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교육과정 내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운영경험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Experience in running school sports club activities in curriculum : For five years of a physical education teacher, a school sports club Autoethnography
Abstract
2012년 나라 전체가 학교폭력문제로 몸살을 앓았다. 학교폭력문제는 곧 인성교육의 중요성으로 전환되었고, 체육활동을 통한 인성교육 정책으로 다양하게 실천되었다. 2012년 7월 중학교 정규 교육과정 안에서 의무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교육과정 내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이 전면 시행하였다. 갑작스런 시행으로 학교현장에서는 다양한 문제점이 대두되었고, 학교 현장에서는 1년 단위로 업무 분장이 정해지기 때문에 연속선상에서 연구한 경우는 찾아보기 힘들었다. 이에 본 연구자는 교육과정 내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담당자로써 운영했던 5년 동안(2014~2018)의 경험을 자문화기술지를 통해 분석하고 성찰하여, 교육과정 내 학교스포츠클럽이 현장에 잘 정착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하는 것이다. 5년 동안 시행착오를 통해 얻어진 자료를 있는 그대로 표현하기 위해서 자문화기술지를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수집은 2014년 3월부터 2018년 10월까지 약 5년간 이루어졌다. 자료 수집은 연구자의 기억자료 및 자기 성찰, 문서자료 조사, 심층면담, 참여관찰을 통해 기초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에는 장소, 상황, 시간 자료출처를 표기하여 색인화 하였다. 또한 귀납적 범주 분석을 통해 자료를 분석하고 연구자의 주관성을 최소화하고, 신뢰성과 타당성 확보를 위해 다각도 측정법, 동료 간 협의, 구성원 간 검토, 반성적 주관성을 통해 자료의 진실성을 높였다.
교육과정 내 학교스포츠클럽 프로그램 변화로 첫 번째로, 3학년 체육 시간 시수 증가로 첫 발을 내딛었고, 과감하게 학년구성을 반으로 나눠 시스템을 조정하였다. 최선을 다해 종목을 선정하고, 활동 장소를 정확하게 지정하였으며, 체육시간과 장소가 겹치지 않도록 사전에 조율을 하였다. 그럼에도 겹치는 경우 무조건 교육과정 내 학교스포츠클럽을 우선 배정하였다.
교육과정 내 학교스포츠클럽 인적요소 변화로 강사 선생님을 최우선 선정하였다. 공정하게 강사를 선발하였고, 성별 스포츠강사 선생님과 교사 자격증 여부 비교를 통해 강사선생님들의 역량을 확인하였다. 강사 선생님들이 가장 선호하는 학생 평가권을 주도록 환경을 구성하였고, 무엇보다 강사선생님과 교사와의 레포형성을 위해 무엇보다 중점을 두었다.
체육교사가 교육과정 내 학교스포츠클럽을 어떻게 바라보고, 어떻게 노력하는가에 따라서 결정 될 수 있는 부분이 많았다. 매년 똑같이 해 오던 방식으로 진행하고, 교육과정 내 학교스포츠클럽 강사가 있으니까 알아서 하겠지 라는 생각을 한다면 틀림없이 교육과정 내 학교스포츠클럽은 정상화 될 수 없다. 스포츠강사들과 체육교사는 결국 한배를 타고 같은 목표를 향해 가고 있다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체육교사가 감당하고 배려해야 할 부분이 많았다. 지금 당장 체육교사로서 스포츠강사 선생님들의 처우를 논하기는 아직 어렵다. 하지만, 교육과정 내 학교스포츠클럽이 정상화 되고, 많은 교육적 효과를 보여준다면 스포츠강사 선생님들의 정규직화도 분면 가능한 일이라고 생각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연구자의 학교대상으로 분석하였으므로, 다른 지역 학교, 학교 규모가 다른 교육과정 내 학교스포츠 클럽 운영에 관한 자문화기술지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공식적인 평가 근거를 만들어 교육과정 내 학교스포츠클럽 또한 엄연한 중요한 수업이라는 인식을 갖도록 해야 하겠다. 마지막으로 전국 교육과정 내 학교스포츠클럽 운영에 관한 모범 사례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해야 하겠다.
In 2012, the whole country suffered from school violence. The issue of school violence was soon changed to the importance of personality education, and it was variously practiced as a personality education policy through physical activity. In July 2012, the 'School Sports Club in Curriculum Activities' was fully implemented so that it could be operated compulsively within the regular curriculum of the middle school. Sudden enforcement led to various problems at the school site, and it was hard to find a case where the research was conducted on a continuous basis because the work assignments were determined every year on the school site. Therefore, this researcher analyzes and reflects the experience of the five years (2014 ~ 2018) which was operated as a school sports club activity officer in the curriculum through the self-culture technical paper, so that the school sports club in the curriculum can settle well It is used as basic data. In order to express the data obtained through trial and error for 5 years as it is, we used the Autoethnography
Data collection of this study took about 5 years from March 2014 to October 2018.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researchers' memorabilia, self - reflection, document research, in - depth interviews, participation observation, and the collected data were indexed by indicating place, situation, and time data source. In addition, we analyzed the data through inductive category analysis, minimized the subjectivity of the researcher, and increased the authenticity of the data through multi-angle measurement, peer-to-peer consultation, inter-member review, and reflective subjectivity to ensure reliability and validity.
As a result of the change in the school sports club program in the curriculum, the first step was to increase the number of hours of physical education time in the third grade, and drastically adjusted the system by dividing the grade structure in half. We selected the items with the best effort, specified the activity place precisely, and tuned in advance so that the physical education time and place do not overlap. However, in case of overlapping, the school sports club in the course was unconditionally assigned.
In the curriculum, the lecturer teacher was given top priority due to the change of the human element of the school sports club. The instructor was selected fairly and the competence of the lecturer teachers was confirmed by comparing the qualification of the teacher with the teacher of the sports lecturer. I set up the environment to give lecturers teachers the most favorable student evaluation rights, and above all, I focused more on the formation of the lectures with teachers and teachers.
There were many factors that could be decided depending on how th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looked at the school sports club in the curriculum and how they tried. If you go to the same way every year and think that you will take care of it because there is a school sports club instructor in the curriculum, the school sports club in the curriculum can not be normalized. Sports instructors and physical education teachers are on their way to the same goal. In order to do that, there were many things that physical education teachers should take care of. It is still difficult to discuss the treatment of sports instructors as physical education teachers right now. However, if the school sports club in the curriculum is normalized and shows a lot of educational effects, it seems that the regularization of the sports lecturer teachers is also possible
Lastly, in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literature on the operation of school sports clubs in different local schools and curriculums of other schools because it is analyzed as research subjects. In addition, we should make a formal evaluation basis so that the school sports club in the curriculum is also recognized as a serious and important class. Finally, we should share best practices on the operation of school sports clubs in national curricula.
Author(s)
고승필
Issued Date
2019
Awarded Date
2019. 2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08950
https://oak.jejunu.ac.kr/handle/2020.oak/23876
Alternative Author(s)
Koh, Seung Pil
Affiliation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Advisor
박형란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3
3. 연구의 문제 4
4. 연구의 제한점 4
5. 용어의 정의 4
Ⅱ. 이론적 배경 6
1. 교육과정 내 학교스포츠클럽 이해와 난제 6
1) 학교스포츠클럽 6
2) 교육과정 내 학교스포츠클럽 7
3) 학교스포츠클럽과 교육과정 내 학교스포츠클럽 비교 8
4) 교육과정 내 학교스포츠클럽 난제 11
5) 교육과정 내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선행연구 13
2. 자문화기술지의 이해 14
1) 자문화기술지 개념 14
2) 자문화기술지 유형 15
3) 자문화기술지 글쓰기와 한계 16
4) 체육학에서 자문화기술지 17

Ⅲ. 연구방법 19
1. 연구자 19
2. 연구 장소 25
3. 자료 수집 28
4. 자료 분석 29
5. 자료의 진실성 30
Ⅳ. 연구결과 및 논의 32
1. 교육과정 내 학교스포츠클럽 프로그램 변화 32
1) 3학년 체육 시간 시수 증가로 첫 발 내딛기 32
2) 과감하게 학년구성을 반으로 나눠 시스템 조정하기 36
3) 최고보다 최선을 다하는 종목 선정하기 39
4) 활동장소는 학생들이 선택하는 중요한 기준 41
(1) 매해마다 활동 장소 정하기는 큰 스트레스 41
(2) 체육시간과 겹치면 내가 양보하기 44
2. 교육과정 내 학교스포츠클럽 인적요소 변화 45
1) 교육과정 내 학교스포츠클럽 정상화의 꽃은 강사선생님 45
(1) 강사 선발 45
(2) 여자 스포츠강사와 남자 스포츠강사 47
(3) 교사 자격증 47
(4) 2018년도 교육과정 내 학교스포츠클럽강사선생님 50
2) 학생 평가권으로 강사선생님을 춤추게 하기 53
3) 내가 인정하면 너도 인정해주는 스포츠강사 전문성 인정하기 56
(1) 학생보다 못한 선생님 56
(2) 교육과정 내 학교스포츠클럽 강사 선생님들과 레포 형성하기 57
Ⅴ. 결론 및 제언 59
1. 결론 59
2. 제언 62
참고 문헌 64
ABSTRACT 68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고승필. (2019). 교육과정 내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운영경험
Appears in Collections:
Elementary Education >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