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한국 채색화의 작품세계에 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the field of artwork of Korean color painting : With a Focus on Kyungja Chun, Rehyun Park, Saenggwang Park
Abstract
Art is like a mirror that holds the history and the spirit of the time. Through the painting, we do not merely see the painting itself but we discover the history in which it was created. Especially, the life of a certain era presented with colors shows specific purposes or the subject more in depth on the canvass. In the past, Korean color painting was often categorized under Oriental painting. Therefore, notwithstanding the fact that people are aware of the term "Ink painting," the term "color painting" seems unfamiliar to them. Even in this circumstance, Korean color painting quietly upheld its position in the field of art with a long history, where changes are rapidly made. Looking at the history of color painting, It started from ancient tomb murals in the Goguryeo period, which is considered as the root of Korean color painting, to the Buddhist art in the Goryeo period, and finally the folk art in the Joseon era. Through the turbulent time of modernity during which Korea was under Japanese occupation, with the breathless pace of change from the 1945 liberation to regime changes, Koea's color painting has continued its tradition to this day. It shows that the color painting makes us look back the path we have traversed for millennia while at the same time reminding of our identity. There are many artworks that cannot be categorized into a single field by the artists who hope to follow in their predecessors' footsteps. As genres of art became more vague and the distinction of formats more blurred, Korea's color painting has become an ambiguous field of art. In this process, the paintings of Kyungja Chun, Rehyun Park, and Saenggwang Park showed the spirit of unique and creative painting to the modern Korean art scene. They resisted the temptation of shifting to new art forms even in the difficult times and contributed to continuing the tradition by insisting on creating color paintings of their own style. Given the reality of the art field of the time when they studied in Japan and the social milieu in Korea at the time, the color painting of the period was pushed to the wayside by the mainstream. Even under these circumstances, Chun expressed her inner emotions such as sadness and pain in her paintings as an autobiographical image. Rehyun Park found Korea's traditional materials beautiful and created the works utilizing them through the reconstruction of the canvass. Saenggwang Park showed the unique and creative works with Korean spirit and he contemplated on the history and tradition of Koreans deeply. The artworks of these three representative artists set a milestone for Korean color painting to move forward. Through this study, the author was able to expand the basic knowledge that we understood with an objective perspective as we ponder upon the academic background on concepts and history of Korean color painting. The author also hopes that this study could pave the way to create more profound artworks as we look for the new methods to expand the artistic horizon, learning from the artworks of Kyungja Chun, Rehyun Park, and Saenggwang Park.
미술은 역사와 그 역사의 정신을 담고 있는 거울과도 같다. 우리는 그림 속에서 그림을 보는 것뿐만 아니라 그림이 그려진 역사를 발견하는 것이다. 특히 색채를 사용하여 표현한 그 시대의 삶은 대상 또는 특정된 목적을 더욱 심도 있게 화면 에 나타내었다. 일반적으로 한국의 채색화는 동양화로 포함되기도 하였다. 그러 하기에 대중들은 동양화의 '수묵화'라는 단어를 알면서도 '채색화'라는 단어는 생 소해 하였다. 이러한 상황에서도 한국의 채색화는 오랜 역사를 바탕으로 다변하 는 미술계에서 묵묵히 그 자리를 지켜왔다. 채색화의 역사를 살펴보면 채색화의 뿌리라 할 수 있는 고구려시대의 고분벽화 부터 출발하여 고려시대 불화, 조선시대 민화를 거쳐 왔다. 우리나라가 일제 식 민지 시기였던 격동의 근대를 지나 해방 후 정권이 몇 차례 교체되고 국내외로 정세가 숨이 가쁘게 변화하여 왔지만, 격변의 시간을 거쳐 온 한국의 채색화는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 이렇듯 한국의 채색화는 오랜 시간동안 우리가 걸어온 길 을 되돌아보면서, 동시에 우리의 정체성을 확인시켜주고 있다. 오늘날의 한국화를 지향하고 있는 작가들의 작품에는 분야를 구별할 수 없는 작품들이 상당수이다. 미술 양식의 구별이 불분명해지고 형식의 구분이 사라지는 상황으로 인해 한국의 채색화는 애매모호한 분야로 느껴지게 되었다. 이러한 과 정에서 천경자, 박래현, 박생광의 회화는 근·현대의 한국화단에 독창적인 회화 정신을 보여주었다. 그들은 어려운 시대적 상황과 채색화에 대한 왜곡된 인식에 서도 지속적으로 채색화를 고집하고 새로운 예술을 창작하여 한국 채색화에 공 헌하였다. 이들이 일본에서 수학한 시기의 화단의 현실과 그 당시 한국의 사회적 분위기 로 보았을 때, 이 시기의 채색화는 화단의 주류가 되지 못한 채 뒤로 밀려나 있 었다. 이러한 상황에서도 천경자는 자신의 내면적 정서인 슬픔과 고통을 자전적 인 이미지로 상징화하여 작품에 나타내었고, 박래현은 한국의 전통적인 소재에서 아름다움을 발견하여 화면 안의 재구성을 통해 작품을 만들어내었다. 박생광은 민족의 전통과 역사에 대해 더욱 깊이 생각하고 인식하여 한국적인 정신으로 독 창적인 작업을 보여주었다. 이처럼 천경자, 박래현, 박생광은 앞으로 나아가야할 채색화의 방향에 이정표를 세워주었다. 본 연구를 통해 한국 채색화의 개념과 역사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고찰하면서, 객관적인 시각으로 이해하고 접근한 기본지식을 확장할 수 있었다. 또한 천경자, 박래현, 박생광의 작품세계를 통해 향후 본인의 작업을 폭넓고 새롭게 나아가는 방법을 모색함으로써, 이전보다 깊이 있는 작품으로 창작할 수 있는 계기로 삼고 자 한다.
민지 시기였던 격동의 근대를 지나 해방 후 정권이 몇 차례 교체되고 국내외로
정세가 숨이 가쁘게 변화하여 왔지만, 격변의 시간을 거쳐 온 한국의 채색화는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 이렇듯 한국의 채색화는 오랜 시간동안 우리가 걸어온 길
을 되돌아보면서, 동시에 우리의 정체성을 확인시켜주고 있다.
Author(s)
이하늘
Issued Date
2021
Awarded Date
2021. 2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jejunu.ac.kr/handle/2020.oak/23602
Alternative Author(s)
Lee, Ha Neul
Affiliation
제주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미술학과
Advisor
이창희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 내용 및 방법 2
Ⅱ. 한국 채색화의 개념 및 역사 3
1. 채색화의 개념 3
2. 채색화의 역사 5
Ⅲ. 작가별 작품 분석 18
1. 천경자 18
2. 박래현 30
3. 박생광 41
Ⅳ. 결론 57
참고문헌 59
Abstract 62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대학원
Citation
이하늘. (2021). 한국 채색화의 작품세계에 관한 연구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Fine Arts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