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고등학생의 웹툰에 대한 인식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the Recognition of Webtoon in High School Students : Focusing on the High School Students in Jeju Island
Abstract
만화 콘텐츠는 스마트폰의 발달과 보급으로 인하여 웹툰의 형태로 변화되었고, 대중들이 더욱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콘텐츠이다. 스마트폰의 확대와 함께 우리나라의 청소년들은 성장하고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해 볼 때 웹툰을 교육에 활용하여 이해하기 쉽고 받아들이기 쉬운 접근법을 사용한다면 더 큰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웹툰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청소년기의 학생들이 웹툰에 대하여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탐구하고 웹툰을 즐겨보는 청소년들 중, 미술관련 특별활동에 참여하는 학생과 일반학생들의 학교생활에 있어서의 만족도와 학업적 자기효능감 수준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제주 도내에서 고등학교를 다니고 있는 일반학생들과 미술관련 특별활동을 하고 있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약 2주 동안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총 237부의 설문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자료분석은 SPSS 23.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분석,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t-test가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웹툰에 대한 청소년들의 인식을 살펴보면, 웹툰은 문화적으로 긍정적인 가치를 가지고 있으며 자신의 생활에 많은 영향을 주는 콘텐츠로 인식하였다. 또한 웹툰을 단순한 재미 이상으로 하나의 문화로 받아들이고, 과거에 비해 만화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으로 변화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웹툰에 대한 인식의 조사에서 일반 학생과 미술관련 활동을 하고 있는 학생의 차이가 나타났는데 이를 살펴보면, 미술관련 활동을 하고 있는 학생들이 다른 대중매체들 보다 웹툰이 더 많은 가치를 준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이를 통해 위로를 받고 자신감이 생기며, 새로운 시도를 한 경험이 많다고 하였다. 셋째, 학교생활 만족도 조사에서도 일반 학생과 미술 관련 활동을 하는 학생의 차이가 나타났다. 미술관련 활동을 하는 학생이 일반 학생보다 교실분위기가 화목하고 친구와 원만한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주변사람에게 관심과 인정을 받고 있으며 전반적인 학교생활에 대해서도 만족한다는 결과가 나왔다. 넷째,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조사에서도 역시 위와 마찬가지로 미술 관련 활동을 하는 학생이 수업시간에 자신감을 가지고 임하며 수업내용을 잘 파악하고 기억하며 효과적인 공부법에 대한 수준이 높았으며 시험에 대한 불안감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웹툰을 활용한 교육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웹툰의 대중 문화적 측면과 긍정적, 부정적 측면에서의 연구도 이루어져야 하며, 교육적 부분에서는 미술 수업 안에서 학생들의 사고체계를 깊은 사고로 이끌 수 있는 수업내용의 개발과 적용 사례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Cartoon contents have evolved into the form of web-toons due to the advance and penetration of smart phones. As such, these contents have been made more readily accessible to the public. The widespread use of smart phones accompanies the growth of the teenagers of South Korea. In consideration of this, it would be of a significant effect if we can adapt an approach that is easier to understand and accept by utilizing these web-toons in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refore, is to explore how these web-toons are perceived and appreciated by the teenager students based on the understanding in the web-toons, and, among the students who enjoy these web-toons, the satisfaction in their school lives and the sense of self-efficacy in terms of their academic performance were compared between ordinary students and thos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extracurricular activities. For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with the ordinary high school students who go to high schools in Jeju Island and those students who are engaged in art-related extracurricular activities. The survey was conducted over a period of two week, during which a total of 237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to be used in our analysis. As for the data analysis, the researcher used SPSS 23.0 to perform a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factor analysis, confidence analysis, and t-test.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First, as for the awareness on the web-toons among the teenager, the web-toons turned out to have a positive value in terms of the cultural aspects. and, the students perceived them as a type of contents that influenced their lives significantly. Also, they were considering these web-toons as a form of culture rather than a simple type of entertainment. The researcher noticed that the awareness on the cartoons became much more positive compared to the past. Second, a survey on the awareness on the web-toons revealed a difference between ordinary students and the students who were participating in extracurricular activities that were related to art. To be more specific, the students who are engaged in these art-related activities thought the web-toons delivered them more values than the mass-media did. Many of these students stated that they were comforted by these web-toons, which also made them feel more confident and motivated them to try new things. Third, there were differences revealed in the study between the ordinary students and the students engaged in art-related activities in terms of the satisfaction surveys/ The art students were more likely answer that their class rooms had a good atmosphere and they were in a good social relationship with their friends. Also, they believed they received more attention and recognition from the people around them, while they were more satisfied with their school life in general. Fourth, the survey on the self-efficacy of them also revealed that the art students were feeling more confident in their classes, understood the contents of the classes better, and remembered them well. Also, they were more skilled in effective studying methods, while feeling less malaise about their tests.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in order to invigorate the education through web-toons, more studies needs to be conducted on the negative and positive aspects of the web-toons as well as the web-toons as a form of popular culture. Also, in terms education, it would be necessary to develop learning contents that will lead the students into a higher level of thinking and continuously study the related cases of their application.
Author(s)
김보람
Issued Date
2019
Awarded Date
2019. 2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08794
https://oak.jejunu.ac.kr/handle/2020.oak/23800
Alternative Author(s)
Kim, Bo Ram
Affiliation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Advisor
김용환
Table Of Contents
국문초록 ⅰ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2

Ⅱ. 이론적 배경 4
1. 미술교육에서의 만화 4
2. 웹툰의 개념과 특징 분석 8
3. 청소년과 웹툰의 관계 19

Ⅲ. 연구방법 34
1.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34
2. 측정도구 35
3. 자료분석 40

Ⅳ. 연구결과 41
1. 웹툰을 본 경험이 있는 조사대상자들의 특성 41
2. 측정도구의 타당성 및 신뢰도 분석 50
3. 일반학생과 미술관련 특별활동 참여 학생 간의 차이 검증 58
4. 결과분석 62

Ⅴ. 결 론 63

참고문헌 66
ABSTRACT 69
부 록 72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김보람. (2019). 고등학생의 웹툰에 대한 인식 연구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Fine Arts Educ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