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텃밭 가꾸기 중심의 환경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환경감수성에 미치는 영향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The Effect of the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Focused on Vegetable Gardening on Environmental Sensitiv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bstract
이 연구는 텃밭 가꾸기 중심의 환경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환경감수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 것으로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읍면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D초등학교 3학년 학생 1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2021년 3월 10일부터 4월 30일까지 총 2개월에 걸쳐 텃밭 일구기를 시작으로 모종 심기, 물 주기, 식물 관찰하기 등의 텃밭 가꾸기 활동을 하였다. 그리고 건강한 흙, 소중한 물, 깨끗한 공기, 함께라서 아름다운 우리라는 4개의 주제로 환경교육 프로그램을 16차시 실시하였다. 이상덕(2011)이 사용한 설문지를 이용하여 환경감수성 검사를 사전․사후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i-Statistics 프로그램으로 대응표본 t 검정을 실시하여 결과 검증을 하였으며 유의 수준은 p<.05로 설정하였다. 또한 실험 집단 학생들의 생각과 행동의 변화를 분석하기 위하여 텃밭 환경일기, 행동관찰, 활동 소감 나누기, 그림 등의 질적 자료도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발된 환경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한 결과 초등학생의 환경감수성에 대한 사후 검사 전체의 평균은 4.83으로 사전검사 점수 전체의 평균 3.89에 비하여 0.94점 높게 나타났으며 유의 수준 p<.05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환경감수성의 하위 영역으로는 자연에 대한 관심, 자연과의 접촉, 감정이입, 자연이나 사람과의 상호작용, 환경보전하려는 실천의지가 있는데 모두 p<.05 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학생들의 활동 결과물인 텃밭 환경 일기, 활동 학습지, 그림, 활동 소감에 환경감수성의 하위 영역인 자연에 대한 관심, 자연과의 접촉, 감정이입, 자연이나 사람과의 상호작용, 환경보전하려는 실천의지가 잘 나타나 있었다.
이상과 같은 연구 결과로 살펴볼 때 텃밭 가꾸기 중심의 환경교육 프로그램은 초등학생들의 환경감수성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식물을 심고 가꾸는 체험 활동의 가치를 넘어 텃밭에서 발견하게 되는 다양한 환경문제를 경험하고 탐색하는 과정을 통해 자연의 소중함을 인식하고 환경을 보전하려는 마음을 다지게 하는 것으로 보인다. 앞으로 환경감수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후속 연구와 다양한 환경 주제를 학년별 수준에 맞게 재구성하여 체계적인 환경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며 환경교육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학교 환경교육 여건이 마련되어야겠다.
To learn about the effect of vegetable-gardening environmental educationprogram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environmental sensibility, this study wasmade on the thirteen 3rd-grader students of D elementary school located at asuburban village of Jeju self-governing province. For nearly two months fromMarch 10 through April 30, 2021, vegetable gardening activities, such as plantingsaplings, watering and observing plants, were carried out starting with raising amound for vegetable garden.Then followed 16 sessions of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under the fourthemes – healthy earth, precious water, clean air and 'we belong together'.Pre-and-post environmental sensibility tests were conducted using thequestionnaire created by Lee Sang-deok (2011) and the result of collected datawas verified by conducting a paired-t test through i-Statistics program with asignificant level of p<.05. Besides, to evaluate the experimental group students'change in thoughts and behavior, qualitative data, including vegetable gardeningdiary, behavior observation, shared activity impressions, site drawings, etc., werealso analyzed.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First, as a result of carrying out this developed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the entire average of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environmental sensibilitywas 4.83 for posttests, 0.94 higher than 3.89, the entire average for pretests, with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t a significant level p<.05. Subareas forenvironmental sensibility include interest in nature, contact with nature, empathy,interaction with nature or men and practical will toward environmentalconservation, all of which had significant difference at p<.05.Second, students' activity results, such as vegetable garden's environment diary,activity workbook, site drawings and acivity impressions, well reflected thesubareas of environmental sensibility – interest in nature, contact with nature,empathy, interaction with nature or men, and practical will toward environmentalconservation.Seen from the study results above,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centeringon vegetable gardening is believed to have made positive effect on the promotionof environmental sensibility in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t is not just thevalue as the experience activity of planting and taking care of plants. Apparently,this program has served to instruct the preciousness of nature and resolve thechildren to conserve environment via the process of experiencing and searchingdiverse environmental problems they come across on the vegetable garden. In thefuture, more studies are needed regarding the effect on environmental sensibilityand developing systematic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s by reconstructingdiverse environmental topics tailored to different grades, while creating schoolconditions for continued environmental education.
Author(s)
박규민
Issued Date
2021
Awarded Date
2021. 8
Type
Dissertation
URI
https://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10160
https://oak.jejunu.ac.kr/handle/2020.oak/23809
Alternative Author(s)
Park, Gyu Min
Affiliation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초등실과교육전공
Advisor
김종우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내용 3
3. 연구의 제한점 3
Ⅱ. 이론적 배경 4
1. 학교 텃밭의 의미와 교육적 의의 4
2. 초등학교 환경교육 5
3. 환경감수성 11
4. 선행연구 고찰 12
Ⅲ. 연구방법 15
1. 연구 대상 15
2. 연구의 설계 및 절차 15
3. 측정 도구 15
4. 실험 처치 16
5. 자료의 수집 17
6. 자료의 분석 17
Ⅳ. 연구결과 18
1. 텃밭 가꾸기 중심의 환경교육 프로그램 개발 18
2. 정량적 분석 결과 21
3. 정성적 분석 결과 23
Ⅴ. 결론 및 제언 43
1. 결론 43
2. 제언 44
참고문헌 45
ABSTRACT 48
부 록 50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박규민. (2021). 텃밭 가꾸기 중심의 환경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환경감수성에 미치는 영향
Appears in Collections:
Elementary Education > Elementary Practical Arts Educ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