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한국 세종학당과 중국 공자학원의 모국어 교재 비교 분석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The Comparative Analysis on The Mother Language Textbook of Sejong School and Confucius Institute
Abstract
본 연구는 한․중 교류의 핵심이라 볼 수 있는 양국의 언어교육에 초점을 맞추어 언어교육으로 대표되는 두 기관인 공자학원과 세종학당의 모국어 교재 비교를 통해 차이점을 분석하고 두 기관의 장단점이 비교하여 두 기관의 발전이 위해 건설적인 건의를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세종학당과 공자학원의 모국어 교재분석 준거를 어떻게 설정할 수 있는가?
둘째, 세종학당과 공자학원의 모국어 교재분석 결과 및 그것이 주는 시사점은 무엇인가?

본 연구는 선행연구들의 검토 및 다양한 차원에서의 정리를 토대로 한국의 세종학당과 중국의 공자학원의 모국어 교재 비교 분석하여 그 결과를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두 기관에 적합한 제언 제안을 목표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세계 각국의 대외 자국어교육에 관한 국내의 다양한 연구들 중에서도 한국의 세종학당과 중국의 공자학원의 비교 분석을 주요 범위로 한정한다. 이에 두 기관과, 기관 관련된 정부 부처들의 자료들과 세종학당과 공자학원의 비교연구에 관련이 있는 선행연구자들의 문헌을 참고하여 연구를 실시하고자 한다. 교재분석의 필요성과 기존 연구에 나타난 교재분석의 틀을 살펴보았다. 분석 틀을 선정한 후에 한국의 세종학당과 중국의 공자학원 현재 쓰고 있는 교재들이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얻게 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문화의 매력을 최대화할 수 있도록 '한류 열풍'을 이용하여 교재의 흥미를 높이도록 한다.
둘째, 교재에서 문법에 대한 설명을 더 상세하게 제시해야 한다.
셋째, 교재는 정기적으로 검증하고 수정해야 한다.
넷째, 교재의 내용은 실생활을 중심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다섯째, 학습자의 배경지식을 최대한 활성화할 수 있도록 교재를 개발해야 한 다.
여섯째, 한국 문화와 문학에 대한 내용을 추가해야 한다.
다음으로 중국 공자학원 교재의 개선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외국 학습자를 위해 개발된 중국어교재는 외국 현지화를 고려하여 중국에 있는 國際漢語教學通用課程大綱을 참고해야 한다.
둘째, 수업 현장과 같은 교재를 인터넷에서도 사용할 수 있게 개발해야 한 다.
셋째, 교재의 집필 방식을 개선해야 한다. 국내 학자들은 중국어에 관한 전문 지식을 바탕으로 교재를 집필할 수 있다.
넷째, 교재 내용 중 발음과 듣기 부분을 보완해야 한다.
다섯째, 교재 중에 중화 문화, 특히 문학, 예술에 대한 부분이 부족하다.
여섯째, 교재 사용 언어를 개선해야 한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향후 세종학당과 공자학원의 모국어 교재가 각각의 언어를 습득하는데 좀 더 발전적인 방향으로 개선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analyzes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institutions represented by language education, Sejong School and Confucius Institute, and proposes constructive suggestions for the development of the two institutions by comparing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the two institutions.
The research issues to achieve this research objective were:

First, how can we set the criteria for analyzing native language textbooks of Sejong School and Confucius Institute?
Secondly, what ar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native language textbooks of Sejong School and Confucius Institute and their implications?

This study aims to compare and analyze native language textbooks between Sejong School in Korea and Confucius Institute in China based on the review of prior studies and theorem in various dimensions, and to conduct the study with the aim of suggesting suitable for the two institutions. This study limits the comparative analysis of Sejong School in Korea and Confucius Institute in China to the main scope among various domestic studies on foreign language education from around the world. Therefore, we would like to conduct the research by referring to the materials of the two institutions and government departments related to the institutions and the literature of the preceding researchers related to the comparative research of Sejong School and Confucius Institute The result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o maximize the appeal of Korean culture, the Korean Wave is used to increase the interest of textbooks.
Second, a more detailed description of grammar should be presented in the textbook.
Thirdly, textbooks should be verified and revised regularly.
Fourth, the contents of the textbook should be organized around real life.
Fifth, textbooks should be developed to maximize learners' background knowledge.
Sixth, we need to add contents about Korean culture and literature.

Next, the improvements in the Confucius Institute textbook are as follows:

First, Chinese textbooks developed for foreign learners should be referred to the Chinese language in China in consideration of foreign localization.
Second, textbooks such as class sites should be developed so that they can be used on the Internet.
Thirdly, we need to improve the way textbooks are written. Domestic scholars can write textbooks based on their expertise in Chinese.
Fourth, the pronunciation and listening parts of the textbook should be supplemented.
Fifth, there is a lack of Chinese culture, especially literature and art, among textbooks.
Sixth, we need to improve the language of using textbooks.

This study is expected to help analyze native language textbooks of Sejong School and Confucius Institute to provide specific data to research scholars later.
Author(s)
유판
Issued Date
2021
Awarded Date
2021. 8
Type
Dissertation
URI
https://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10290
https://oak.jejunu.ac.kr/handle/2020.oak/23853
Alternative Author(s)
Liu, Pan
Affiliation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교육행정및교육컨설팅전공
Advisor
김대영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 내용 및 연구 문제 3
Ⅱ. 이론적 배경 4
1. 세종학당 4
(1) 세종학당 재단 4
(2) 세종학당의 설립 목적 5
(3) 세종학당의 현황 7
2. 공자학원 8
(1) 중국 국가한판 8
(2) 공자학원의 설립 목적 9
(3) 공자학원의 현황 10
3. 세종학당과 공자학원의 공통점 및 차이점 11
4. 교재분석 선행연구 검토 13
Ⅲ 세종학당과 공자학원 교재의 비교 분석 17
1. 세종학당과 공자학원 교재 17
(1) 세종학당의 교재 17
(2) 공자학원의 교재 21
2. 교재분석 틀 설정 24
Ⅳ 세종학당과 공자학원 교재분석의 결과 27
1. 세종학당 교재분석 결과 27
2. 공자학원 교재분석 결과 39
Ⅴ 결론 51
참고문헌 57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유판. (2021). 한국 세종학당과 중국 공자학원의 모국어 교재 비교 분석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nd Educational Consulting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