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코로나 시대 제주특별자치도 공연예술의 활성화 방안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the Revitalization of Performing Arts in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during the Corona Era
Abstract
2019년 12월 중국 우한에서 처음 발생한 코로나는 2020년 전 세계뿐만 아니라 우리나라로 유입되면서 전국으로 확산되었다. 이는 경제적·사회적으로 여러영향을 미쳤으며 또한 문화예술 부분에도 큰 영향 미쳤다. 예술인들은 많은 공연계획을 취소해야 했으며, 관객들은 관람기회를 놓칠 수밖에 없었다. 문화예술에투입할 계획이었던 예산들이 코로나 대응자금으로 활용되었다. 대면 공연에서 비대면 공연으로 전환하여 진행함에 있어서도 장비들의 부족, 기술 수준의 약화,현장에서의 운영 수준 미흡 등의 문제로 예술인들은 많은 어려움을 겪는 상황이되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 상황에서 예술의 역할과 활동에 대해 살펴보고,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예술 활동의 지향을 제안하는 것에 있다.코로나 팬데믹으로 인한 공연예술의 공연 건수는 지난해 2019년 같은 시기11,032건이었던 것이 2020년에는 5,560건으로 줄어들었으며, 이는 작년 대비약 50%가량 줄어든 수치이다. 이에 대한 피해액은 약 823억 원으로 추정되고있다. 제주특별자치도도 마찬가지로 문화예술 분야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본 연구는 이와 관련하여 코로나 시대 문화예술이 삶의 긍정적 자극제로서역할에 대해 제주특별자치도 도민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문화예술이 삶의 긍정적 자극제로서의 역할을 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예술인보다는 일반인의 경우 긍정의 응답을 더 많이 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공연예술이 위축되었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코로나의 확산 방지를 위한행사의 취소·연기, 사회적 거리두기 정책으로 인한 축소, 예산 삭감 등이 반영된결과라 할 수 있다.포스트 코로나 시대 공연 활성화와 관련해서는 공연계획이 있을 경우 취소하는 것이 아니라 비대면 공연으로라도 진행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었으며, 공연예술에 대한 지원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응답이 많은 것으로나타났다.이론연구과 현황조사 및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코로나 시대 공연예술 활동을 위한 정책을 제언하였다. 일정거리를 둔 버스킹의 활성화, 실황 중계를 위한 공연장 마련, 기위 계획된 공연은 비대면을 하더라도 이행토록 유도하며위기상황을 대비하여 예술인을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또한 지역 예술인을 위한 온라인 플랫폼의 마련, 온라인 공연을 위한 전문인력 양성 교육 프로그램 마련, '온택트' 공연 진행을 위한 창의적인 방안 모색을 제안하였다.코로나의 확산으로 인하여 사회가 많은 변화를 겪고 있다. 문화예술 분야도이에 맞추어 변화해야 할 것이다. 그러기에 문화예술 분야도 어려움을 극복하기위한 방안을 고민하여 적극적으로 대책을 마련하며, 이를 지방정부와 중앙정부와의 협력과 지원으로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새로운 기회로 만들어 나가야 할 것이다.
The Corona, which first broke out in Wuhan, China in December 2019,spread throughout Korea in 2020 as well as around the world. It has hadmany economic and social influences and has also had a significantimpact on culture and art. The artists had to cancel the performanceplans, and the audience were forced to miss the opportunity to watch it.The budgets that were planned to be invested in culture and arts wereused as the Corona response fund. Even when performingnon-face-to-face performances instead of face-to-face performances,artists faced a lot of difficulties due to problems such as the lack ofequipment, weakening of technology, and insufficient level of operation inthe field.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olesand activities of art in the corona situation, and to suggest the directionof arts activities in the Post-Corona era.The number of arts performances due to the Corona Fendemicdecreased from 11,032 at the same period last year in 2019 to 5,560 in2020, which is about 50% less than last year. The amount of damage isestimated to be about 82.3 billion won. Jeju Special Self-GoverningProvince is also experiencing difficulties in the field of culture and arts.In this regard, a survey was conducted on residents of Jeju SpecialSelf-Governing Province on the role of culture and art in the Corona eraas a positive stimulus for life. As a result, it was analyzed that cultureand art played a role as a positive stimulus for life, and it was found thatthe general public gave more positive responses than the artists. It wasalso analyzed that the performing arts were perceived to have contracted.This can be said to be the result of reflecting the cancellation and- 42 -postponement of events to prevent the spread of the Corona, thereductions due to social-distancing policies, and budget cuts.Regarding the revitalization of performances in the Post-Corona era,there was a tendency to think that if there is a performance plan, itshould be carried out even with non-face-to-face performance, and therewere many responses that support for the performing arts should bemade continuously.Based on the theoretical research and the results of the survey, thepolicies for performing arts activities in the Corona era were suggested.There must be a plan to revitalize busking with a certain distance,prepare a concert hall for live broadcast, and induce the implementationof planned performances even if they are not face-to-face, and tosupport artists in preparation for crisis situations. In addition, it wassuggested to establish an online platform for local artists, a program tocultivate professionals for online performances, and to find creative waysto conduct 'on-tact' performances.Society is undergoing many changes due to the spread of Corona. Thefield of culture and art should also change accordingly. Therefore, in thefield of culture and arts, it is necessary to think about ways to overcomedifficulties and actively prepare countermeasures, and throughco-operation and support with local and central governments, thePost-Corona era should be turned into a new opportunity.
Author(s)
최현철
Issued Date
2021
Awarded Date
2021. 2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jejunu.ac.kr/handle/2020.oak/23594
Alternative Author(s)
Choi, Hyun Chul
Affiliation
제주대학교 행정대학원
Department
행정대학원 행정학과
Advisor
황경수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2. 연구의 방법 및 범위 2
Ⅱ. 이론 및 선행연구 3
1. 코로나 블루로 인한 우울한 사회 3
2. 문화예술의 긍정성과 유용성 논의 4
1) 삶의 긍정적 자극제로서 예술 활동에 대한 요구 4
2) 문화예술 유용성 논의 5
3) 중간업자 배제 시대의 긍정성 6
3. 공연예술의 특성 및 긍정성 6
1) 공연예술의 정의 6
2) 공연예술의 특성 8
3) 공연예술의 긍정성 9
4. 우리나라 코로나 시대 문화예술 활동의 현황 9
5. 선행연구 14
Ⅲ. 연구모형 및 실증분석 16
1. 연구 및 설문조사 분석의 틀 16
1) 연구 분석의 틀 16
2) 설문조사 분석의 틀 17
2. 설문조사의 개요 18
3. 설문 응답자의 일반 현황 19
4. 설문조사 분석결과 20
1) 코로나 시대에 공연예술 상황을 진단 분석 20
2) 코로나 시대 일반인들의 선호 장르 변화 관련 분석 24
3) 코로나 상황에서 공연 활성화 관련 의견 분석 26
4) 소결 30
Ⅳ. 코로나 시대 공연예술 활동을 위한 정책제언 32
1. 일정거리를 둔 버스킹 활성화 32
2. 실황 중계를 위한 공연장 마련 32
3. 기위 계획된 공연은 비대면을 하더라도 이행토록 유도 33
4. 위기상황을 대비하여 예술인을 지원할 수 있는 방안 마련 33
5. 지역 예술인을 위한 온라인 플랫폼의 마련 33
6. 온라인 공연을 위한 전문인력 양성 교육 프로그램 마련 34
7. '온택트' 공연 진행을 위한 창의적인 방안 모색 35
Ⅴ. 결론 36
참고문헌 38
ABSTRACT 41
부록 43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행정대학원
Citation
최현철. (2021). 코로나 시대 제주특별자치도 공연예술의 활성화 방안 연구
Appears in Collections:
Public Administration > Local Self-Government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