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제주도 돌담의 지역별 특성과 축조방식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formation style of Jeju stone walls
Abstract
제주도는 온통 돌이다. 제주도 사람들에게 돌은 고통이면서 또한 축복의 선물이 었다. 본 연구에서는 제주의 다양한 돌 문화 중 돌담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 다. Ⅱ장 제주도 돌담의 지역별 특성에서는 제주도의 대표적인 암질인 현무 암과 조면암의 특성과 지역별 돌담의 형태적 특징이 비교적 뚜렷한 일부 지 역들을 대상으로 형태의 차이와 축조방식을 비교하였다. 특히 남원읍 신례리 의 돌담에 나타난 시대별 돌담형태의 변천을 정리해 보았다. Ⅲ장 제주도 돌 담의 용도별 특성에서는 용도에 따라 축조된 다양한 돌담과 그 속에 들어 있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해당 지역을 방문하여 그 지역 주민과의 인터뷰를 통해 조사하였다. Ⅳ∼Ⅴ장에서는 돌담 쌓기의 대표적인 양식인 외담 쌓기와 겹담 쌓기 위주로 돌담 축조 방식을 정리했다. 오래전 돌담 쌓는 일을 했던 원로 석공을 대상으로 축조기술을 수집하고 실제 돌담을 쌓는 과정에서 습 득한 기술적 노하우와 축조기술 관련 문헌들을 참고하여 제주도에 맞는 축 조기술을 정리하고자 노력하였다. 최근 들어 제주도는 급격한 도시화와 농촌인구의 고령화와 농업인구의 감 소, 그리고 농업기술의 발전과 장비의 기계화, 그리고 돌담에 대한 취향의 변화로 인해 오래된 돌담들이 빠르게 사라지고 있다. 영국은 이미 50년 전부 터 자국의 전통돌담을 보존하기 위해 체계적인 노력을 진행하고 있다. 이제 제주도도 체계적인 연구와 보존 노력을 해나가야 하겠다.
Jeju Island is full of stones. Stones have been at once a pain and a bliss to Jeju people. That character of Jeju stone wall, among many facets of stone culture, is the main focus of the research. Following the general overlook on Jeju stone wall in chapter I, chapter II deals with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Jeju stone walls, tracing the changes of stone walls in form and construction style to each region's distinct rock formation, such as of basalt or of trachyte. The case of stone wall formation changes in regions where such differences are remarkable, for example, Namwon-eup Silley-ri, has been rendered in detail. Chapter III, titled "the Uses and the Differences", contains various forms of stone walls in accordance with their uses and many connected stories with the stone walls which are collected through interviews with the local people of relevant regions. In Chapter IV and Chapter V, stone wall formation styles have been researched with the focus on the two representative stone wall formation styles, i.e. the single file formation style and the double file formation style. Many resources have been consulted to find and establish characteristic construction of Jeju stone wall formation skills, including interviews with the stone wall builders who have been well experienced in the field, the direct know-hows gathered from the field practice and various kinds of related records. Recently the amount of Jeju stone wall has drastically decreased due to many concurrent reasons, including rapid urbanization, aging of farm households, decrease of farmers, agricultural mechanization and technology development, and shift of popular trend toward the stone wall formation. It is more than 50 years since England started its plan to preserve its traditional stone walls. It is beyond argument that it is now imperative for Jeju Island to do a systematic research of the Jeju stone walls and start the endeavor to preserve its own stone wall heritage.
Author(s)
조환진
Issued Date
2019
Awarded Date
2019. 2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08945
https://oak.jejunu.ac.kr/handle/2020.oak/23870
Alternative Author(s)
Cho, Hwan Jin
Affiliation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지리교육전공
Advisor
오상학
Table Of Contents
Ⅰ. 서 론
1.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1
2. 선행연구 검토 3
3. 연구내용 및 방법 4
Ⅱ. 제주도 돌담의 지역별 특성 6
1. 제주도의 암질 6
1) 현무암 7
2) 조면암 9
2. 돌담의 지역별 특성 9
1) 지역별 울담의 차이 9
2) 지역별 밭담의 차이 13
3) 지역별 축담의 차이 16
3. 돌담의 시대별 변화(남원읍 신례리 울담) 19
1) 1970년대 19
2) 1970년대 2000년대 19
3) 2000년대 20
Ⅲ. 제주도 돌담의 용도별 특성 22
1. 주거용 돌담 22
1) 집담(축담) 22
2) 울담 28
3) 우영담 30
4) 통싯담 31
5) 올렛담 34
2. 농업용 돌담 35
1) 밭담 35
2) 잣담과 잣질 40
3) 과수원담 42
4) 산담 43
5) 잣성 45
3. 어로용 돌담 47
1) 원담 47
2) 포구담(성창담) 49
3) 불턱 52
4. 기타 돌담 53
1) 물통담 53
2) 동굴 속 돌담 56
Ⅳ. 돌담 축조를 위한 준비과정 57
1. 돌담 축조연장 57
1) 돌챙이 57
2) 축조연장 58
2. 날씨와 안전장비 69
1) 날씨 69
2) 안전장구 및 도구 70
3. 축조를 위한 기초작업 71
1) 돌 고르기 71
2) 돌 쪼개기 73
3) 돌 다듬기 75
Ⅴ. 돌담의 유형별 축조방식 76
1. 외담 쌓기 76
1) 외담의 종류 76
2) 돌 운반과 배치하기 76
3) 기초돌 놓기 77
4) 돌 올리기 81
5) 마무리돌 놓기 84
2. 겹담 쌓기 86
1) 곁담의 종류 86
2) 돌 운반과 배치하기 86
3) 기초돌 놓기 87
4) 돌 올리기 88
5) 마무리 돌 놓기 92
Ⅵ. 결론 및 시사점 94
참고문헌 97
Abstract 99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조환진. (2019). 제주도 돌담의 지역별 특성과 축조방식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Geography Educ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