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제주특별자치도의 학교 변천과 그 영향요인 분석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nalysis on the Transition Process and Factors of Schools in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문헌연구와 면접조사를 통해 제주특별자치도의 학교 수 변천을 파악하고 변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제주특별자치도 초·중·고등학교의 학교 수 변천의 추이는 어떠한가?
둘째, 학교 변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문헌연구는 국내 제주특별자치도의 교육 관련 논문 자료와 정책보고서, 학계에서 발간된 보고서, 통계청의 통계자료 등을 조사하였다. 면접조사의 연구 대상은 오랜 기간동안 교육 현장에 있으며, 교육행정사를 직접 겪은 퇴임한 도내 학교 교장 선생님 4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연구 기간은 2020년 10월부터 20년 11월까지이며, 제주 학교의 특징, 학교 변천에 영향을 미친 배경 요인, 제주 교육행정 및 정책의 변화 등에 대한 면접조사로 진행되었다. 이를 파악하기 위해 1차·2차 면접조사를 통해 수집한 자료를 녹음 및 전사하고 이후 코딩하여 연구 문제에 접근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게 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제주특별자치도의 학교 수 변천 추이는 태동기, 적응기, 양적 확장기(도약기), 정착기, 질적 성숙기로 5단계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 변천에 영향을 준 요인에 대한 의미 있는 진술을 추출하여 의미와 맥락을 발견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제주특별자치도 학교 변천의 영향을 준 요인은 5단계 중 1949년부터 1962년까지 해당하는 적응기를 제외하고는 교육정책 요인보다 교육정책 외적요인의 영향이 컸기 때문에 향후 학교 수를 증가하고 감소하는 데 있어서 교육정책 외적요인을 면밀히 분석하여 개선해나가야 한다.
둘째, 교육정책 외적요인 중 가장 주요한 요인은 학생 수였기 때문에 학생 수에 의해 학교의 수와 규모를 유연하게 증감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학생 수 감소 시, 기존 학교 수는 그대로 두면서 읍면지역의 초등학교 일부는 유치원부터 초등학교 2학년까지 운영하고, 또 다른 초등학교에서는 거점지역의 초등학교로서 3학년부터 6학년까지를 통합하여 운영하는 것을 말할 수 있다. 그리고 기존 읍면지역 초등학교의 3학년부터 6학년이 사용하지 않고 남아있는 유휴공간은 마을과 공동시설로 운영하면서 지역별로 학교-마을 밀착형 학교를 만들어나갈 수 있다.
셋째, 미래 사회를 조명할 때 지역 소멸, 인구 절벽 등 지역 내 인구수를 고려하여 제주의 학교 정책에 반영할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지역 내 인구수 감소는 지역의 소멸을 불러오며, 이는 학교 통·폐합, 폐교 등의 영향을 미치므로 지역 내 인구수 변화, 국가의 인구 정책 등의 발맞추어 학교 수와 관련된 정책들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이상에서 결론을 바탕으로 후속 연구를 위한 몇 가지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시간적 범위는 해방 이후 시점인 1945년부터 시작한다. 당시 제도적 정비와 통계에 대한 정비가 잘 안 되고, 과학적인 기술이 발달하지 않음에 따라 문헌 자료 수집에 한계가 있었다. 추후에는 학교 현황에 대한 더 많은 자료를 발굴하여 보다 정확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분석하는 데 주력해야 할 필요가 있다.
둘째, 본 연구는 연구대상을 제주특별자치도의 학교 교장 출신의 4명으로 한정하여 진행하였다. 추후에는 제주의 학교 역사를 아는 교육계 외의 다양한 전문가를 대상으로 면담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향후 연구는 제주특별자치도 학교의 경험과 인식에 대해 교육계 안팎의 다각적인 측면을 포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제주특별자치도의 학교 변천의 영향요인을 교육정책 요인과 교육정책 외적요인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는데, 향후에는 보다 다양한 영향요인 분석 도출을 위해 세부적으로 영향요인을 구분하여 연구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hange in the number of schools in Jeju Province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interview surveys and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the change to derive implications. The research challenges to achieve this research objective were as follows.

First, how is the change in the number of elementary, middle, highschools in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Second, What factors affect the change in schools?

The literature research investigated the education-related papers and policy reports of the Jeju Province in Korea, reports published by academia, and statistical data of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The subjects of the interview surveys were four school principals in Jeju who had been in the field of education for a long time and had experienced educational administration. The research was from October 2020 to November 2020, and interview surveys were conducted on the characteristics of Jeju schools, background factors that affected the change of schools, and changes in Jeju education administration and policies. To understand this, The data collected through Secondary interviews were recorded and transcribed and subsequently coded to approach the research problem.
The result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trend of changing the number of schools in Jeju Province was shown in five stages : the beginning period, the adaptation period, the quantitative expansion period (the leap period), the settlement period, and qualitative maturity. Second, meaningful statement about the factors that influenced the change of schools is extracted to discover the meaning and context.
The conclusions obtained from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factor that influenced the change of schools in Jeju Province were during step 5, Except for the adaptation period from 1949 to 1962, external factors were more influential than educational policy factors, so external factors in increasing and decreasing the number of schools in the future should be closely analyzed and improved.
Second, the most important factor external of education policy is the number of students, so it is necessary to flexibly increase and decrease the number and size of schools by the number of students. For example, if the number of students decreases, the number of existing schools remains the same, some elementary schools in the township area operate from kindergarten to second grade, Another elementary school in the base area may proceed to the integration of grades 3 to 6. In addition, idle spaces that are left unused by third to sixth graders of existing elementary schools in the eup-myeon area can be operated as villages and communal facilities to create village-friendly schools by region.
Third, it is necessary to reflect Jeju's school policies in consideration of the number of people in the region, such as regional extinction and population cliff, when highlighting future society. because the decrease in the number of people in the region causes the destruction of the region, which affects school consolidation, closure, etc., so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policies related to the number of schools in line with changes in the number of people in the region and national population policy.
Based on the above conclusions, some suggestions are made for subsequent research.
First, the temporal scope of this study is start since 1945, when after liberation. At that time, due to poor maintenance of the system and statistics, and the lack of scientific technology, there was a limit to the collection of literature data.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focus on discovering more data on the current state of schools and analyzing them based on more accurate data.
Second, this study limited the research subjects to four former school principals of Jeju Province.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conduct interviews with various experts who know the history of Jeju schools. Through this, future research is expected to include various aspects of the current status and perception of Jeju Province schools.
Third, in this study, the influential factors of the change of schools in Jeju Province were analyzed mainly by educational policy factors and external factors of educational policy.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distinguish the influences in detail to analyze various influences.
Author(s)
김경옥
Issued Date
2021
Awarded Date
2021. 8
Type
Dissertation
URI
https://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10216
https://oak.jejunu.ac.kr/handle/2020.oak/23833
Alternative Author(s)
Kim, Kyoung Ok
Affiliation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교육행정및교육컨설팅전공
Advisor
이인회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의 문제 3
3. 연구의 제한점 3
Ⅱ. 이론적 배경 5
1. 학교의 개념 5
1) 학교의 정의 5
2) 학교에 대한 관점 9
2. 우리나라 학교 정책 10
1) 시대별 학교 정책의 변화 11
2) 학교 수 변천의 추이 17
3. 학교 변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23
1) 교육정책적 요인 23
2) 사회적 요인 25
3) 재정적 요인 26
4. 선행연구 고찰 27
Ⅲ. 연구방법 29
1. 문헌연구 29
2. 면접조사 30
1) 연구 대상 30
2) 면접조사 내용 32
3) 자료 수집 및 분석 32
3. 연구모형 37
Ⅳ. 연구 결과 38
1. 제주특별자치도의 학교 수 변천 38
1) 제주특별자치도의 학교 수 변천의 배경 38
2) 제주특별자치도의 학교 수 변천의 시기 구분 43
2. 학교 변천의 영향요인 47
1) 태동기(19451948) 47
2) 적응기(19491962) 53
3) 양적 확장기(도약기)(19631968) 56
4) 정착기(19691991) 59
5) 질적 성숙기(19922019) 61
6) 정리 68
Ⅴ. 결론 및 제언 70
1. 요약 70
2. 논의 및 결론 71
1) 연구문제 1: 제주특별자치도 학교 수 변천 71
2) 연구문제 2: 학교 변천의 영향요인 74
3. 제언 77
참고문헌 79
ABSTRACT 82
전국 학교학생교원 수 85
제주특별자치도 학교학생교원 수 88
면담 질문지 91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김경옥. (2021). 제주특별자치도의 학교 변천과 그 영향요인 분석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nd Educational Consulting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