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원격수업 운영형태에 따른 학습자의 성취도 및 만족도 분석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nalysis of Learner's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by Remote Class Operation Type : Focused on middle school math subjects
Abstract
코로나 19로 인하여 교육계는 이전에 경험하지 않았던 새로운 교육 방법인 원격수업을 시작하게 되었다. 일선 교사들은 원격수업을 갑작스럽게 맞이하게 되어 당황하였지만 또다른 가능성을 보고 저마다의 방법으로 새롭게 도전하고 있다.
2020년 한 해동안 원격수업을 하면서 수업의 질 문제, 학생들의 학력격차 심화 문제, 정서 불안 문제 등 해결해야할 과제들이 많다. 본 연구는 원격수업의 대표적인 수업 모델인 실시간 쌍방향 수업과 콘텐츠 활용 수업이 학습자의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과 만족도를 분석하여 보다 효과적인 시스템을 찾아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첫째, 원격수업의 운영형태에 따라 학습자의 성취도는 달라지는가?
둘째, 원격수업의 운영형태에 따라 학습자의 수업에 대한 만족도는 어떠한가?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중학교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시간 쌍방향 수업과 콘텐츠 활용 수업은 학습자의 수준에 따라 성취도가 다르게 영향을 받았다. 80%이상 상위권의 경우 실시간 쌍방향 수업에 비해 콘텐츠 활용 수업의 성취도가 높았고, 60%이하 하위권의 경우 그와 반대로 실시간 쌍방향 수업이 콘텐츠 활용 수업의 성취도 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는 학습자의 수학 성적 수준에 따라 원격수업의 운영형태를 따라 다르게 적용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 준다.
둘째, 원격수업의 시스템에 대한 만족도는 편리성에서는 비슷하였으나 교사‧학생 간의 피드백은 콘텐츠 활동 수업이 게시판이나 SNS 등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나 실시간으로 소통할 수 있는 실시간 쌍방향 수업이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 되었다.
셋째, 원격수업 형태에 따른 교사의 교수‧학습 방법에 따른 만족도는 약간의 차이이기는 하지만 콘텐츠 활용 수업이 실시간 쌍방향 수업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반면, 학습 자료의 흥미성이나 학습 상태 관리에 대한 설문은 실시간 쌍방향 수업이 콘텐츠 활용 수업보다 높게 나타났다. 실시간 쌍방향 수업의 대표적인 프로그램인 ZOOM에서 수업 내용을 전달하는 화면 공유 기능이 컴퓨터의 사양에 따라 원활하지 않을 때도 있으나 대체적으로 실시간 쌍방향 수업에 대한 선호도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원격수업에서 학습자의 수업 태도에 대한 만족도는 실시간 쌍방향 수업이나 콘텐츠 활용 수업이 비슷하였다. 또한 수업 집중도는 실시간 쌍방향 수업보다 콘텐츠 활용 수업이 더 높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알 수 있는 사실은 학습은 원격수업의 수업형태에 따라 좌우되는 것보다는 학습자 자신의 의지가 더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원격수업이 단순한 지식 전달이 아니라 학습자 개개인의 수준에 맞게 제공되고 학습공간이 학교뿐만 아니라 학교 밖으로 확장되는 미래 교육에 한 발짝 다가서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
Teachers started a new teaching method, a remote teaching method, because of Corona 19. The teachers were very embarrassed by the sudden start of the remote class. However, teachers are challenging remote classes in their own ways, seeing new possibilities.
In 2020, there are many tasks to solve such as quality of classes, educational gap of students, and emotional instability while taking remote classes. This study tries to solve various problems that arise from remote classes by analyzing the impact and satisfaction of real-time interactive classes and content-oriented classes, which are representative models of remote classes, on learners' performance.

First, does the learner's academic level vary depending on the type of operation of the remote class?
Second, what is the learner's satisfaction with the class according to the type of operation of the remote class?
Accordingly, the study surveyed middle school seniors an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Real-time interactive classes and content-oriented classes were affect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learner's level. the top students of More than 80 percent performed better in content-oriented classes than in real-time interactive classes. students in the lower ranks of Less than 60 percent performed better in real-time interactive classes than content-oriented classes. This requires different types of operation of remote classes to be applied depending on the learner's math level.
Second, satisfaction with the remote class system is similar. Real-time interactive classes, however, have better feedback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Third, as a result of the teacher's satisfaction with the contents of the class, the content-oriented class was slightly higher than the real-time interactive class. The results of the interest in learning materials and satisfaction with teachers' management of students showed higher real-time interactive classes. Zoom has a weakness. However, students were found to like class by zoom.
Fourth, the survey of the learner's class attitude in remote classes was similar in real-time interactive classes or content utilization classes. In addition, the concentration of classes was higher in content-oriented classes than in real-time interactive classes. What this shows is that the learner's own will is more important than learning depends on the type of class in remote classes.

Remote classes should not simply teach knowledge, but should be provided at the learner level. It is also hoped that future education, in which learning space is expanded beyond school, will begin.
Author(s)
김은숙
Issued Date
2021
Awarded Date
2021. 2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jejunu.ac.kr/handle/2020.oak/23847
Alternative Author(s)
Kim, Eun Suk
Affiliation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수학교육전공
Advisor
최병진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 문제 2
3. 세계 각국의 원격수업 2
4. 연구의 제한점 4
Ⅱ. 이론적 배경 5
1. 원격수업의 정의 및 역사적 발달 5
2. 원격수업의 형태 7
3. 원격수업의 학생 평가 10
1) 평가유형 Ⅰ 11
2) 평가유형 Ⅱ 11
3) 평가유형 Ⅲ 12
4) 평가유형 Ⅳ 13
4. 원격수업 학생평가의 절차 14
1) 평가 관련 규정 정비 15
2) 교육과정 분석 및 평가 계획 수립 16
5. 원격수업과 등교수업의 병행 방법 19
Ⅲ. 연구방법 및 절차 21
1. 연구대상 21
2. 연구절차 21
1) 연구방법 21
2) 연구일정 23
3. 분석도구 23
Ⅳ. 연구결과 및 분석 24
1. 원격수업 운영 후 성취도 24
2. 원격수업 시스템 만족도 25
3. 원격수업 내용 만족도 25
4. 원격수업 학업 수행 만족도 26
Ⅴ. 결론 및 제언 28
1. 결론 28
2. 제언 31
참고문헌 33
Abstract 34
부록1 36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김은숙. (2021). 원격수업 운영형태에 따른 학습자의 성취도 및 만족도 분석
Appears in Collections:
Elementary Education >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