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지역 기반 세계시민교육을 위한 중학교 사회과 수업 모듈 개발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Development of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Instructional Module for the Place-Base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 A Case of Jeju Island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지역 기반 세계시민교육을 위한 중학교 사회과 수업 모듈을 개발하는 데 있다. 지역 기반 세계시민교육은 지역의 자연, 역사, 사회, 문화 등의 이슈를 통해 나와 타인, 나와 지역, 나와 세계와의 상호 의존성과 상호 연계성을 이해하고 이를 통해 세계시민성을 함양하는 교육이다. 주요 연구 내용은 세 가지이다: 첫째, 세계시민교육과 2015 개정 교육과정은 어떤 관련성을 가지고 있는가, 둘째, 지역 기반 세계시민교육을 위한 중학교 사회과 수업 모듈은 어떻게 설계할 수 있는가, 셋째, 지역 기반 세계시민교육 수업 모듈은 중학교 수업 현장에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가. 연구 방법은 주로 문헌연구와 실행연구(action research)를 활용하였다. 우선 이론적 논의에서는 세계화와 세계시민교육, 세계시민교육의 연구 동향과 주요 쟁점, 2015 개정 교육과정과 세계시민교육의 관련성을 살펴보고, 그동안 이론적 차원에서 머물렀던 세계시민성의 개념을 실천 중심, 지역 기반 세계시민교육으로 재설정하여 한국 사회에 적합한 세계시민교육의 방향과 과제를 제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실행연구 방법으로 지역 기반 세계시민교육을 위한 중학교 사회과 수업 모듈을 설계하고 제주지역의 사례를 제시하였다. 이 연구에서 개발한 지역 기반 수업 모듈은 제주지역을 사례로 하였으며, 통합교육과정을 지향하는 중학교 사회과 수업에 초점을 맞추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세계시민교육의 목표와 2015 개정교육과정의 핵심역량, 사회과 교육의 목표는 배타적이지 않고 보완적이다. 세계시민교육은 지역, 국가, 세계 간의 상호 연계성과 상호 의존성을 파악하는 인지적 영역과 차이와 다양성에 대한 존중, 연대 및 공감을 통해 인류애를 함양하는 사회․정서적 영역, 그리고 지역, 국가, 세계적 차원에서 윤리적이고 책임감 있게 실천하는 행동적 영역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는 2015 개정교육과정과 사회과교육과정의 목표와도 상호 연계된다. 따라서 한국 사회에 적합한 세계시민교육은 국가 교육과정과의 연계를 모색하면서, 관련 영역 간 연계교육과 통합적 세계시민교육, 실천적인 세계시민교육으로 방향 전환이 필요하며 이에 적합한
방안으로 지역 기반 세계시민교육을 제시하였다. 둘째, 지역 기반 세계시민교육을 위한 수업 모듈을 설계하였다. 수업 모듈 설계는 먼저 지역 기반 세계시민교육 수업 모듈의 원리를 설정하고, 이에 따라 제주지역 사례를 중심으로 수업 모듈을 구성하였다. 모듈 설계는 3단계로 구성되는데, 1단계는 상호 연계성과 맥락(context)을 고려하여 지역 기반 이슈를 탐색하는 것으로 세계시민성 함양을 위한 적절한 주제를 지역에서 찾는 단계이다. 2단계는 지역 기반 이슈에 담긴 지리적, 역사적, 사회적, 문화적 맥락을 찾는 학습이 이루어지는 단계이다. 3단계는 지역 기반 이슈의 맥락을 확장하여 세계시민성을 발휘하도록 실천하는 단계이다. 이러한 수업 모듈의 원리와 단계를 적용하여 제주지역에 기반한 수업 모듈 3가지를 제시하였다. 셋째, 제주지역을 기반으로 한 세계시민교육 수업 모듈을 개발하고 실행하였다. 지역 기반 세계시민교육 수업 모듈의 제주지역 사례로서 조선 후기 제주 빈민을 구제한 김만덕의 삶을 통한 보편적 가치에 대한 공감, 산업화 초기 제주 이주민 공동체인 해남촌 역사를 통해 본 차이와 다양성 존중, 제주 4․3을 통한 연대의식과 실천을 주제로 수업 사례를 제시하였다. 이들 3가지 수업 사례는 각각 독립적으로 학습할 수도 있고 일련의 단계별 수업 모듈로 학습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몇 가지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세계시민교육을 일상생활 속에서 실천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학습자가 살고 있는 지역 혹은 장소의 자연, 사회, 역사, 문화적인 현상이나 사실을 소재로 세계시민교육의 관련 영역과 연계하여 수업을 실행할 필요가 있다. 둘째, 세계시민교육은 인지적 영역을 넘어서 사회․정서적, 실천적인 측면을 포괄해야 하므로 지식과 경험, 교과 내용요소, 교육활동, 그리고 교육의 장(場)간 통합 등 여러 지식과 일상을 통합하는 교육과정으로 설계하는 것이 유용하다. 셋째, 세계시민성 함양을 위한 지역 기반 세계시민교육은 그 자체가 상호 연계성을 파악하고 실천 지향적인 교육이므로 지역사회 연계, 교사들 간의 협력, 학교 문화, 그리고 세계시민성 함양을 위한 각 교과 및 기관 간의 협력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때 교육적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 이 연구는 세계시민교육 관련 영역 중 제주지역에 기반한 사례만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공간적이고 내용적인 한계를 가지며, 이후 관련 영역 및 다른 지역 사례로 확장하는 후속 연구의 과제를 남긴다. 또한, 수업 모듈의 적용을 통한 세계시민성 함양 효과를 참가 학생들의 수업 이야기와 후속 교육 활동 사례로만 제시함으로써 계량적으로 검증하지 못했다는 한계를 가진다. 끝으로 이 연구에서 제시한 세계시민성 함양을 위한 지역 기반 세계시민교육 수업모듈이 각 지역의 세계시민교육 수업 모듈을 개발하고 확산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해 본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 instructional module for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as part of place-base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Place-base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ims to foster global citizenship and educate students to understand the interdependencies and interrelations between others and oneself, the region and oneself, and the world and oneself through regional issues covering nature, history, society, culture, and others. The main contents of this study are: first, the relevance between the theoretical explication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nd the revised 2015 curriculum; second, the methods used in developing an instructional module for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i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nd third, the method applied in the module for middle school classes. The study was mainly based on reference research and action research. For the theoretical discussion, there is an examination of globalization an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research trends and main issues i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nd the relatedness betwee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Furthermore, proposals are made as to the direction of, and avenues for,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s appropriate to Korean society. This is achieved by resetting the concepts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hrough practice-oriented and place-base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s they have been restricted to the dimension of theory up to now.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a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module for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was designed as the implementation of the research method, and a case study was conducted with Jeju as its base. The place-based class module developed for this study is the case of Jeju Island and is focused on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classes as oriented to the integrated curriculum.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objectives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core competencies of the revised 2015 curriculum, and social studies are not exclusive, but complementary.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cludes the cognitive domain that grasps interrelations and interdependencies between regions, nations, and the world; the social and affective domain that fosters love for humanity through respect, solidarity, and sympathy regarding differences and diversity; and the conductive domain for ethical and responsible practice at regional, national, and international dimensions, all of which are mutually connected to the revised 2015 curriculum and the objectives of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Therefor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ppropriate to Korean society is required to change the direction toward the intersection of related education between fields, integrate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nd practical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by finding a way to connect to the national curriculum. Accordingly, I propose place-base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s an appropriate plan. Second, I developed a class module for place-base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For this module, I created principles for the class module for place-base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nd compose the class module by focusing on the case of Jeju Island. The design of this module went through 3 stages. The first stage explores regional issues by considering mutual relationships and the context from which suitable themes to foster global citizenship in the region are uncovered. The second stage explores the geological, historical, social, and cultural contexts of the place-based issues. The third stage expands on the contexts of the regional issues and practice to exercise global citizenship.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 principles and
developmental stages for the class module, I then compose three Jeju-based modules. Third, I developed and conducted a Jeju-based instructional module for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For the themes and Jeju cases of the place-based module, I present sympathy for universal values through the life of Kim Mandeok who gave aid to the poor in the late Joseon era; respect for diversity and difference through the history of Haenamcheon, the Jeju immigrant community during early industrialization; and solidarity and practice through the Jeju 4․3 Uprising and Massacre. These three class modules can be utilized independently or stage by stage. Based on this study, I make the following few proposals: First, to include practical aspects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daily life, classes should be implemented in connection to fields relating to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using the topics of nature, society, history, and cultural phenomena or facts relevant to the local community of which learners are part. Secon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has to embrace social, sentimental, and practical aspects beyond the cognitive domain; therefore, it is useful to design it as an integrated educational process by integrating various activities and knowledge as seen in the integration of knowledge and experiences, between subjects, and curriculum activities. Third, place-base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o foster global citizenship intends to apprehend the interrelation in itself; therefore, the educational effects can be maximized when the following are activated for school culture and global citizenship: local community solidarity; cooperation between teachers; and cooperation between subjects and institutions. I concede that this study has spatial and content limitations due to the fact that the Jeju cases are only presented among domains relating to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which means that follow-up research is required to expand into relating domains and other regions. In addition, this study has other limits in that it hasn't been verified quantitatively by presenting the effects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only through the stories of students who attended this class and the follow-up educational activities through this module.
Lastly, I hope that the proposed module in this study will be utilized for the development and expansion of class modules for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other regions.
Author(s)
한상희
Issued Date
2019
Awarded Date
2019. 2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08824
https://oak.jejunu.ac.kr/handle/2020.oak/23830
Alternative Author(s)
Han, Sang Hee
Affiliation
제주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지리교육전공
Advisor
손명철
Table Of Contents
국 문 초 록 ⅰ
I. 서론 1
1. 연구 배경과 필요성 1
2. 연구 목적과 내용 4
3. 연구 대상과 방법 5
1) 연구 대상과 범위 5
2) 연구 방법 6
4. 논문의 구성 7
II. 세계시민교육과 2015 개정 교육과정 9
1. 세계화와 세계시민교육 10
1) 세계화와 세계시민교육 10
2) 세계시민교육의 내용과 관련 영역 11
2. 세계시민교육의 연구 동향과 주요 쟁점 22
1) 세계시민성의 개념과 논의 22
2) 세계시민교육의 연구 동향 30
3) 세계시민교육 관련 주요 쟁점 37
3. 2015 개정 교육과정과 세계시민교육 관련성 40
1) 세계시민교육과 2015 개정 교육과정 핵심 역량 40
2) 사회과교육과 세계시민교육 45
3) 한국 사회에 적합한 세계시민교육의 방향과 내용 49
III. 지역 기반 세계시민교육을 위한 수업 모듈 설계 55
1. 지역 기반 세계시민교육의 개념과 의의 55
1) 지역 기반 세계시민교육의 개념 55
2) 지역 기반 세계시민교육의 의의 57
2. 수업 모듈 개발 원리 및 절차 59
1) 수업 모듈 개발 원리 59
2) 수업 모듈 개발 절차 62
3. 지역 기반 세계시민교육 수업 모듈의 구성 63
1) 지역 기반 세계시민교육 수업 모듈 63
2) 지역 기반 세계시민교육 수업 모듈의 구성 69
IV. 지역 기반 세계시민교육 수업 모듈: 제주지역 사례 71
1. 빈민을 구제한 김만덕의 삶 72
1) 모듈 개관 72
2) 2015 개정 교육과정과 유네스코 지침서와의 연계 77
3) 수업의 실제 79
4) 수업의 효과 및 모듈 평가 86
2. 산업화 시기 제주 이주 공동체(해남촌) 형성과 변화 88
1) 모듈 개관 88
2) 2015 개정 교육과정과 유네스코 지침서와의 연계 92
3) 수업의 실제 95
4) 수업의 효과 및 모듈 평가 110
3. 제주 43과 사람들 112
1) 모듈 개관 112
2) 2015 개정 교육과정과 유네스코 지침서와의 연계 130
3) 수업의 실제 132
4) 수업의 효과 및 모듈 평가 139
4. 지역 기반 세계시민교육 수업의 효과 및 필요성 140
V. 결론 및 제언 144
1. 요약 및 결론 144
2. 제언 148
참고 문헌 150
부 록 170
유네스코 세계시민교육 학습주제 및 세부학습 목표 170
김만덕 수업 모듈 후속 교육활동 : 자청비 스토리텔링 175
해남촌 수업 모듈 후속 교육활동 : 탐라국 신화기행 177
해남촌 수업 모듈 후속 교육활동 : 해남촌 만화 홍보자료 178
제주 43 수업 모듈 후속 교육활동 : 43 홍보 UCC 179
제주 43 수업 모듈 후속 교육활동 : 몰라구장 따님 43 취재기 180
수업 모듈 후속 교육활동 : 43 홍보 리플렛 181
수업 모듈 후속 교육활동 : SBS 제주문화반 활동 방송본 183
수업 모듈 후속 교육활동 : 공정무역과 윤리적 소비 수업 모듈 184
제주에서 세계시민을 만나다 192
ABSTRACT 199
Degree
Doctor
Publisher
제주대학교 대학원
Citation
한상희. (2019). 지역 기반 세계시민교육을 위한 중학교 사회과 수업 모듈 개발
Appears in Collections:
Faculty of Social Science Education > Geography Educ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