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한·중 수출입 기업의 FTA 투자 규정 및 서비스 무역 협정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the Efficient utilization through FTA Investment Regulations and Service Trade Agreement of Import and Export Companies in Korea and China
Abstract
경제 세계화는 세계 발전의 필연적인 추세이며 지역경제 통합은 그 프로세스를 가속할 수 있으며 글로벌화의 필수 코스이다. 통합은 회원국 시장을 확대하고자원의 활용도를 높여 경제의 성장을 견인한다. 세계 각국은 이에 부응하여 기회를 모색하고 다른 나라와의 경제 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관세 인하, 무역 우대,무역 지역 조성 등을 이용하여 양국 또는 다자 간 경제 무역 협력을 개시하고무역 원가를 대폭 인하하였다. 2008년의 금융 위기로 국제 무역 환경이 어느 정도 악화되었다. 세계 각국은 각종 부정적인 영향에 대응하여 자국의 경제 성장을견인할 새로운 방법을 모색하기 시작했다. 자유 무역 구역을 세우는 것이 몇몇국가의 우선이 되었고, 점차 전 세계적으로 유행하기 시작했다. 중국은 빠르게부상하고 있는 발전의 대국으로서 다른 나라와의 지역경제 협력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현재 중국은 14개 무역협정을 체결했으며 이 중 12개 무역협정을 실시했다. 아시아, 유럽, 라틴아메리카와 오세아니아 등에 분포하고 있다. 그 중 한·중FTA는 포괄 분야가 가장 광범위하여 무역 거래액 가장 많다.중국과 한국은 동아시아 지역의 두 주요 국가로서 1992년 수교 이래 양국 간의 경제 무역 왕래가 많아지고 경제 무역 관계가 매우 밀접해지고 있다. 양국 교역액이 크게 증가하며 투자액이 점차 증가하고 산업 협력의 폭과 깊이가 양국경제 발전을 촉진하고 있다. 한·중 자유무역구역이 순조롭게 조성되면 양국 경제의 발전을 촉진하고 양국 국민의 복지수준을 높여 세계경제에서 한·중 양국의영향력을 키울 수밖에 없다. 그리고 2015년12월 한·중 FTA 체결 발효 후 2018년3월에 한·중FTA 서비스 무역 후속 협정 제1차 협상 개최했다. 한·중 서비스 무역의 후속 협상은 한·중 양국의 서비스업과 투자 발전에 유리할 것이므로 본문은 미래의 한·중 양국의 수출입 기업이 한·중FTA 서비스 무역 협정과 양국의투자 규정을 어떻게 활용하여 기업의 장기적인 발전을 도모할 것인지를 연구할것이다.본 논문의 연구과정은 다음과 같이 진행되었다.본문 제1장은 서론이고 주로 연구의 배경, 한·중 FTA협정의 문제, 목적, 제시하며 연구의 구성을 설명했다.제2장은 우선 한·중 FTA의 발전 배경 및 과정을 소개한 다음에 서비스 무역협정 후속 협상에 대해 서술했다. 그리고 한·중 무역 교역의 현황은 상품무역, 서비스 무역으로 소개하고 한·중 대외 무역 현황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FTA,FTA 투자 규정, 서비스 무역 에 관련된 선행연구를 찾아내고 검토를 했다.제3장은 서비스 무역 협정, 투자 규정으로 나눠 투자한·중 FTA의 주요 내용을 분석했다. 그 다음은 한·중 투자 규정 및 현황을 소개했다. 마지막은 FTA가한·중 양국에 대한 어떤 효과가 있는지를 서술했다.제4장은 한국과 중국 현재 각각 어떤 교역 환경에 있는지 소개하고 한·중 서비스 무역 및 투자 의 장애요인을 제시했다. 그리고 한·중 양국의 교역 환경을 고려하며 한·중 서비스 무역 및 투자의 장애요인에 대한 대응을 제시하였다. 마지막 한·중 수출입 기업들이 FTA 서비스 무역 협정 및 투자 규정에 대한 대응방안을 서비스 무역, 투자 두 가지로 나눠 도출했다.제5장은 한·중FTA가 양국 무역 교역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하고 특히 수출입기업들이 양국 무역거래와 투자가 확대하려면 한·중 FTA 규정을 활용하는 필요성을 총괄했다. 그리고 향후 한국과 중국뿐만 아니라 동아시아 경제 발전을 시키기 위해 FTA같은 역내 협력이 더 많아지고 더 많은 국가의 수출입 기업들이 활용할 수 있는 전망을 살펴본다.
Economic Globalization is an inevitable trend of global development, andregional economic integration can accelerate the process and is an essentialcourse of Globalization. Integration drives economic growth by expandingmember countries' markets and increasing resource utilization. In response,countries around the world began bilateral or multilateral economic and tradecooperation using tariff reductions, trade incentives, and the creation of tradezones to enhance economic cooperation with other countries, and drasticallycut trade costs. As the 2008 financial crisis worsened the international tradeenvironment to some extent, countries around the world began to seek newways to drive their economic growth in response to various negative effects.The establishment of free trade zones has become a priority for somecountries, and has become increasingly fashionable around the world. As arapidly emerging power of development, China is striving for regionaleconomic cooperation with other countries. Currently, China has 14 tradeagreements, 12 of which have been implemented, and are distributed in Asia,Europe, Latin America and Oceania. Among them, the Korea-China FTA isthe broadest in the comprehensive field, with the largest trade volume.China and Korea are the two major countries in East Asia, where economictrade between the two countries has increased, economic trade relations havebecome very close, bilateral trade volume has increased significantly,investment has increased gradually, and industrial cooperation has facilitatedbilateral economic development. If the Korea-China free trade zone is createdsmoothly, it will inevitably increase the influence of Korea-China in theglobal economy by promoting the development of the two economies andincreasing the welfare level of both peoples. After the Korea-China FTAagreement took effect in December 2015, the first round of negotiations washeld in March 2018 to follow up on the trade agreement between Korea andChina. Since follow-up negotiations on Korea-China service trade will benefitKorea-China service industry and investment development, the text will studyhow future Korea-China import and export companies will utilize theKorea-China FTA service trade agreement and investment regulations.The research process in this paper was as follows.Chapter 1 of the text is an introduction and mainly explained thebackground of the research, the problems, purpose, and composition of theresearch in the Korea-China FTA agreement.Chapter 2 first introduced the background and process of the developmentof the Korea-China FTA, and then described subsequent negotiations on theservice trade agreement. In addition, the current status of Korea-China tradewas introduced as goods trade and service trade, and the Korea-Chinaforeign trade status was presented. Lastly, we found and reviewed theresearch related to FTA, FTA investment regulations, and service trade.Chapter 3 analyzed the main contents of the Korea-China FTA by dividingthem into service trade agreements and investment regulations. Next,Korea-China investment regulations and current status were introduced. Thelast one described how the FTA works for both Korea and China.Chapter 4 introduced the current trading environment of Korea and China,respectively, and presented obstacles to Korea-China service trade andinvestment. In addition, considering the trade environment between Korea andChina, the government proposed responding to obstacles to Korea-Chinaservice trade and investment. Lastly, Korea-China import and exportcompanies have drawn two ways to respond to FTA service tradeagreements and investment regulations in service trade and investment.Chapter 5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FTA between Korea and China,and especially the need for import and export companies to use theKorea-China FTA rules to expand bilateral trade transactions and investment.And look at the prospects for greater regional cooperation, such as FTA, todevelop East Asian economies as well as Korea and China in the future, andfor more export and import companies to utilize them.
Author(s)
서휘
Issued Date
2021
Awarded Date
2021. 2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jejunu.ac.kr/handle/2020.oak/23607
Alternative Author(s)
Xui, Hui
Affiliation
제주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무역학과
Advisor
박진우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1
2. 연구의 구성 3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5
1. 한중FTA 5
1) 한중 양국 무역의 현황 5
2) 한중 FTA의 체결 과정 7
3) 서비스 무역 협정 후속 협상 11
2. 한중 FTA 교역 현황 13
1) 상품무역 현황 13
2) 서비스 무역 현황 21
3. 대외 무역 환경 24
1) 중미 무역 분쟁 24
2) 한일 무역 분쟁 27
3) 한중 무역 분쟁 28
4) 일대일로 30
4. 선행연구 31
1) FTA에 관한 연구 31
2) FTA 투자규정에 관한 연구 36
3) 서비스 무역협정에 관한 연구 39
Ⅲ. 한중 FTA 투자 규정와 서비스 무역 협정 42
1. 주요 내용 42
1) 서비스 무역 협정 42
2) 투자 규정 46
2. 한중 투자 규정 및 현황 49
1) 한중 투자 규정 49
2) 한중 투자 현황 54
3. FTA의 효과 58
1) FTA 발효 전후 한중 교역 58
2) 상호보완 효과 59
Ⅳ. 투자 규정 및 서비스 무역 협정 대응 방안 60
1. 한중 서비스 무역 및 투자 장애요인 60
1) 한중 무역의 특징 60
2) 한중 FTA의 문제점 62
2. 대응 대안 65
3. FTA 서비스 무역 협정 및 투자 규정 대응 방안 71
1) 서비스 무역 협정 72
2) 투자 규정 76
Ⅴ. 결론 79
참고문헌 81
ABSTRACT 86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대학원
Citation
서휘. (2021). 한·중 수출입 기업의 FTA 투자 규정 및 서비스 무역 협정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International Trade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