) 즉, 내용 자체의 논리성을 확보하기 위한 방법으로 사용되었다. 그리고우언의 앞이나 뒤에 배치되어 우언의 내용을 설명하거나 정리하는 듯한 느낌을주는 논설은 삼단 논법과 생략 삼단 논법의 방식으로 제시되기도 하였다.여기서 생략 삼단 논법에 대해서 간략하게 소개하자면, 삼단 논법의 대전제,소전제, 결론 중 하나가 생략된 채 제시되는 것을 일컫는다. 즉, 화자가 던진 단초를 바탕으로 청자가 생략된 부분을 메꾸면서 스스로 결론을 도출해 내는 방법을 말하는 것이다. 이러한 방법은 확언할 수 없는 道의 개념을 설명하기에 더할나위 없이 좋은 추론의 방법이었을 것이며, 연역의 논증 방식으로 이 역시도 말그 자체의 논리를 밝히는 방법으로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비유와 은유, 역설 등의 방법으로 표현되었기에 드러나지 않았던 장주의 논리적 서술방식을 밝혀낼 수 있다면, 이를 활용하여 새로운 고전 읽기의 방법을제시해 볼 수도 있고, 대학 교양 고전 수업의 새로운 방향을 제안해 볼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장주의 글쓰기를 모범으로 삼아 청자나 독자에게 직접적으로대놓고 설득하고 있다는 느낌을 주지 않으면서도 상대방을 논리적으로 설득시키는 감춰진 설득의 말하기와 글쓰기를 시도해 볼 수도 있을 것이다.아울러 제자백가서 중에서도 그 표현이 화려하고 과장되어 이해하기 어렵다고 평가받는 『장자』에 이러한 논리적 서술방식이 도입되었음이 증명된다면,『장자』보다 더 논변의 글쓰기라 평가받는 다른 제자백가서 역시 이와 같은 방법으로 새로이 분석해 볼 수 있을 것이다. 다시 말해 『장자』에 나타난 논리적서술방식을 토대로 그동안 우리가 해독의 차원에 집중해 온 다른 제자백가서의독법에서도 논리성을 찾고 분석하는 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을 것이다.그리고 궁극적으로는 단순히 읽고 이해하고 마는 고전이 아니라 독자 스스로가 제자백가의 설득 방법을 찾아내고 이를 증명하여 다른 독자를 설득시키는 행위가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는 새로운 백가쟁명을 맞이할 수 있으리라 기대해 본다.
Zhuang Zhou's Zhuangzi was written amid the fierce debate over thechaotic situation, that is, the 'Warring State Period' and the 'Contention ofHundred Schools of Thought'. Therefore, in addition to his writing, in whichexpounded his own ideas to overcome the difficult situations, he would haveused a narrative method to persuade other hundred schools of thought andintellectuals of that society. Moreover, at the time of Zhuang Zhou's writingof Zhuangzi, there was a concept of '文' (Writings) which included literature,history, and philosophy, but the concept of 'Literature' as it is today did notexist at that time. Accordingly, he would not have distinguished his writingfrom literature, ideas, and essays, so it is natural that his writing is mixedwith various writing methods.So far, efforts to shed light on the idea of Zhuang Zhou have beencontinuing, and his literary value has been studied enough to achieveremarkable results until a recent date, but there is still a lack of research onpersuasive writing. For this reason, this paper aims to focus on and analyzethe persuasive writing among the writings of Zhuang Zhou.In order to reveal that Zhuang Zhou's writings were developing in theprocess of persuasion with logicality, it is necessary to borrow the concept ofancient Western rhetoric represented by Techne Rhetorike of Aristotle.Ancient rhetoric was a different concept from the viewpoint of modernrhetoric associated with sentence modalities, and the core idea wasargumentation and persuasion. In other words, it is not a rhetoric method thatobtained a literary effect in a story-telling way, but rather a method ofrhetoric to speak or write using various methods of argumentation inconsideration of speakers and audiences. These were the things that had tobe considered by Hundred Schools of Thought such as Zhuang Zhou whilearguing and writing with each other, and this way of process was also seenin Zhuangzi .Zhuang Zhou sometimes mentioned Confucius as a main character in hiswriting, which can be seen as a persuasive speaking of Zhuang Zhou relyingon the authority of Confucius. It appears that this method was chosen to usea persuasive speaking because it would be much more effective for him whowas just a little-known figure to persuade students by referring to Confuciuswho is praised as a teacher of Confucianism in his writing. Zhuang Zhoucalled this method 'Tautology(重言)' ('Ethos' in Aristotle), which was believedto persuade people relying on the nature and authority of speakers.Besides, Zhuang Zhou often used fables, featuring animals and plants thatare commonplace or making minor figures main characters, as a tool to scoldand impress readers. This can be seen as persuasive speaking that appeals tothe readers' feeling, the Pathos.Much of Zhuangzi was made up of fables, which is a way of writingthat allows readers to learn by themselves through the conversation andsituation of the characters in the story. This is an inductive method of logicthrough historical and fictional examples, which was used to ensure 'Logos',that is, the logicality of the contents itself. In addition, essays that wereplaced in front of or behind the fables and that seemed to explain or sum upthe contents of the fables were presented in the form of 'Syllogism' and 'theEnthymeme'. To briefly introduce 'the Enthymeme' here, it is presented one ofthe three syllogism's major premise, minor premise, and conclusion beingomitted. Namely, it is a way to draw conclusions by oneself by filling up theomitted parts on the basis of clues that speakers provided. This would havebeen an ideal method of reasoning to explain the elusive concept of 'Tao', andit is found that this was also used to reveal the logic of the word itself as alogic of deductive reasoning.If it is possible to find out the logical method of narratives of ZhuangZhou, which have not been revealed since it was expressed by means ofanalogies, metaphors, and paradoxes, his narrative method can be used insuggesting new way of reading classics and new instructions for liberal artsclasses in the academic fields. By making an example of Zhuang Zhou'swriting, it can be tried to do hidden persuasive speaking and writing thatlogically persuade other people without giving them the impression thatoutspoken and direct persuasion is put to listeners and readers.In addition, if it is proven that this logical method of narrative has beenintroduced in Zhuang Zhou's writing which is considered difficult tounderstand due to its splendid and exaggerated writing style, other booksfrom Hundred Schools of Thought, which is thought to be moreargumentative essay writing than that of Zhuang Zhou, could also be newlyanalyzed in this way. Based on the logical narrative presented in theZhuangzi, it is possible to find out and analyze the logicality in the processof reading the works of Hundred Schools of Thought, not just focusing onthe level of decoding.And ultimately, it is expected that readers himself will find out and provethe persuasive method of Hundred Schools of Thought not just simplyreading and understanding classics, and that new ground for 'Free Discussionof Hundred Schools' is to come through Zhuang Zhou's persuasive method.
Author(s)
고지영
Issued Date
2021
Awarded Date
2021. 2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jejunu.ac.kr/handle/2020.oak/23565
Affiliation
제주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중어중문학과
Advisor
조성식
Table Of Contents
국문초록 ⅰ
목차 ⅳ
Ⅰ. 서론 1
1. 문제 제기 1
2. 선행연구에 대한 검토 7
3. 연구의 목적 및 방법 17
Ⅱ. 莊子글쓰기와 수사학 26
1. 시대 상황과 전국시대의 글쓰기 27
2. 장주의 사상과 언어관 33
3. 논증과 설득으로서의 수사학 41
Ⅲ. 莊子의 논리적 서술방식 49
1. 정감적 논거와 논리적 논거 51
1) 화자의 품성과 권위 53
2) 청자의 심적 상태 61
3) 내용 자체의 논리 69
2. 귀납의 논증 방식 75
1) 역사적 예증법 77
2) 허구적 예증법 83
3. 연역의 논증 방식 92
1) 삼단 논법 92
2) 생략 삼단 논법 95
Ⅳ. 莊子글쓰기의 현대적 활용 105
1. 장자를 활용한 고전 리터러시 교육 107
1) 대학 교양 고전 수업에서의 활용 108
(1) 문맥을 통한 해독과 독해 110
(2) 논증을 토대로 한 발표와 토론 116
(3) 추론에 기초한 감상문 쓰기 122
2) 고전 리터러시 교육의 기대 효과 125
2. 장자를 활용한 설득의 말하기 128
1) 화자와 청자의 관계 분석 133
(1) 권력자와 지식인 134
(2) 평가자와 평가 대상 138
(3) 다수자와 소수자 142
2) 관계에 따른 대화 구성 146
(1) 문답법 147
(2) 중언과 우언 154
(3) 비유와 반전 160
Ⅴ. 결론 166
참고문헌 170
중문제요 175
ABSTRACT 177
Degree
Doctor
Publisher
제주대학교 대학원
Citation
고지영. (2021). 장자 글쓰기와 그 활용 연구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Chinese Language and Literature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