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漢川 流域 磨崖銘에 投影된 仙境意識

Metadata Downloads
Abstract
漢川은 우리나라 3대 계곡 중 하나이며, 건천이긴 하지만 제주에서 가장 긴 내이다. 白鹿潭북사면에서 발원하여 상류인 탐라계곡을 거쳐 중류인 訪仙門을 지나, 제주시 서쪽외곽지역을 크게 감아 돌면서 龍淵을 통해 바다로 빠져나간다. 선사시대로부터 耽羅시대,그리고 朝鮮시대를 거쳐 지금까지 이 漢川流域은 제주 정치와 경제, 그리고 문화의 중심지였다. 조선시대 중앙에서 파견된 지방관들이나 제주로 유배된 유배인들은 이 漢川이 품고 있는 절경들, 白鹿潭·탐라계곡·訪仙門·龍淵등의 자연경관에 매료됐으며, 자신들의 기호에 맞게 이 경관들을 소비하고 향유하려 했다. 제주인들의 경외를 받던 장소가 중앙에서 파견된 지방관이나 유배인들에 의해 다시 새로운 인식이 덧입혀지게 되는[場所化], 일종의 再場所化인 셈이었다.명승을 찾아 노닐며 바위에다 자신들의 이름을 새기고[題名] 시를 지어 새기며[題詠],마주한 풍광에 걸맞은 이름을 고민[題額]했던 磨崖銘에는 그들의 인식이 投影되었으리란것은 명백하다. 현재까지 白鹿潭에 33건, 탐라계곡에서 4건, 訪仙門에서 66건, 龍淵에 24건, 도합 124건 정도가 확인된다. 그간 70여 년간의 연구에서는 대부분 사료적 가치의 확인 정도에 그쳤으며, 몇몇 연구자들에 의해 간혹 제주 漢川流域의 磨崖銘들에게 仙境意識이 투영되어 있다는 사실을 간혹 제기되긴 했지만, 더 이상 본격적인 연구가 없었다.본고는 漢川流域의 명승들에 새겨진 磨崖銘들을 통해, 간혹 제기되었던 강한 仙境意識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의 결과물이다. 가령 漢川이 바다로 빠져나가는 하구인 龍淵에 새겨진 磨崖銘들을 예로 들자면, 여러 가지의 인식이 혼재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우선 龍淵은 제주인들이 기우제를 지내는 신성한 공간으로 여겨지는 경우가 있었으며, 龍淵의 빼어난 경관을 객관적으로 빼어나다고 수용하는 경우가 있었으며, 더 나아가 용연을神仙들이 노닐만한 경승이라고 인정하는 경우, 그리고 최종적으로 龍淵에다 魏晉시대를살았던 陶淵明의 의 내용을 모티브로 한 스토리가 입혀져 이곳 龍淵을 武陵桃源으로 들어가는 입구로 상정하고 노닌 경우까지 있었다. 이와 같이 龍淵에는 단계별로 4가지 정도의 인식이 혼재되어 있던 것인데, 仙境意識이 투영되었음을 보여주는 세 번째경우와 아주 강한 仙境意識이 투영된 경우인 네 번째에 대한 연구가 없었던 것이다.마찬가지로 神仙들의 공간을 방문한다는 의미인 訪仙門은 일종의 俗과 仙경계로 기획되었으며, 여기서부터 神仙들을 부른다는 喚仙臺, 불러낸 神仙과 인간이 만나는 지점인 遇仙臺, 그리고 탐라계곡의 神仙들이 숨어 산다는 隱仙洞이라는 磨崖銘까지 매우 정교하게공간을 조직하고 재배치한 경우까지 보인다. 白鹿潭의 磨崖銘에도 이와 유사한 인식들이혼재되어 있었다.결국 龍淵에서 漢川을 거슬러 올라 訪仙門과 탐라계곡을 거쳐 白鹿潭에 이르는 이 길은先人들이 300년 전부터 일관된 사유체계를 가지고 걸었던, 가장 오래된 길 중 하나이다.그 내용으로 보아, 이 길은 '神仙의 길'이라 부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白鹿潭에서 神仙의길은 끝나지만, 白鹿潭에서는 다시 春分과 秋分에만 보인다는 南極老人星이 보인다. 南極老人星은 중국 衡山이남과 우리나라에서는 漢拏山정상에서만 보인다고 알려지던 별인데, 이 별은 크게는 太平盛世를 상징하며 작게는 개인의 無病長壽, 즉 神仙에 대한 약속이라 알려진다. 결국 물리적인 神仙의 길은 龍淵에서 시작하여 白鹿潭에서 끝나지만, 그 물리적인 길이 끝나는 지점에서 다시 관념적인 神仙의 길이 시작되는 것이다. 이 물리적인神仙의 길과 관념적인 神仙의 길을 가장 온전하게 걸었던 이가 1694년 제주목사로 부임해, 60넘는 노구를 이끌고 두 해 秋分에 맞추어 연이어 한라산에 올랐던 李益泰牧使이다.
There used to be an old route around the basin of Hancheon on Jeju Island. Hancheon is one of three major valleys in Korea and the longest streamon the island even though it is a dry one. Originating in Buksa-myeon of Baekrokdam, it runs through the Tamra Valley in the upstream and Bangseonmun in the midstream and turns in a big circle around the southern outskirts of Jeju before exiting into the sea through Yongyeon. The basin of Hancheonhas been the center of politics, economy, and culture on Jeju Island from theprehistoric times through Tamra and Joseon periods to the present. In Joseon,local officials dispatched from the central government and those who were inexile on the island were fascinated by the magnificent views of Hancheon and natural landscapes of Baekrokdam, Tamra Valley, Bangseonmun, and Yongyeon and tried to consume and enjoy these views according to their taste.The place admired by Jeju people in awe had a new idea added to it bythose who were dispatched from the central government, it is called place-making. It is apparent that their ideas were projected in the process on Ma-aemyeong(磨崖銘) as they engraved their names[題名] and their creative poems[題詠] in the rock and had contemplation[題額] over a name fit for the scenery they faced in a playful journey to scenic spots. There are total 124 cases of Ma-ae-myeong including 33, four, 66, and 24 in Baekrokdam, Tamra Valley,Bangseonmun, and Yongyeon. Previous researches for the last 70 years or soremained at a level of checking their historical value in most cases. Some researchers would sometimes mention the fact that the consciousness of enchanted land was projected on Ma-ae-myeongs in the basin of Hancheon on Jeju Island, but there were no more full-scale researches on the topic.This paper presents the results of a full-blown research on the strong consciousness of enchanted land sometimes raised through Ma-ae-myeongs engraved in scenic spots in the basin of Hancheon. The Ma-ae-myeongs engraved in Yongyeon that is the estuary of Hancheon into the sea, for instance, hadvarious kinds of consciousness blended in them. In some cases, Yongyeon was regarded as a holy place where Jeju people held a ritual for rain. Yongyeonwas accepted for its objectively superb natural scenery and further recognizedfor its picturesque scenery that would attract Taoist hermits with miraculouspowers in other cases. Finally, the other cases would present Yongyeon as anentrance to the paradise for strolling around by adding a story based on thecontent of Taohuāyuanji by Tao Yuanming during Wei and Jin Dynasties inChina. There as a mix of four kinds of consciousness in Yongyeon by the stage. No previous studies addressed the third case showing the consciousnessof enchanted land was projected on it and the fourth case of very strong consciousness of enchanted land being projected on it.Meaning a visit to the space of Taoist hermits with miraculous power, Bangseonmun likewise was divided along the boundary between the secular and Taoist worlds of some sort. The spaces were organized and rearranged ina very elaborate way from here to the Ma-ae-myeongs of Hwanseondae calling Taoist hermits with miraculous power, Wooseondae where human beingswould meet summoned Taoist hermits with miraculous power, and Eunseondong where Taoist hermits with miraculous power were hidden in the Tamra Valley. There was a mix of similar consciousness in the Ma-ae-myeongs of Baekrokdam.Moving up along Hancheon from Yongyeon, passing through Bangseonmun and Tamra Valley, and reaching Baekrokdam, this route is one of the oldest routes trodden by forerunners with their consistent thinking system 300 years ago. Given its content, this route can be called "route of Taoist hermits with miraculous power." The physical route of Taoist hermits with miraculous power ends at Baekrokdam, but one can see the South Pole star only visible on the spring and autumn equinox day there. The South Pole star is known tobe visible only south of Mount Heng in China and only in Mt. Halla in Korea. The star symbolizes times of peace and prosperity in a broad sense and personal health and longevity and a promise with a Taoist hermit with miraculous power in a narrow sense. Even though the physical route of Taoist hermits with miraculous power begins at Yongyeon and ends at Baekrokdam, a conceptual route of Taoist hermits with 1miraculous power begins where the physical route ends. It is Lee Ik-tae that walked this physical and conceptual route of Taoist hermits with miraculous power in the soundest manner. After being appointed as a Moksa of Jeju in 1694, he climbed Mt. Halla two years ina row on the autumn equinox day with his old body aged over 60.
Author(s)
李進榮
Issued Date
2021
Awarded Date
2021. 2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jejunu.ac.kr/handle/2020.oak/23608
Affiliation
제주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중어중문학과
Advisor
安在哲
Table Of Contents
국문요약 1
Ⅰ. 序論 3
1. 硏究主題와 目的 3
2. 先行硏究考察 5
3. 硏究方法 10
Ⅱ. 本論 12
1. 神仙思想 12
1) 神仙思想의 起源과 變遷 12
2) 한국의 神仙思想 15
2. 濟州의 神仙思想 19
1) 三神山 19
2) 瀛洲 20
3) 瀛洲의 용례 21
3. 漢川流域의 磨崖銘 28
1) 漢川 29
2) 漢川의 磨崖銘 29
4. 漢川流域磨崖銘에 投影된 仙境意識 30
1) 脫俗의 공간, 龍淵 30
(1) 龍淵 30
(2) 龍淵의 磨崖銘 31
(3) 시기별 분석 34
(4) 내용별 분석 35
2) 俗과 仙의 경계, 訪仙門일대 42
(1) 訪仙門일대 43
(2) 訪仙門일대의 磨崖銘 47
(3) 시기별 분석 49
(4) 내용별 분석 51
3) 仙의 공간, 白鹿潭 57
(1) 白鹿潭 60
(2) 白鹿潭의 磨崖銘 61
(3) 시기별 분석 62
(4) 내용별 분석 63
4) 仙의 本鄕, 南極老人星 67
(1) 南極老人星 67
(2) 濟州牧使李益泰 70
Ⅲ. 結論 73
參考文獻 77
ABSTRACT 80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대학원
Citation
李進榮. (2021). 漢川 流域 磨崖銘에 投影된 仙境意識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Chinese Language and Literature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