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IB(International Baccalaureate) MYP(Middle Years Programme) 통합교육과정의 원리와 한국 교육과정에 주는 시사점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Principles of Interdisciplinarity in the International Baccalaureate Middle Years Programme and its Implications on the Korean National Curriculum
Abstract
이 연구는 MYP의 교육과정 관련 문서, 교과서, 교수·학습 특징을 통합의 측면에서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한국 교육과정에 주는 시사점을 모색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특히 이 논문에서는 MYP 통합의 원리, 분과 교육과 통합 교육 간의 관계, 교수·학습, 평가, 편성·운영 측면에서 한국 교육과정에 주는 시사점을 제시는 데에 초점을 맞추었다.
IB 교육과정은 교과 지식 간의 통합을 강조하고 있으며, 통합의 유형을 초학문적, 간학문적, 다학문적 형태로 유형화하고 있었다. 특히 MYP는 교과 내(간) 간학문적 통합 유형을 강조하고 있었으며, MYP의 '개념'과 '글로벌 컨텍스트'는 수직적·수평적 통합의 매개체로 기능하고 있었다.
사회과를 중심으로 MYP 및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나타나는 분과 교육과 통합 교육 간의 관계 양상을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MYP 개인과 사회의 경우 영역을 포괄하는 목적 및 목표를 중심으로 교과의 목적을 통합적으로 제시하고 있는 반면, 한국의 중학교 사회과 교육과정은 영역별로 교과의 목표를 진술하는 경향이 강했다.
MYP 교과 간 통합의 경우에는 분과 학문의 지식 체계들을 '의미있게 연결'하는 것을 부각시키고 있으며, 통합에서 분과 학문 지식 체계 그 자체에 대한 이해 도 강조하고 있었다. 한편,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통합사회는 시간적, 공간적, 윤리적, 사회적 관점의 '조화와 균형'을 강조하고 있는 점이 특징적이었다.
교육 내용 및 내용 구성 방식에서 두드러지는 특징은 중학교 사회과 교과서의 경우, 단원이 영역별로 병렬적으로 나열되고 있음에 반해, MYP 개인과 사회의 경우에는 단원의 영역별 경계가 뚜렷하지 않았다. 특히, 지리 중심의 통합, 역사 중심의 통합 등 영역 중심의 통합 단원과 함께 지리, 역사, 경제를 통합한 '통합사회(integrated humanities)' 단원이 교과서에 제시되고 있어 다양한 형태로 단원이 구성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MYP 통합의 교수·학습 과정은 교과 교육에서 배운 지식 체계를 확인하고, 이를 종합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이에 MYP 통합의 평가에서는 교과 또는 과목의 이해도와 지식 체계를 종합하는 능력을 명시적으로 평가하고 있다는 점이 특징적이었다.
MYP를 운영하고 있는 A 학교를 사례연구의 대상으로 정하고, MYP의 총론과 각론이 지향하는 바가 학교교육과정 수준에서 어떻게 구현될 수 있는지 편성·운영, 교수·학습 및 평가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A 학교는 보통 3일에서 5일을 '통합 수업의 날'로 정하여 모든 교사와 학생들이 통합 수업에 참여하도록 하고 있었다. 아울러 통합교육과정의 교수·학습 및 평가 측면은 A 학교에서 8학년을 대상으로 개발한 개인과 사회 및 디자인 교과의 통합 단원인 '지속가능성과 플라스틱 사용' 사례를 대상으로 통합교육과정 실행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MYP의 총론과 각론 수준의 문서에 제시된 바와 같이 교수·학습 측면에서는 1) 개념적 이해의 실현, 2) 분과 학문의 지식 체계에 기반한 통합적 관점 지향, 3) 탐구질문 기반 학생 참여 중심 수업 실현, 4) 범교과적 기능 함양이 가능하도록 수업을 설계하여 가르치고 있었다. 그리고 평가 측면에서는 1) 개념에 대한 이해도를 평가 내용에 반영하고 있었다. 아울러 2) 분과의 지식 체계 및 분과의 지식 체계를 종합하는 능력을 명시적으로 평가에 반영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3) 과정 중심 평가를 구현하고 있는 점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가 한국 교육과정에 시사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의 방향 및 원리를 명료화할 필요가 있다. 통합의 매개체는 교과의 영역들에서 도출하는 것이 아니라 교과의 영역들을 아우르는 동시에 범교과적인 측면에서 설정하는 것이 적절하다.
둘째, 분과 교육과 교과 교육의 관계는 상호 대립이 아닌 공존 관계에 있다는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 통합은 분과를 전제로 하며, 통합은 궁극적으로 분과 지식 체계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킨다. 이를 토대로 통합의 목적 및 목표 설정, 교육 내용 및 내용 구성 방식, 교수·학습 및 평가에 대한 논의가 요구된다.
셋째, 교수·학습에서는 지나치게 교수법을 상세화할 것이 아니라 교수·학습 방향을 구현하는 구체적인 원리를 중심으로 설계하는 것이 타당하다.
넷째, 교육 목표, 교수·학습, 평가의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평가에서 교육 목표를 명시적으로 평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은 교육 목표를 평가할 수 있는 방법상의 원리를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다섯째, 교과 내 통합을 넘어 교과 간 통합에 대한 활발한 논의가 요구되며, 고등학교 수준보다 중학교 수준에서 교과 내(간) 통합을 정규 교육과정으로 편성·운영하여 더욱 비중 있게 다룰 필요가 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후속 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제언을 하였다.
첫째, 추후에 개발되는 교육과정은 단일 교과 내의 통합을 넘어 교과 간 통합을 개발하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이에 DP의 '환경적 시스템과 사회(Environmental Systems and Societies)', 문학과 공연(Literature and Performance)과 같이 다양한 형태의 간학문적 통합과목에 대한 분석은 통합 연구 분야의 논의를 더욱 확장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둘째, MYP 학교교육과정은 국가적·지역적 맥락을 반영하여 다양한 양상으로 전개될 수 있다. 따라서 사례연구를 다양화하여 학교교육과정을 탐색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학교교육과정의 형태를 비교·분석하는 연구들은 MYP의 도입·적용·활용 가능성을 탐색하는 실행적 연구의 발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셋째, MYP 통합교육과정에 대한 논의를 확장시키기 위해 학생의 참여도 및 학생의 성취를 중심으로 교육 효과를 다루는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교육과정을 개발할 때마다 대두되었던 온 '분과 대 통합'이라는 한국 사회과교육과정의 고질적 문제를 성찰하고, 이에 대한 개선 방안을 모색한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특히 국제적으로 공인된 교육과정의 통합교육과정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한국 교육과정의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는 시사점들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본 연구가 통합교육과정 논의의 지평을 확장하고, 한국의 통합교육과정 발전에 조금이나마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main characteristics of MYP's interdisciplinary understanding through curriculum-related documents, textbooks, and teaching and learning. From its focus on 1) interdisciplinary principle, 2) relationship between disciplinary and interdisciplinary understanding, 3) interdisciplinary in teaching and learning, 4) assessment for learning and 5) organizing and implementing the programme.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implications of interdisciplinary elements within the Korean national curriculum.
The IB programmes emphasize the importance of making connections, explor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academic disciplines, and categorizes curriculum integration in the following categories: transdisciplinary, interdisciplinary, and multidisciplinary learning. In particular, the MYP programme stresses interdisciplinary teaching and learning which can be developed both within and between/among subject groups. The concepts and global contexts of the MYP programme acts as a medium for principles of vertical and horizontal integration.
MYP Individuals and Societies and Korean social studies curriculum were considered to compare and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disciplinary and interdisciplinary understanding. In contrast to Korean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curriculum where objectives were set for each discipline, MYP Individuals and Societies state integrated aims and objectives connecting disciplines.
MYP programme's interdisciplinary learning focused on not only 'meaning and connected way' of the disciplinary objectives, but also understanding the disciplinary understanding explicitly. Therefore, MYP interdisciplinary learning is grounded in the disciplines. Additionally, Integrated Social Studies in 2015 revised curriculum in Korea emphasized the 'harmony and balance' of time-based, spatial, ethical and social perspectives. Compared to Korean national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textbook that present disciplines in a parallel manner, MYP Individuals and Societies, discrete or integrated disciplines are taught and assessed within a subject group.
In all, MYP interdisciplinary teaching and learning is a process of synthesizing disciplinary knowledge. Disciplinary understanding is explicitly taught and assessed in the MYP interdisciplinary units. Students are required to demonstrate the integration of factual, conceptual and procedural knowledge from more than one discipline.
School A, a school that offers the MYP program, was chosen as a case study to further examine how the school develops and implements interdisciplinary units. School A had 3-5 days of "interdisciplinary teaching and learning", where students and teachers participate in interdisciplinary learning. Analyzing the case of School A's Grade 8 interdisciplinary unit "Sustainability and the usage of plastic"(Individuals and Societies and Design) indicated that learning were developed and taught with a focus on 1) Conceptual understanding, 2) Interdisciplinary perspectives grounded disciplines, 3) Inquiry based learning and 4) Tools for learning. The MYP interdisciplinary unit is evaluated to assess student's understanding of disciplines and their ability to synthesize disciplines.

In conclusion, this study reports five main implications in terms of the Korean national curriculum.
First, clarification of the directionality and the fundamental principles of integration are necessary. The medium of integration should not be deducted from disciplines, but across disciplines of a subject group and the subject groups as well.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disciplinary knowledge and interdisciplinary understanding should not be in conflict, but coexist. Disciplinary knowledge is a prerequisite of interdisciplinary understanding, and interdisciplinary teaching and learning should ultimately aim to deepen the understanding of disciplinary knowledge. Thus further discussion on the aims, objectives, content, assessment of the interdisciplinaries is needed.
Third, it is only appropriate that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the curriculum integration does not overly specify the teaching method, but establishes clear principles and direction for the instructors.
Fourth, the assessment must explicitly examine the interdisciplinary objectives to promote consistency of objectives, teaching and learning of interdisciplinary and assessment for learning. Principles and systems of assessing objectives explicitly have to be developed.
Lastly, further discussion on not only the integration within subject groups but also between/among subject groups is necessary, and integrated learning should be organized and implemented into Korean national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curriculum.

Following are a few suggestions based on the study's findings.
First, future curriculum should aim for the integration between/among subject groups. Therefore analyzing the interdisciplinary subjects such as Environmental Systems and Societies(ESS) and Literature and Performance in DP may expand the discussion on this issue.
Second, as MYP programme is flexible to accommodate the demands of national and local context, the diversification of case studies are needed.
Third, analyzing and comparing other schools that foster interdisciplinary understanding will serve as a practical stepping stone for exploring the introduction/implementation of the MYP program.
Last, the efficacy of the curriculum based on student's participation and student's achievement should be studied to expand the discussion on MYP's integrated curriculum.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it examines 'disciplinary versus interdisciplinary learning', a chronic issue that is brought up every time a new curriculum is developed in Korea. Also, it suggests realistic methods of improvement for this issue through the analysis of an internationally recognized curriculum integration. One hopes that this study may expand the discussion on integrated learning in Korea, an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curriculum integration.
Author(s)
강효선
Issued Date
2021
Awarded Date
2021. 2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jejunu.ac.kr/handle/2020.oak/23793
Alternative Author(s)
Kang, Hyo Seon
Affiliation
제주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지리교육전공
Advisor
손명철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 문제 및 연구 내용 3
3. 연구 방법 4
1) 문헌연구 6
2) 사례연구 9
4. 용어의 정의 13
1) IB 교육과정 13
2) MYP 14
3) 통합교육과정 15
Ⅱ. IB(International Baccalaureate) MYP(Middle Years Programme) 17
1. IB 교육과정 개관 17
1) IB 교육과정 17
2) IB 교육과정의 교수와 학습 19
(1) 교수에 대한 접근법 20
(2) 학습에 대한 접근법 22
2. MYP 체계와 구성 23
1) 성격 26
2) 구조 29
3) 평가 32
4) 경험을 통한 학습 34
5) 학습의 총체: MYP 프로젝트 35
3. IB와 IB 통합교육과정 연구 동향 38
1) IB 교육과정의 연구 동향 38
2) IB 교육과정의 통합교육과정 연구 동향 42
Ⅲ. 통합의 원리와 분과 교육과 통합 교육 간의 관계 47
1. IB 교육과정 통합의 대상과 유형 47
2. MYP의 수평적수직적 통합의 원리 51
1) 개념 51
2) 글로벌 컨텍스트 60
3. MYP 교과 내 통합과 교과 간 통합 64
4. IB 교육과정과 한국의 분과 교육과 통합 교육 간의 관계 비교 66
1) 통합의 목적 및 목표와 방향 66
(1) 통합의 목적 및 목표 67
(2) '조화와 균형'과 '의미 있는 방식의 연결' 72
2) 학습 내용 및 내용 구성 방식 75
(1) 학습 내용 선정 기준 75
(2) 교과 내 통합 76
(3) 교과 간 통합 86
3) 교수 및 학습 95
(1) 개념적 이해의 실현 96
(2) 학생 참여 중심 수업의 실현 97
(3) 통합적 접근 100
4) 평가 102
(1) 평가의 내용 102
(2) 평가의 방법 104
Ⅳ. IB MYP 통합교육과정의 실제 109
1. MYP 통합교육과정의 편성 및 운영 109
1) 통합교육과정의 편성 및 운영 110
2) 통합교육과정의 설계 116
2. MYP 통합교육과정의 교수 및 학습 방법 121
1) 개념적 이해의 실현 124
2) 학생 참여 중심 수업: 탐구질문 기반 128
3) 통합적 접근: 분과 학문의 지식 체계에 기반 129
4) 범교과적 기능 함양 133
3. MYP 통합교육과정의 평가 136
1) 개념적 이해의 평가 137
2) 통합적 접근 평가 140
3) 과정 중심 평가 145
Ⅴ. IB MYP 통합교육과정이 한국 교육에 주는 시사점 149
1. 통합의 원리 149
2. 분과 교육과 통합 교육 간의 관계 151
3. 교수 및 학습 방법 154
4. 평가 156
5. 편성 및 운영 159
Ⅵ. 요약 및 결론 161
참고문헌 165
ABSTRACT 180
Degree
Doctor
Publisher
제주대학교 대학원
Citation
강효선. (2021). IB(International Baccalaureate) MYP(Middle Years Programme) 통합교육과정의 원리와 한국 교육과정에 주는 시사점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Geography Educ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