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직무요구, 직무자율성 및 리더의 지적자극이 창의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Effect of job demands, job autonomy, and the intellectual stimulation of the leader on creative behavior : Focusing on nonlinear interaction effects
Abstract
창의성은 성공을 위한 핵심 요소로 급부상하고 있다. 코로나19 펜데믹으로 인한 비대면과 온라인 동영상 매체 두 가지 요소가 맞물리면서 많은 변수들이 창출되 는 시대에 창의성의 중요성은 여러 방면에서 두드러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구 체적으로 기업활동상의 결과로 연결될 수 있는 구성원의 창의적 행동에 초점을 맞추어 이러한 창의적 행동을 촉진할 수 있는 선행변수에 대한 탐색을 시도하였 다. 또한 창의성의 선행요인들 중에서 상대적으로 조직 측면에서 촉진 방안을 구 체화할 수 있는 구성원의 외부 촉진요인에 초점을 맞추었으며, 상대적으로 기존 연구에서 많이 수행되지 않았던 리더십 측면의 촉진요인과 직무특성을 검토하였 다. 구체적으로는 구성원이 새로운 아이디어를 제시하고 창의적인 행동을 시도하 도록 독려하는 리더십 행동 중 대표적인 변수인 리더의 지적자극을 창의적 행동 의 선행변수로 검토하였다. 본 연구는 창의적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와 조절변수의 정의와 각 변수 의 관계를 문헌 조사한 후 연구 모형과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요구는 구성원의 창의적 행동과 비선형적 관계를 가질 것이고, 직무요구가 낮거나 높은 수준일 때보다 중간 수준일 때에 창의적 행동이 더 높게 나타날 것이다. 둘째, 직무 자율성은 구성원의 창의적 행동과 비 선형적 관계를 가질 것이다. 그리고 직무 자율성이 낮거나 높은 수준일 때보다 중간 수준일 때에 창의적 행동이 더 낮게 나타날 것이다. 셋째, 리더의 지적자극 은 구성원의 창의적 행동과 정(+)의 관계를 가질 것이다. 넷째, 직무요구와 리더 의 지적자극은 상호작용을 통해 구성원의 창의적 행동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즉, 직무요구가 높아질수록 리더의 지적자극의 창의적 행동에 대한 영향력이 높 아질 것이다. 마지막으로 직무 자율성과 리더의 지적자극은 상호작용을 통해 구 성원의 창의적 행동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즉, 직무 자율성이 낮은 경우 리더의 지적자극은 부(-)의 효과를 가지고, 직무 자율성이 높은 경우 리더의 지적자극은 정(+)의 효과를 나타낼 것이다. 이 가설을 검증하기 위한 본 연구의 조사는 국내 서울, 부산, 경남, 제주지역 등에 소재하고 있는 제조업, 금융업, 서비스업, 유통업 등 상사와의 재직기간이 최소 3개월 이상인 다양한 업종의 팀 및 구성원들을 60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 사했고, 유효한 418명을 표본으로 다차항 회귀분석 및 Edward & Perry(1993)의 반응표면분석에 대한 통계분석을 하였다. 설문지에 포함된 설문 문항 중 측정 도 구의 타당성을 검증하고, 측정모형의 적합도를 평가하는 과정에서 이들의 기준을 상회하지 못하고 저해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2개 문항을 제거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표현하고 있다. 첫째, 직무요구와 창의적 행동 간의 비선형적 관계에 대한 가설을 검증하기 위 한 다차항 회귀식 분석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형(Inverted-U Shape) 관계가 나타났다. 직무요구가 창의적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과 직무요구가 증가할 수록 구성원의 창의적 행동이 높게 나타난다는 가설과 직무요구가 낮거나 높은 수준일 때 보다 중간 수준일 때에 창의적 행동이 더 높게 나타난다는 가설이 지 지가 된 것이다. 둘째, 가설 2에서 직무 자율성이 증가할수록 구성원의 창의적 행동이 높게 나 타날 것이라는 가설과 직무 자율성이 적절한 수준에서 주어지는 것보다 오히려 직무 자율성이 매우 낮은 단순한 직무 상황에서 오히려 창의적 행동이 높아질 수도 있다는 결과가 지지가 되고 있어 향후 관련 연구의 진행이 요구되고 있다. 셋째, 리더의 지적자극이 구성원의 창의적 행동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 는 가설3은 회귀계수들은 유의한 수준에서 나타나고 있으나, 그 효과가 예상했던 바와는 반대로 나타나고 있어 기각되었다. 가설4와 가설 5는 직무요구 및 직무 자율성이 리더의 지적자극과 상호작용을 통해 구성원의 창의적 행동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이었는데, 주 효과가 비 선형 관계인 상황에서 상호작용 효과를 검토하기 위한 다항다차 회귀식의 검증 이 필요하기에 Edward & Perry(1993)의 반응표면분석을 이용한 3차원 공간상에 서의 반응표면곡선에 대한 통계적 검증하였다. 검증결과 가설4는 기각되었고, 가 설5는 지지가 되었다. 향후 연구 성과를 발전시키기 위해서 후속연구로 기존의 창의성 또는 창의적 행동에 대한 메타연구 및 메타분석을 통하여 기존의 혼재된 결과들이 본 연구에 서와 같은 비선형적 관계를 가정하는 경우 얼마나 더 나은 해석으로 바뀔 수 있 는지에 대한 종합적인 리뷰 연구의 수행이 필요하다. 또한 창의적 행동에 대한 선행변수들이 교차수준의 변수들로 구성되어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이러한 교차수준 연구 모형을 검증하기 위한 교차수준 연구방법 론들이 활용되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구성원의 창의적 행동에 대한 보다 객관적인 측정 및 분석을 가능 케 하기 위한 적절한 실험설계가 요구된다. 직무요구와 직무 자율성에 대한 실험 적 처치와 이를 통해 구체적인 창의적 행동과 아이디어 제시를 객관적으로 측정 할 수 있는 실험집단 구성 및 비교분석 등의 연구방법을 통해 창의적 행동 및 창의성에 대한 보다 깊은 이해와 고찰이 가능하리라 판단한다.
Creativity rapidly emerges as a core factor for success. The importance of creativity is remarkably revealed in an era when many factors are classified into two categories, "contactless" and "online video." This study explored the leading variables that can promote creative behaviors by focusing on organizational members' creative behaviors connected to corporate activity results. Among the leading factors of creativity, this study focused on organizational members' external promotion factors that can make promotion methods concrete from the organizational aspect. The promotion factors from the leadership aspect and job characteristics that were not carried out much in existing studies have been reviewed in this study. Concretely, this study reviewed leaders' intellectual stimulation, which is a representative and leading variable of creative behaviors, among the leadership behaviors encouraging organizational members to present new ideas and try creative behaviors. The definitions of the independent variables and control variables affecting creative behaviors and each variable's relationship were researched through literature study, and the research model and hypotheses were set. - 102 - The hypotheses are as follows: First, job demand will have a nonlinear relationship with organizational members' creative behaviors. Namely, when job demand is at a medium level rather than at a low or high level, higher creative behaviors will be revealed. Second, job autonomy will have a nonlinear relationship with organizational members' creative behaviors. Lower creative behaviors will be revealed when job autonomy is at a medium level rather than at a low or high level. Third, leaders' intellectual stimulation will have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organizational members' creative behaviors. Fourth, job demand and leaders' intellectual stimulation will affect the organizational members' creative behaviors. As job demand becomes higher, the effects of leaders' intellectual stimulation on creative behaviors will be higher. Lastly, job autonomy and leaders' intellectual stimulation will affect organizational members' creative behaviors through interactions. Namely, when job autonomy is low, the leaders' intellectual stimulation will have a negative effect, and when job autonomy is high, the leaders' intellectual stimulation will show a positive effect. This study carried out a questionnaire survey targeting the 600 teams and members of various businesses in the manufacturing, financial, service, and distribution industries located in Seoul, Busan, Gyeongnam, and Jeju regions whose service period was at least three months. Through 418 response questionnaire copies, this study performed a statistical analysis of the polynomial regression equation and the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of Edward & Perry (1993). Out of the questionnaire, two questions that were judged not to meet and disturb the criteria were removed in the process of verifying the measuring tools' validity and evaluating their fit. The study results are presented below: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olynomial regression equation to verify the hypothes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demand and creative behavior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 (inverted-u shape) relationship was - 103 - shown. The hypothesis that job demand affects creative behaviors is that as job demand increases, organizational members' creative behaviors become higher. Those creative behaviors are higher when job demand is at a medium level rather than at a low or high level. Second, hypotheses 2 that organizational members' creative behaviors will become higher as job autonomy increases and those creative behaviors can be higher in a simple job situation where job autonomy is very low rather than at adequate level were supported, and so a further study is required. Third, hypothesis 3 that leaders' intellectual stimulation will positively affect organizational members' creative behaviors was rejected. Regression coefficients appear at a significant level, but was rejected as the effect was contrary to what was expected. Hypotheses 4 and 5 denoted that job demand and job autonomy would affect organizational members' creative behaviors through the interactions of job demand, job autonomy, and leaders' intellectual stimulation. As the polynomial regression equation's verification to review the interaction effects in the situation that the main effect is the nonlinear relationship, this study performed a statistical test of the response surface curve on the 3D space using the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of Edward Perry (1993). As a result of the test, hypothesis 4 was rejected and hypothesis 5 was supported. To develop study performance, a comprehensive review study to find out how much the interpretation (analysis) can be changed to be a better one is needed if mixed results are assumed in a further study to have the nonlinear relationship as shown in this study through the existing meta-research and meta-analysis on creativity or creative behaviors. Given that leading variables on creative behaviors consist of cross-level variables, the cross-level study methods should verify the cross-level research model. Lastly, an appropriate experimental design is required to make it possible to measure and analyze the organizational members' creative behaviors. In-depth understanding and discussions are judged on creative behaviors and creativity through the research method, including experimental group composition. The presentation of specific creative behaviors and ideas can be objectively measured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using experiments on job demand and job autonomy.
Author(s)
하곤철
Issued Date
2021
Awarded Date
2021. 2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jejunu.ac.kr/handle/2020.oak/23589
Alternative Author(s)
Ha, Gon Cheol
Affiliation
제주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경영학과
Advisor
방호진
Table Of Contents
Ⅰ. 서 론 1
제 1절 연구배경 및 연구목적 1
1. 연구배경 1
2. 연구목적 2
제 2절 연구방법 및 논문의 구성 3
1. 연구방법 3
2. 논문의 구성 4
Ⅱ. 이론적 배경 6
제 1절 창의적 행동 6
1. 창의적 행동의 개념과 연구동향 6
2. 창의적 행동의 차원과 주요 모형 9
2. 1. 창의적 행동의 시스템 이론 11
2. 1. 1 구성요소 모델(Componential Model) 11
2. 1. 2. 상호주의 구조이론 모델 12
2. 2. 창의적 행동의 투자 이론 13
제 2절 변혁적 리더십과 리더의 지적자극 15
1. 변혁적 리더십의 개념 15
2. 변혁적 리더십 관련 리더십 유형 17
3. 리더의 지적자극 19
4. 리더의 지적자극 선행연구 22
제 3절 직무요구 23
1. 직무요구 관련 이론 23
2. 직무요구의 개념 27
3. 직무요구 선행연구 28
제 4절 직무 자율성 31
1. 직무특성 이론 31
2. 직무 자율성의 개념 34
3. 직무 자율성 선행연구 36
Ⅲ. 연구 설계 38
제 1절 연구모형 및 연구가설 38
1. 연구문제 및 연구 가설 38
2. 연구가설 설정 38
2. 1. 직무요구와 창의적 행동 38
2. 2. 직무 자율성과 창의적 행동 40
2. 3. 리더의 지적자극과 창의적 행동 43
2. 4. 리더의 지적자극과 직무요구의 상호작용 효과 44
2. 5. 리더의 지적자극과 직무 자율성의 상호작용 효과 46
3. 연구 모형 48
제2절 변수의 정의 및 조사 설계 49
1. 변수의 정의 49
1. 1. 직무요구 49
1. 2. 직무 자율성 50
1. 3. 리더의 지적자극 50
1. 4. 구성원의 창의적 행동 50
1. 5. 통제변수 51
2. 조사 설계 51
2. 1. 설문지 구성 51
2. 2. 표본설계 52
2. 3. 분석방법 52
Ⅳ. 실증분석 54
제 1절 표본의 특성 및 측정 도구 검증 54
1. 표본의 특성 54
2. 측정 도구의 타당성 및 신뢰성 검증 56
3. 기술적 통계 및 상관관계 분석 57
제 2절 가설검증 59
1. 가설검증 59
1. 1. 가설 1 (직무요구와 창의적 행동) 59
1. 2. 가설 2 (직무 자율성과 창의적 행동) 62
1. 3. 가설 3 (리더의 지적자극과 창의적 행동) 64
1. 4. 가설 4 (직무요구와 지적자극의 상호작용 효과) 66
1. 5. 가설 5 (직무 자율성과 지적자극의 상호작용 효과) 71
Ⅴ. 결 론 75
제 1절 연구 결과의 요약 및 시사점 75
1. 연구 결과의 요약 75
2. 연구 결과의 시사점 77
제2절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 방향 79
1. 연구의 한계 79
2. 향후 연구 방향 80
참고문헌 81
Abstarct 101
설 문 지 105
Degree
Doctor
Publisher
제주대학교 대학원
Citation
하곤철. (2021). 직무요구, 직무자율성 및 리더의 지적자극이 창의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Business Administr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