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서사 텍스트를 활용한 독서치료 방안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reading therapy method using narrative text
Abstract
본 연구는 '치료'의 의도를 가지고 교사가 학습자를 돕기 위해서 인지언어학의 이론을 독서치료 과정에 적용하여 서사 텍스트를 유형화하고 분석하여 독서치료의 방안을 제시하는 연구이다. 서사 텍스트에서 서사(敍事)의 본질과 핵심은 인간관계에 있다. 그러므로 독서치료는 서사 텍스트를 통해 다양한 등장인물을 만나고 '나'의 서사를 점검함으로써 건강한 인간관계를 회복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책을 읽는 것은 우리의 뇌가 활기차게 운동을 하는 과정이며 반복된 읽기는 심적 변화에도 영향을 주어 학습자의 삶을 변화시킬 수 있다.
국내 독서치료 연구는 2000년을 시작으로 문헌정보학, 아동학, 교육학 순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발달적, 예방적 독서치료 유형이 주를 이루어 왔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학문 간의 연계가 잘 이루어지지 않아, 독서치료와 관련한 학위논문은 간호학과, 아동학과, 문헌정보학과, 교육대학의 상담심리학과에서 소수 배출되고 있는 정황이다. 최근에는 독서의 효용성이 위기 상황을 극복해야 하는 새로운 시대적 요청과 맞물려 의학적 가치로 부각되고 있다. 1인 미디어 시대에 텍스트의 기능이 상실한 것처럼 보이지만 독서의 의미를 치료의 관점에서 접근하는 연구는 끊임없이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선행연구의 현실을 파악하여 본 연구에서는 인지언어학의 이론을 독서치료와 연계하고 나아가 학교 교육 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수업방안을 제시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전체 텍스트 내에서 치료 요소에 해당하는 부분들은 인지언어학의 개념적 혼성이론과 래내커의 주관화 모형을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제Ⅱ장에서는 Gilles Fauconnier와 Mark Turner가 개발한 개념적 혼성 이론의 기본 요소와 본질 및 구성원리를 파악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개념적 혼성은 강력한 인지 과정을 이용해 언어의 의미구성 방식을 다루는 인지언어학의 한 가지 방법론이다. 먼저 개념적 혼성은 입력공간 구축, 공간횡단 사상, 투사로 이루어지며 이때 입력 공간들 사이에서 부분적 공간횡단 사상이 이루어지는데, 이것은 다시 입력공간에 공통된 총칭공간에 의해 한정된다. 그 다음에는 입력공간의 요소들이 혼성공간에 선택적으로 투사되어 새로운 발현구조가 형성되는데, 이를 개념적 통합 연결망이라 하며 이러한 발현구조는 의미구성의 실마리가 되어 입력공간, 총칭공간, 혼성공간이라는 하나의 망을 형성한다. 그리고 독서치료의 인지적 기반 이론인 래내커의 주관화 모형으로, 주관성의 개념을 객관성과 관련해 설명하고, 주관화 모형을 제시하여 독서치료의 과정을 설명하였다. 주관화에 이르는 후기모형은 '초기 객관적인 형상➝약화1➝약화2➝주관화' 과정으로 나아가며 초기 학습자의 태도나 변화에 주목할 때 내면의 '갈등'은 점차 약화의 과정을 거쳐 초점화자는 '나'에 도달한다. 직접 범위 안에서 개념화자가 빠져나왔을 때 치유의 효과가 있다. 다음 장에서 연구자는 전체 텍스트 내에서 치료요소에 해당하는 부분을 적접범위로 정하여 학습자의 상황과 일치시켜 볼 것이다.
제Ⅲ장에서는 독서치료를 위한 텍스트를 상상력 확장을 위한 전래동화, 관계회복을 위한 가족동화, 인성교육을 위한 성장소설까지 유형별로 구분하여 각각의 치료적기능과 치료과정을 전개하였다. '전래동화' 두 편은 개념적 혼성이론에 적용하고 치료방향을 설정하였다. 이를 위하여 가족동화의 대표 텍스트, '너도 하늘 말나리야'와 성장소설의 대표 텍스트, '자전거 도둑'은 래내커의 주관화 모형에 대입시켜 보았다. 그 결과 동일시, 카타르시스, 통찰의 독서치료 원리가 통합의 단계에 이르고 결국 학습자에게 공감을 불러 일으켜 문제해결능력까지 기를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학습자들이 초기형상에서 '왜, 나에게만 이런 일이 일어나지', '왜, 나만 이렇게 힘든 걸까'라고 자기의 당면 상황을 객관적으로만 해석하던 학습자는 적극적인 심적 활동 과정에 참여하면서 갈등요소가 약화되어 주관화의 단계에 도달한다.
제Ⅳ장에서는 Ⅱ장에서 논의한 독서치료의 원리와 독서치료에 적합한 지도방안을 구안하여 학습자에게 동일시, 카타르시스, 통찰을 촉진하는 발문을 구성하였다. 적절한 발문은 치료적인 효과를 발휘하고 체계적인 발문은 학습자의 반응을 쉽게 이끌어낼 수 있다. 발문유형은 텍스트를 중심으로 한 발문 유형, 텍스트와 학습자의 상호작용 과정에 기초한 발문 유형, 심리역동에 기초한 발문 유형까지 책을 읽음으로써 느낌과 깨달음으로 이어져 치료적 효과를 발휘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제Ⅴ장은, 독서치료적 관점이 학교 현장에서 유의미하게 적용될 수 있는 사례들을 마련하였다. 연구자의 경험에 비추어 볼 때 독서치료는 교사와 학습자가 일대일 관계로 만났을 때 가장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교육현장에서는 교사와 학습자가 일대일로 만날 수 없다는 한계점이 있다. 그러므로 학교 교육에 독서치료적 관점을 적용하여 독서치료적 교수-학습 방법을 구안해 내기 위해서는 일대다(1:多)의 수업형태에서도 치유적 기능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유연하고 신축성 있는 텍스트를 모색해야 한다.
This study aims to suggest a method of reading therapy by categorizing and analyzing narrative texts applying the theory of cognitive linguistics to the reading therapy process for teachers to help learners with the intention of 'treatment'. In the narrative text, the essence and core of the narrative is the human relationship. Therefore, reading therapy can be said to restore healthy human relationships by meeting various characters through narrative texts and examining the narrative of 'I'. Reading a book is a process in which our brains exercise vigorously, and repeated reading can change the learner's life by affecting mental changes as well. The study of reading therapy in Korea has been increasing in the order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children's studies, and education since 2000, and developmental and preventive reading therapy types have been the main focus. However, in Korea, the link between disciplines is not well established, so the dissertations related to reading therapy are being produced in small numbers in the Department of Nursing, Children's Studies,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and Counseling Psychology at the University of Education. Recently, the utility of reading has been highlighted as a medical value in line with the demands of a new era to overcome crisis situations. Although it seems that the function of text has been lost in the era of single-person media, studies that approach the meaning of reading from the perspective of treatment are constantly in progress. By grasping the reality of these previous studies, this study focused on linking the theory of cognitive linguistics with reading therapy, and furthermore, suggesting a lesson plan that can be used in the school education field. In the whole text, the parts corresponding to the therapeutic elements were focused on the conceptual hybrid theory of cognitive linguistics and Laneker's subjectivization model. In Chapter II, the basic elements, essence, and compositional principles of the conceptual hybrid theory developed by Gilles Fauconnier and Mark Turner were identified and analyzed. Conceptual hybridization is a methodology in cognitive linguistics that deals with the way in which language constructs meaning using powerful cognitive processes. First, conceptual hybridization consists of input space construction, trans-space mapping, and projection. At this time, partial trans-space mapping is made between input spaces, which is again limited by the generic space common to the input space. After that, the elements of the input space are selectively added to the hybrid space to form a new expression structure, which is called a conceptual integrated network. This expression structure serves as a clue to construct meaning and becomes a single network of input space, generic space, and hybrid space to form. Then, the concept of subjectivity was explained in relation to objectivity with Laneker's subjectivization model, which is the cognitive-based theory of reading therapy, and the process of reading therapy was explained by presenting a subjectivization model. The late model leading to subjectivization proceeds to the process of 'initial objective form➝weak1➝ weak2➝subjectivity'. There is a healing effect when the conceptualizer comes out of direct scope. In the next chapter, the researcher will set the part corresponding to the treatment element within the entire text as the direct range and try to match it with the learner's situation. In Chapter III, each type of text for reading therapy was divided into traditional fairy tales for imagination expansion, family fairy tales for relationship recovery, and growth novels for character education, and each therapeutic function and treatment process was developed. Part 2 of 'Traditional Fairy Tales' was applied to the conceptual hybrid theory and set the treatment direction. For this purpose, the representative text of a family fairy tale, 'You're the sky, too' and the representative text of a growth novel, 'Bicycle Thief', were substituted into Laneker's subjectivization model.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principles of reading therapy of identification, catharsis, and insight reached the stage of integration, and eventually evoked empathy in the learner to develop problem-solving ability. Learners who objectively interpret their immediate situation, such as 'why, only me,' and 'why, is it so difficult for me' in the initial form reach this stage. In Chapter IV, the principles of reading therapy discussed in Chapter II and guidance methods suitable for reading therapy were devised, and a questionnaire was composed to promote identification, catharsis, and insight in learners. Appropriate questioning has a therapeutic effect, and systematic questioning can easily elicit the learner's response. The purpose of the questionnaire type was to show a therapeutic effect by leading to feelings and realization by reading a book, from the questionnaire type based on psychological dynamics, the question type centered on the text, and the question type based on the interaction process between the text and the learner. Chapter V prepares cases in which the reading therapy perspective can be applied meaningfully in the education field. Based on the researcher's experience, reading therapy can be most effective when teachers and learners meet in a one-to-one relationship, but there is a limitation in that teachers and learners cannot meet one-on-one in the educational field. Therefore, in order to devise a reading therapy teaching-learning method by applying the reading therapy perspective to school education, we need to find a widely applicable and flexible text that can effectively utilize the healing function even in a one-to-many (1:many) class format
Author(s)
조영숙
Issued Date
2021
Awarded Date
2021. 8
Type
Dissertation
URI
https://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10312
https://oak.jejunu.ac.kr/handle/2020.oak/23863
Alternative Author(s)
Cho, Young Sook
Affiliation
제주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국어교육전공
Advisor
송현정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선행 연구 검토 4
3. 연구 범위 및 방법 11
Ⅱ. 독서치료를 위한 이론적 전제 16
1. 독서치료의 개념과 원리 16
1.1. 독서치료의 개념 16
1.2. 독서치료의 원리 18
2. 독서치료의 과정 22
2.1. 하인즈와 하인즈 베리 23
2.2. 돌 앤 돌(Doll & Doll) 25
2.3. 통합적 문학치료 27
3. 독서치료의 인지언어학적 적용 이론 28
3.1. 개념적 혼성 이론 모형 28
3.2. 후기 주관화 이론 모형 35
Ⅲ. 독서치료의 실행 요인 및 작동 원리 41
1. 독서치료의 실행 요인 42
1.1. 촉진자로서의 교사 42
1.2. 대상으로서의 학습자 44
1.3. 자료로서의 서사 텍스트 46
2. 독서치료의 작동 원리 47
2.1. 교사의 독서치료 발문 48
2.2. 학습자의 치료적 갈등 양상 50
2.3. 서사 텍스트의 유형과 치료적 기능 54
Ⅳ. 서사텍스트를 활용한 독서치료의 실제 108
1. 교사 발문 중심의 지도 방안 108
1.1. 텍스트 중심 발문 지도 110
1.2. 상호작용 중심 발문 지도 112
1.3. 심리역동 중심 발문 지도 115
2. 학습자 활동 중심의 지도 사례 120
2.1. 발달적 치료 사례 123
2.2. 예방적 치료 사례 141
Ⅴ. 결론 161
참고문헌 164
부록 176
Abstract 183
Degree
Doctor
Publisher
제주대학교 대학원
Citation
조영숙. (2021). 서사 텍스트를 활용한 독서치료 방안 연구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Korean Language Educ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