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통합교과 쓰기 활동 분석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nalysis of Integrated Subject Writing Activities
Abstract
본 연구는 초등학교 통합교과에 나타난 쓰기 활동을 국어과 관점에서 분석하 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Ⅱ장에서는 통합교과의 변천과정과 성격을 알아보고, 국어 쓰기 교육의 성격과 쓰기교육의 지도 원리를 알아본 후 기능교과로서 국어교과와 타 교과 간 통합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교과문식성과 통합교육의 관계를 알아보고 언어 기능과 전략을 얼마나 잘 전이하여 학습하는지에 따라 학습자가 교과를 배우는 학습수준이 달라짐을 서술하였다. Ⅲ장에는 통합교과의 쓰기 활동을 분석하기 위하여 2가지의 분석 기준을 마련 하였다. Ⅳ장에서는 통합교과에서의 쓰기 활동이 국어과 쓰기 성취기준과 비교하 여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 학기별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2015 개정 교육과정 통합교과에서는 모두 53번의 쓰기 활동이 나타나고 있으며 그 중에서 국어과의 쓰기 '방법'교육이 필요하거나 국어과와 비교하여 현저하게 학습 위계가 맞지 않 은 쓰기 활동이 7번 추출되었다. 국어과의 쓰기 방법이나 국어과와의 위계가 맞 지 않는 쓰기 활동이 통합교과에 바로 제시됨으로써 교사의 개인적 경험이나 전 문적 지식, 학급상황에 따라 글쓰기 활동이 달라질 수밖에 없다. 국어과 교육과 정 성취기준과 연계가 되지 않는 쓰기 활동도 모두 21개 추출되었는데 이는 전 체의 약 40%에 이른다.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초등학교 1∼2학년 쓰기 성취기준은 한글을 깨치고 학습자가 학교생활을 하면서 자신의 생각이나 학습 결과를 문자로 표현하는 데 필요한 기초적인 쓰기 능력을 갖추는 데 중점을 두 어 설정하였으며 62차시 내외로 확대됨으로써 기초·기본 교육을 강화하였다. 성 취기준과 연계가 되지 않았다는 것은 통합교과의 쓰기 활동 수준과 국어 교과서 의 쓰기 활동 수준이 서로 다름으로 인해 학생들의 쓰기 학습 부담뿐만 아니라 교사의 학생 지도와 통합교과의 학습 목표 도달에도 어려움을 줄 수 있음을 시 사한다. 본 연구를 통해 몇 가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통합교과에서는 국어과와 연계된 성취기준을 밝히고 있지만 형식적인 수 준에 머물렀다. 성취기준을 반영한 교과서 내용 구성과 관련하여 전문가와의 논 의의 과정이 필요하다. 둘째, 교과별 쓰기 활동에 대하여 난도의 차이가 난다는 것은 학생, 교사 모두 에게 부담이 되는 일이다. 효과적인 학습을 위하여 범교과 쓰기에 대한 직접적인 상호교섭을 통한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논의를 시작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writing activities in elementary school integrated subject from the perspective of Korean language. In chapter Ⅱ, we examine the process and nature of the integrated subject, examined the nature of Korean writing education and the guiding principles of writing education, and then examined the integration between the Korean subject and other subjects as a functional subject. Finally, we describe the relationship between curriculum literacy and integrated education, and describe how the level of learning learners varies according to how well the language functions and strategies are taught. In chapter Ⅲ, two analytical standards were prepared to analyze the writing activities of the integrated subject. In chapter Ⅳ, we analyzed how writing activities in integrated subject are compared with Korean language and writing achievement standards. In the Integrated Curriculum for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ere are 53 writing activities. Among them, 7 kinds of writing activities have been selected which require 'writing' method in Korean language or that are not in a hierarchical level. Writing activities that are not compatible with the writing method of the Korean language department or the hierarchy with the Korean language department are immediately presented in the integrated subject, and the writing activity depends on the personal experience of the teacher, the professional knowledge, and the class situation. Twenty - one writing activities that are not linked to the curriculum achievement standards of Korean language curriculum were extracted, which is about 40% of the total. In the 2015 revised Korean language education curriculum, the grade achievement standards for elementary school 1st and 2nd graders were set to emphasize the basic writing skills necessary for students to express their thoughts and learning outcomes in letters while breaking the Hangul language. By expanding into and out of the city, we strengthened basic and basic education. The reason for not being linked with the achievement standards is that the writing activity level of the integrated subject and the writing activity level of the Korean textbook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 Through this study, some suggestions are made. First, in the integrated subject, although the achievement standard linked with the Korean language course was revealed, it stayed at the formal level. It is necessary to discuss the contents of the textbook with the experts. Second, it is a burden to both students and teachers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degree of difficulty for writing activities by subject. For effective learning, discussion should begin on curriculum management through direct interaction with cross-subjct writing.
Author(s)
좌은정
Issued Date
2019
Awarded Date
2019. 2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08953
https://oak.jejunu.ac.kr/handle/2020.oak/23880
Alternative Author(s)
Jwa, Eun Jung
Affiliation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초등국어교육전공
Advisor
전제웅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2. 선행 연구 검토 2
3. 연구 내용 및 연구의 제한점 5
Ⅱ. 통합교과 쓰기의 이론적 배경 6
1. 통합교과의 변천 과정 및 성격 6
2. 쓰기 교수학습의 이해 10
3. 교과 문식성과 기능교과로서 국어교과와 타 교과 간 통합 17
Ⅲ. 연구방법 20
1. 연구대상 20
2. 분석기준 21
3. 분석의 방법 23
Ⅳ. 통합 교과의 쓰기 활동 분석 24
1. 교육과정 성취기준을 중심으로 한 쓰기 활동 분석 24
2. 통합교과서 및 지도서에 나타난 쓰기 활동 분석 38
3. 분석결과 및 논의 66
Ⅴ. 결론 및 시사점 70
참고 문헌 72
ABSTRACT 75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좌은정. (2019). 통합교과 쓰기 활동 분석 연구
Appears in Collections:
Elementary Education > Elementary Korean Language Educ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